본문내용
1. 약의 작용과 사용
1.1. 약의 작용
1.1.1. 약물의 작용 기전
약물의 작용 기전은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다.
첫째, 약물이 세포 내 수용체에 결합하여 세포 내 신호 전달 과정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트로핀이나 항히스타민제는 히스타민 수용체에 결합하여 히스타민의 신호 전달을 억제하는 반면, 아편유사제나 인슐린은 각각 아편 수용체와 인슐린 수용체에 결합하여 신호 전달을 모방하거나 증가시킨다. 또한 일부 약물은 수용체에 직접 결합하지 않지만 신호 전달물질의 대사를 억제하거나 수용체 재흡수를 막음으로써 신호 전달을 조절한다.
둘째, 약물은 특정한 3차원 구조를 가진 수용체에만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한 약물은 특정한 수용체에만 작용하여 특정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여러 종류의 수용체에 결합하는 약물은 다양한 작용(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셋째, 약물과 수용체의 결합력은 수소 결합, 이온 결합, 반데르 발스 인력 등 다양한 화학적 결합력에 의해 결정된다. 약물이 수용체에 강하게 결합할수록 약효가 크고, 수용체와의 결합이 약한 경우 효력이 낮다. 또한 약물이 수용체에 결합하여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정도에 따라 효능의 차이가 난다.
요약하면, 약물의 작용 기전은 약물이 세포 내 특정 수용체에 결합하여 세포 내 신호 전달과 생화학적 과정을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때 약물의 구조와 수용체의 특성, 그리고 약물-수용체 결합력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약물의 작용 기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약물 개발이 가능해진다.
1.1.2. 약물과 수용체
약물과 수용체는 약물이 몸 안에서 작용하기 위해 결합하는 표적으로, 대부분의 약물은 세포에 있는 약물 수용체에 결합하여 생화학적 변화를 일으킨다. 약물 작용이 잘 나타나기 위해서는 약물이 수용체까지 잘 도달하고 수용체에 잘 결합해야 한다.
약물 수용체는 화학적으로 특정한 3차원 구조를 가진 약물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약물은 특정한 수용체에만 결합하므로 특정한 효과만 나타나게 된다. 반면 여러 종류의 수용체에 결합하는 약물은 다양한 작용(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약물과 수용체의 결합은 화학적 결합력에 의해 이루어지며, 약물의 화학적 구조에 따라 공유결합, 이온결합, 수소결합, 반데르발스 결합 등 다양한 결합력이 작용한다. 수용체와 결합하는 정도(친화력)가 큰 약물일수록 효력이 좋으며, 수용체와 결합하면 큰 변화를 일으키는 약물일수록 효능이 좋다.
약물 수용체는 세포질 안과 세포막에 존재하며, 종류로는 효소작용 수용체, G단백 매개 수용체, 이온통로 수용체, 효소결합 수용체 등이 있다. 약물이 수용체에 결합하면 세포막을 통한 이온이동, 세포 내 효소 활성화/억제, 유전자 발현 변화 등의 결과가 나타난다.
이처럼 약물은 특정한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생체 내 다양한 생화학적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약물 작용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약물과 수용체의 상호작용은 약물 작용의 핵심이 되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1.1.3. 약물 흡수 및 분포
약물 흡수 및 분포는 약물이 투여된 후 체내에서 움직이는 과정을 말한다. 약물이 투여되면 우선 흡수 과정을 거쳐 체내로 들어오게 되고, 이후 혈류를 따라 전신으로 분포되어 작용 부위에 도달하게 된다.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