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연구계획서 기대효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대학생의 동아리 활동과 인지된 자유감 및 자아실현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1.1.2. 연구목적
1.1.3. 용어정의
1.2. 문헌고찰
1.3. 연구방법
1.3.1. 연구설계
1.3.2. 연구대상
1.3.3. 연구도구
1.3.4. 자료수집방법
1.3.5. 자료분석방법
1.3.6. 윤리적 고려
1.4. 기대효과
1.5. 참고문헌
2. MBTI 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가 간호대학생의 학업태도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1. 연구 배경
2.2. 연구 목적
2.3. 가설
2.4. 용어정의
2.5. 핵심어
2.6. 문헌고찰
2.7. 연구방법
2.7.1. 연구 설계
2.7.2. 연구 대상
2.7.3. 연구 도구
2.7.4. 자료 수집 방법
2.7.5. 자료 분석 방법
2.7.6. 연구의 제한점
2.8. 연구의 기대되는 효과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대학생의 동아리 활동과 인지된 자유감 및 자아실현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자유로운 여가활동에 대한 욕구와 추구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심리적 욕구이다. 하지만 한국의 대학생들은 고교시절, 경직된 입시교육의 교육과정 속에서 여가선용에 관한 자율성과 판단력마저 잃어버린 채 청소년기를 보냈고, 대학에 진학한 후 갑자기 많아진 여가시간에 어떻게 적응할지 당황해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대학생의 여가활동, 특히 동아리 활동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동아리 활동은 대학생들이 자신의 의지에 따라 자유롭게 능동적으로 선택, 결정하여 참여할 수 있는 활동으로, 이를 통해 대학생활에서 오는 환경의 부적응을 예방하고 도덕적 인격완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동아리 활동에 있어 여가를 선택하는 자기결정성과 인지된 자유감은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여가와 관련된 자기결정성과 인지된 자유감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특히, 대학생 시기의 여가는 성인기에 들어서며 시작하는 첫 단계로, 평생의 여가에 대한 인식을 좌우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에 이 시기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여가 연구는 매우 의미 있다고 할 수 있다.
1.1.2. 연구목적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동아리활동과 인지된 자유감 및 자아실현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첫째, 대학생들의 인지된 자유감과 동아리 활동과의 관계를 파악한다.
둘째, 대학생들의 인지된 자유감이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셋째, 대학생들의 동아리 활동이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1.1.3. 용어정의
- 동아리 활동: 취미, 목적이 같은 사람들의 동아리인 서클에서 하는 다양한 영역의 활동을 의미한다. 개인의 의지에 따라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넓히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시간으로 노동이나 가족, 사회적 의무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활동이다. 따라서 동아리선택에 대한 자기결정성의 역할이 중요하며, 자기결정성에 근거한 동아리선택을 정의한다. 이는 자기결정성의 척도 정용각(2006)과 김덕진(2010)의 연구에서 사용한 조사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인지된 자유감: 어떠한 행동이나 활동에 참여하는데 있어 주관적 관점에서 구속이나 제약을 받지 않는다고 지각할 수 있는 자유로운 상태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Witt와 Ellis(1987)의 여가진단도구로서 원형중(1989)이 번안한 조사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1.2. 문헌고찰
자기결정성은 여가 참여자들이 느끼게 되는 기본적인 심리욕구인 자율성, 유능성 그리고 관계성이다. Deci와 Ryan(2000)의 자기결정성 동기이론 연구에 의하면 사람들이 무엇을 원하든지 그에 대한 기본적인 심리욕구를 만족시켜준다면 바람직하고 긍정적 행위의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하였다. Manfredo와 Driver(1996)는 사람들이 왜 자신의 방식대로 여가활동에 참가하게 되는지를 알게 되면 그로 인하여 나타나는 결과가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다고 하였다. 즉 여가활동이 자기결정성에 의해 선택하고 체험하게 될 때 개인의 인지된 자유감이 더 긍정적인 효과를 얻게 된다는 것을 증명해주고 있다.
자아실현은 개인적으로 의미 있는 활동, 즉 내재적으로 동기화된 활동의 참가를 통해서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인간은 자신이 원하고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내적으로 동기화된 활동에 참가함으로써 인지된 자유감을 경험하게 되며 활동의 기쁨과 만족을 얻게 된다(Iso-Ahola, 1980).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여가활동중 일부인 동아리활동은 일상생활에서 벗어나 자신에 대하여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고 인지된 자유감 속에서 자신의 능력을 펼쳐 보이는 창의적인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인지된자유감은 어떠한 행동이나 활동에 참여하는데 있어 주관적 관점에서 구속이나 제약을 받지 않는다고 지각할 수 있는 자유로운 상태라고 할 수 있다. Neulinger(1974)는 여가를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인지된 자유감과 동기에 따라 여가의 차원이 다름을 주장하였다. 전형상과 김영득(2005)은 인간의 여가활동 경험은 인지된 자유감이 높을수록 여가에 대한 만족도 높다고 주장하였다. Witt와 Ellis(1987)는 인지된 자유감이 높을수록 자신들의 활동에서의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반면에 인지된 자유감이 낮을수록 자신의 활동에서 무기력감을 인지한다고 주장하여 여가에서 인지된 자유감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즉 여가활동에 있어 인지된 자유감이 높아야 여가만족도가 높아지고 이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여가활동에 참여하고자하는 지속의도가 높아지게 된다. 이렇게 인지된 자유감은 객관적이거나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이고 주관적인 마음의 상태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인지된 자유감은 자아실현과도 깊은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주장한 선행연구(김용주, 2006; 양종훈, 김성겸, 2011; 임준택, 2002; 장영순, 2010; 홍대식, 2013; Freeman, 1987) 등이 이러한 내용을 지지해주고 있다. 이상의 내용과 관련하여 지금까지 진행되어 여가와 관련된 기본심리욕구의 연구(공성배 등, 2013; 김민지, 2012; 김준, 2012; 남정훈, 2010; 남정훈, 강지훈, 2013; 백선경, 오세이, 2011) 등이 일부 진행되어 왔다. 인지된 자유감과 자아실현에 대한 연구(김덕임, 박승환, 2010; 김상룡, 2009; 김영득, 김송희, 2005; 김용주, 2006; 김홍석, 전병관, 1999) 등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동아리 활동에 대한 기본심리욕구와 인지된 자유감, 그리고 자아실현이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지만 이 변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1.3. 연구방법
1.3.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동아리 활동과 인지된 자유감 및 자아실현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란 두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는 조사연구로,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동아리 활동 참여에 따른 인지된 자유감과 자아실현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설계는 대학생들의 동아리 활동 참여, 인지된 자유감, 자아실현 등 ...
참고 자료
권순혁, 김범석, 박성배, & 박성진.(2013). 대학생들의 여가에 대한 기본심리욕구와 인지된 자유감 및 자아실현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2(6), 335-345. http://www.riss.kr/link?id=S85392
공성배, 김종길, & 배선원 (2013). 대학생들의 여가선택 자기결정성과 인지된 자유감 및 여가지속의도 와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2(2), 77-86. http://www.riss.kr/link?id=A99744483
김용주. (2006). 레저스포츠 참여에 따른 인지된 자유감과 자아실현 및 여가만족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서울.
장현정, & 김명애. (2014).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별 기질과 학습유형 및 학습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9), 400-410.
한국MBTI 심리연구소. “mbti검사“ https://www.kmbti.co.kr/MBTItest/lending.php. (2023.05.11)
박현숙. (1998). 간호사의 성격유형과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과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논문.
임채희, & 김성회. (2009). 학교상담: 중학생용 학교태도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10(2), 1165-1180.
주은경, & 한정원. (2021). 간호대학생 전공선택 동기, 전공만족도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2(1), 2563-2578.
김기욱. (2012). 대학생들의 귀인성향과 학과 선택 시 우선고려사항에 따른 학과적응에 미치는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3(2), 694-700.
김유정, 유하나, & 박미정. (2016). 간호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 대학생활만족도 및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10), 261-270.
박안숙, & 김혜경. (2016).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 및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2), 511-519.
Barron, D., West, E., & Reeves, R. (2007). Tied to the job: affective and relational components of nurse retention. Journal of Health Services Research & Policy, 12(1_suppl), 46-51.
박병기, & 박선미. (2012). 학업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6(2), 563-585.
김 철 (2003). 기독교 묵상이 대학생들의 주의력집중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하혜숙. (2000). 대학생의 학과 (학부) 만족과 학교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동재. (2004). 남자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 성정체감, 성고정관념의 관계 (Doctoral dissertation,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조윤희, 라진숙. (2019). 응급실 환자-간호사 간 간호사의 의사소통 수행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비교. 의료커뮤니케이션, 14(1), 1-9.Yoon Hee Jo, Jin Suk Ra. (2019)
이내영, 한지영, 허미진. (2015). 입원환자와 간호사의 간호요구도 및 간호서비스 만족도 비교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6(1), 169-177.
박은경, 선혜연. (2002). 입원 노인환자와 간호사가 지각하는 의사소통 장애요인에 대한 비교연구. 의료커뮤니케이션, 6(1), 13-22.
최운정, 강지숙. (2018). 입원환자가 인지하는 간호요구도와 간호만족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간호사 의사소통 매개효과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9(4), 374-382.
권명진. (2017). 환자가 인지한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별 스트레스, 간호서비스 만족과 간호사에 대한 신뢰.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 (12), 713-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