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도시재생의 개념과 특성
1.1. 도시재생의 정의
도시재생이란 산업구조의 변화, 즉 기계적 대량생산 위주의 산업에서 최근 신산업인 전자공학, 하이테크, IT산업, 바이오산업 등으로 인해 신도시 위주의 도시 확장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쇠퇴하고 낙후된 구도시를 대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새로운 기능을 도입하고 창출함으로써 죽어있는 도시를 새롭게 경제적, 사회적, 물리적으로 부흥시키는 도시사업을 말한다."도시의 생성과 성장, 그리고 쇠퇴의 과정을 겪으면서 도시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이 도시재생이다. 도시화 과정에 따라 도시는 탄생, 교외화, 탈도시화, 재도시화의 4단계를 거치게 되며, 이 중 탈도시화 단계에서 도시의 쇠퇴가 나타나게 된다. 이에 따라 도시재생은 쇠퇴한 도시 또는 도시 내부의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물리적, 환경적, 사회경제적 여건을 재생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으로 정의된다."
1.2. 도시재생 사업의 필요성
도시재생 사업의 필요성은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해 상대적으로 쇠퇴하고 낙후된 구도시를 대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새로운 기능을 도입하고 창출함으로써 죽어있는 도시를 새롭게 경제적, 사회적, 물리적으로 부흥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시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 즉 도시의 성장과 쇠퇴의 순환 과정에서 주거, 교통, 경제, 생활환경 등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나는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시재생 사업이 필요하다.
도시재생 사업을 통해 쇠퇴한 도시 또는 그 내부의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물리적, 환경적, 사회경제적 여건을 재생하여 기존 도시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지역의 균형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시재생 사업은 기존의 각종 정비 사업과 달리 협의적 개념을 기반으로 하므로, 국가 지원을 전제로 하는 공공적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중앙 정부의 일방적 지원 사업이나 조합 사업으로 추진되어온 정비 사업과는 차별성을 가지게 된다.
즉, 도시재생 사업은 쇠퇴한 도시를 대상으로 지역 주민의 참여와 거버넌스 체계를 바탕으로 지역의 정체성을 반영하여 문화와 예술을 활용한 통합적인 재생을 추구함으로써 지역의 경제적·사회적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3. 도시재생 사업의 유형
도시재생 사업의 유형은 크게 광의적 개념과 협의적 개념으로 구분할 수 있다.""
광의적 개념의 도시재생 사업은 쇠퇴한 도시 또는 그 내부의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물리적, 환경적, 사회경제적 여건을 재생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을 총칭한다.""이는 기존의 각종 정비 사업을 포함하며, 보조 사업이나 각 부처 지역 개발 사업까지 포괄하는 연관 사업 일체를 의미한다.""
반면 협의적 개념의 도시재생 사업은 국가 지원을 전제로 하는 성격을 띠고 있어, 그 실천과제 또한 공공적 성격을 내포한다.""협의적 개념의 도시재생 사업은 기존의 정비 사업이나 중앙 정부의 일방적 지원 사업과는 차별성이 존재한다.""
도시재생 사업의 범위는 비교적 사업성이 낮은 쇠퇴지역과 정비 사업으로 추진되기 어렵고 공공의 지원과 연계 사업이 가능한 자력적인 도시재생 사업으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도시재생 사업은 지역 역량과 사업성에 따라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분류된다.""
첫째, 도시경제 기반 재생형은 기반 경제 활동의 활성화를 주요 목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으로, 쇠퇴한 산업단지 및 역세권 등 새로운 기능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지역에서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
둘째, 근린 재생형은 비기반 경제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공동체 기반을 강화하고 주민간 교류를 증진하는 목적을 띠는 중소규모의 사업으로, 근린 수준에서 사회적 자본을 활용한 일련의 공동체 활성화 사업을 의미한다.""
이처럼 도시재생 사업은 지역의 특성과 역량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추진될 수 있으며, 공공의 역할과 지원이 중요한 특징을 가진다.""
2. 국내 도시재생 사례
2.1. 종로 서촌의 문화적 도시재생
종로 서촌의 문화적 도시재생은 풍부한 문화적 요소와 지역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도시재생 사례로 평가되고 있다.
종로 서촌 지역은 경복궁 서쪽에 위치한 청운효자동과 사직동을 포함하고 있으며, 과거의 문화적, 역사적 자원과 도시조직의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서울의 대표적인 관광지이다. 이 지역에는 문화 유산으로 한옥 6백여 채, 세종대왕 탄신지, 사직단, 윤동주 시인의 하숙집, 이중섭 화가의 집 등이 있으며, 문화 시설로 세종대왕 기념관, 윤동주 문학관, 국궁전시관, 대림미술관, 경복궁 아트홀, 보안여관, 푸르메 문화센터, 각종 공방 및 갤러리 등이 있다.
이러한 풍부한 문화적 요소를 바탕으로 종로 서촌 지역에서는 다양한 주민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서촌주거공간연구회는 이상의 집 및 한옥 철거 반대운동과 주민 답사를 통한 역사문화 소개 활동을 하고 있으며, 품애(사회적 기업)는 마을 텃밭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