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이종장기이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이종장기이식
2.1. 개념 및 정의
2.2. 이종장기이식의 역사
2.3. 이종장기이식의 현재
2.3.1. 이종장기 공급원으로서의 돼지
2.3.2. 이종장기이식의 문제점
2.3.2.1. 동물 윤리 문제
2.3.2.2. 면역거부반응
2.3.2.3. 생리학적 문제
2.3.2.4. 동물 전염병 전염 위험
2.4. 이종장기이식의 미래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장기이식(Organ Transplantation)은 약물치료나 외과수술 등 기존의 치료법으로는 치료되기 힘든 증상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장기를 건강한 장기로 대체하는 수술을 말한다. 대체로 뇌사자의 장기나 또는 기증자에게 큰 무리가 없는 경우에는 건강한 생체의 장기를 이식한다. 이식 대상 장기는 크게 심장, 간, 신장, 폐, 췌장 등의 고형 장기와 골수, 뼈, 심장판막, 인대, 연골, 각막 등의 조직으로 나누어진다. 장기이식은 올바르게 시행될 경우 말기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완치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시술로 1952년 미국에서 최초로 각막이식 수술이 시행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1969년 신장이식을 성공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세계적인 기술 수준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만큼의 활발한 장기 기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2000년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KONOS)가 발족된 후 장기기증자는 증가 추세에 있으나 2006년 현재에도 장기 이식이 필요한 환자들 중 약 58%정도가 기증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기증을 받기 위한 대기 시간 또한 점점 길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증을 받지 못하거나 또는 형질이 맞지 않아 기증에 실패한 환자들을 위한 대체 치료법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인공장기와 이종 장기이식이다. 그러나 인공장기는 여전히 초보적인 단계에 있어 내부의 다른 장기의 손상을 불러오기도 하고 사용기간에 제한이 있기도 하다. 이에 이종 장기 이식은 현재로서는 가장 주목되는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2. 이종장기이식
2.1. 개념 및 정의
이종장기이식이란 유전적 변형 유무에 관계없이 동물의 살아있는 장기나 조직, 또는 세포를 이종 간에 이식하는 수술을 의미한다. 장기이식에는 자신의 장기 또는 일부를 이식하는 자가이식, 다른 사람으로부터 장기를 이식받는 동종이식, 그리고 동물의 장기를 이식받는 이종이식이 있다. 동종이식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왔지만, 이종이식은 많은 시도 끝에 상대적으로 성공 사례가 적은 편이다. 최근 들어 이종이식을 통해 인간 암세포를 동물에 이식하여 암 연구에 활용하는 등 실험적 응용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이종장기이식은 돼지의 장기를 인간에게 이식하는 것을 주로 의미하고 있다.
2.2. 이종장기이식의 역사
이종장기이식의 역사는 오래전부터 시도되어 왔다"" 러시아에서 1682년 개의 뼈를 사람의 두개골에 부착하는 실험을 시작으로 많은 실험들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대부분 실패로 끝났고 1960년대에 이르러서야 최초로 동물의 장기를 인간에게 이식하여 일정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1963년 미국 뉴올리언스의 림츠마(Reemstma) 박사팀이 침팬지의 심장을 12명의 환자에게 이식하였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2개월 내에 거부반응을 일으켰지만 한 명의 환자는 아무런 거부반응 없이 9개월간 생존하였다"" 다음 해인 1964년 미국의...
참고 자료
R.V. Herren, 김희발 외 역, 『생명공학으로의 초대-삶의 혁멍』, 라이프 사이언스, 2006.
채미경, 「형질전환돼지를 이용한 이종장기이식과 돼지바이러스의 이종감염 잠재성」, 충남대학교부설생물공학연구소, 2003.
이식,『장기 모자라는데 돼지꺼라도 써?』, 주간동아, 252호, 2000년 9월 28일.
황우석, 안규리, 『동물장기 인체이식 』, 조선일보, 2003년 1월 17일.
http://biozine.kribb.re.kr/bodo/
http://chem.ewha.ac.kr/cgi-bin/technote/
http://www.konos.go.kr
정규원, 『이종이식, 수인성 감염』, 2007
박정규 외 2명, 『이종장기이식 및 줄기세포를 이용한 이식 연구의 현재와 미래』, 대한의사협회지, 2008
박정규 외 4명, 『이종장기이식의 현황과 전망』, 2009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형질전환동물 및 이종장기』, 2005
Bioin
DailyVET 신문기사
이진한, 「장기 대기는 길고 기증자는 줄고, 그 해법은 DCD」, 2023년10월13일,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31012/121643918/1
이상욱, 「이종장기 이식, ‘희망’이 살아 숨쉰다」, 2023년10월25일, 머니투데이,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102315044751460
두산백과 두피디아, ‘장기이식’,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38312&cid=40942&categoryId=32763
분자·세포생물학백과, ‘이종장기이식’,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1286&cid=61233&categoryId=61233
박정연, 「돼지 신장 이식한 원숭이, 얼마나 버텼나」, 2023년10월13일,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It/article/all/20231013/121644581/1
임미나, 「美서 돼지 심장 이식받은 두 번째 환자, 6주 만에 사망」, 2023년11월01일,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31101036400075?input=1195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