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비후성 심근병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비후성 심근병증 (Hypertrophic Cardiomyopathy)
2.1. 정의 및 원인
2.2. 병태생리
2.3. 증상과 징후
2.4. 합병증
2.5. 진단
2.6. 치료
2.6.1. 약물 치료
2.6.2. 수술적 치료
2.7. 간호
3. 사례 연구
3.1. 환자 소개
3.2. 건강력
3.2.1. 가족력
3.2.2. 과거력
3.3. 신체 사정
3.3.1. 신경계
3.3.2. 위장계
3.3.3. 순환기계
3.3.4. 호흡기계
3.3.5. 비뇨기계
3.3.6. 피부
3.3.7. 통증 사정
3.3.8. 체위
3.3.9. 삽입관 상태
3.4. 진단검사
3.4.1. 혈액검사
3.4.2. 일반화학검사
3.4.3. 혈액가스검사
3.4.4. 소변검사
3.4.5. 혈액응고검사
3.4.6. 수혈검사
3.4.7. 일반혈청검사
3.4.8. 특수검사
3.5. 치료 및 경과
3.5.1. 수액요법
3.5.2. 약물 투여
4. 간호과정
4.1. 심장의 수축력 변화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4.2. 외과적 흉부 절개와 관련된 급성통증
4.3. 절개부위 통증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4.4. 항응고제 투여와 관련된 출혈 위험성
4.5. 수술 후 낯선 환경과 관련된 두려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고혈압이나 선천성인 판막질환, 관상동맥 질환, 심낭염 등 우리가 알 수 있는 심장질환에 의해 생기는 2차적인 심근의 이상을 제외한 심장의 근육자체에 일차적으로 생기는 질환을 심근병증이라고 한다. 과거에는 흔치 않은 질환이었지만, 최근에는 500명당 1명으로 발생빈도는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고 한다.
원인불명에 자세한 내용은 고혈압과 같은 질환에 비해 잘 알 수는 없지만 예비 의료인으로서 비대심근병증 즉 비후성심근증이라 불리는 이 질병의 병태생리부터 간호와 그 과정까지 알아보려고 한다.
2. 비후성 심근병증 (Hypertrophic Cardiomyopathy)
2.1. 정의 및 원인
비후성 심근병증(Hypertrophic Cardiomyopathy)은 심실의 확장 없이 비대칭적인 심근의 비후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질병이다. 대부분은 원인불명이지만 약 50% 정도는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유발된다. 유전적 요인은 심장 근육의 특성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특정 유전자 결함이 존재하는 경우 발생하는 HCM의 유형이 가족 내에서 크게 다를 수 있다. 또한 고혈압이나 노화의 결과로도 얻을 수 있다.
2.2. 병태생리
비후성 심근병증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심실의 비후로 인하여 심실 내강이 좁아져 있고 심장의 수축기능은 정상이나 이완 능력이 떨어지는 질병이다. 좌심실의 신장성이 감소되고 심실 근육의 비대가 오면 심실에 혈류 충만의 장애가 있어 확장기말 용적이 감소하고 심박출량이 저하된다.
심실중격이 비대해져서 좌심실로부터 대동맥으로의 혈류나 흐름을 방해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특발비후대동맥판하협착(idiopathic hypertrophic subaortic stenosis; IHSS) 또는 폐쇄비대심장근육병(obstructive hypertrophic cardiomyopathy)으로 불린다.
수축기 초에는 좌심실로부터 대동맥 내로 혈액 유출이 빠르게 일어나지만 수축기말에는 대동맥판구의 폐쇄로 혈액 유출이 어렵게 된다. 또한 확장기 동안에는 심장 이완 기능 장애로 심실 확장기말압력(ventricular end-diastolic pressure)이 상승되어 좌심방에서 좌심실로의 혈액 유입에 방해를 받게 되고, 확장기가 연장된다.
그 결과 좌심부전으로 좌심방압, 폐정맥압, 폐모세관압이 상승된다. 비후성 심근병증의 주요 특성은 광범위한 심실 비대, 좌심실의 빠르고 강력한 수축, 이완 불능, 대동맥으로의 박출 폐쇄 등이다. 특히 심실 충만의 감소와 박출 폐쇄는 운동 시 심박출량 감소를 초래한다.
2.3. 증상과 징후
비후성 심근병증 환자의 대표적인 증상과 징후는 다음과 같다.
사춘기 후 또는 청소년기에 임상증상이 나타나며, 많은 대상자가 증상 없이 살 수도 있으나 갑자기 사망할 수도 있다. 가장 흔한 증상은 호흡곤란이며, 좌심실 이완기의 높은 압력으로 폐동맥압이 상승되어 심근이 비대해진다. 그 외에도 협심통, 실신, 피로감, 심실부정맥, 두근거림, 신부전 등이 나타난다. 운동 시 증상이 유발될 수 있다. 증상이 없는 대상자는 신체검진상 S4 심음을 제외하고는 모두 정상으로 나타난다.
심실 빈맥 또는 심부전의 존재와 관련된 증상으로는 일반적으로 운동이나 신체 활동으로 발생하지만 휴식이나 식사 후에 발생할 수있는 가슴 통증 또는 압박감, 호흡 곤란과 피로, 특히 노력으로 인한 피로 등이 있다. 이러한 증상은 비대성 심근 병증이있는 성인에서 더 흔하며 좌심방과 폐의 압력 백업으로 인해 발생한다.
실신(실신 또는 기절)은 비후성 심근병증 환자에게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불규칙한 심장 리듬, 운동 중 혈관의 비정상적인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거나 원인을 찾을 수 없다. 심방 세동 또는 심실 빈맥과 같은 비정상적인 심장 리듬(부정맥)으로 인한 촉진(가슴에 펄럭임)도 나타날 수 있다. 심방 세동은 비후성 심근병증 환자의 약 25%에서 발생하며 혈액 응고 및 심부전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2.4. 합병증
비후성 심근병증의 합병증은 다음과 같다.
유두근 기능부전에 의한 승모판 폐쇄부전으로 인한 승모판역류(mitral regurgitation)가 나타난다. 유두근이 비대해지고 전방으로 전위되어 심실에서 심방으로의 역류를 일으킨다.
초기에는 좌심실수축 시 좌심방으로 혈액역류가 일어나 심박출량이 감소되며 이를 보상하기 위해 좌심실이 비대되고 좌심실 용적 과부하가 나타난다. 이 보상상태는 수년간 지속되다가 좌심실 수축력이 감소되면 궁극적으로 심박출량이 저하되어 좌심방압이 상승되면서 전신 쇠약감과 폐울혈로 인한 호흡곤란과 기침, 좌위호흡을 호소하게 된다.
또한 심근 섬유화에 의한 부정맥과 심실세동이 올 수 있다. 비후된 심근이 산소 요구 증가에 따라 허혈이 유발되며 이로 인해 다양한 부정맥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치명적인 심실성 부정맥의 발생 위험이 높다.
이외에도 폐울혈로 인한 호흡곤란과 기좌호흡, 유두근 기능부전에 의한 승모판역류, 심실 충만 감소에 따른 운동 시 심박출량 감소, 심근 섬유화로 인한 부정맥 등이 발생할 수 있다.""
2.5. 진단
비후성 심근병증(HCM)의 진단은 다음과 같다:
심장초음파 echocardiography는 HCM의 확진을 위한 최상의 검사 방법이다. 심장초음파를 통해 심실의 크기와 두께, 심실벽의 움직임, 심실 수축기와 이완기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HCM에서는 비대칭적인 심실 중격의 비후(Asymmetrical septal hypertrophy) 소견과 수축기 중 승모판 전엽이 심실 중격 쪽으로 끌려가는 모습(Systolic anterior motion, SAM)이 나타난다.
심전도 ECG는 심장 확대와 부정맥을 확인할 수 있다. 가장 흔한 심전도 이상 소견은 ST분절 하강과 T파 역전이며, 다음으로 좌심실 비대 소견과 비정상 Q파가 나타난다.
흉부 X-선 검사에서는 심장비대, 심장확대, 폐부종을 확인할 수 있다. 대부분 정상이거나 좌심실 비대, 좌심방 확장 소견 등이 관찰된다.
혈역학 검사를 통해 심방과 심실의 압력, 폐혈관계, 심박출량을 사정할 수 있다.
심근스캔은 심실 용적의 변화와 관류 부족을 확인할 수 있다.
심도자술과 심혈관조영술은 관상순환의 관류, 심방과 심실, 판막, 혈관의 구조와 기능, 압력, 심박출량을 평가할 수 있다. 특징적으로 좌심실 유순도 감소로 인한 좌심실 확장기말 압력 상승과 좌심실 체부와 대동맥 판막하 부위 간 수축기 압력 차가 나타난다.
심근생검은 심근의 침윤, 섬유증, 염증 등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할 수 있다. 또한 유전자 검사로 유전성 요인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검사를 통해 HCM을 종합적으로 진단할 수 있으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각 검사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2.6. 치료
2.6.1. 약물 치료
비후성 심근병증의 약물 치료는 주로 증상을 경감시키고 돌연사의 위험을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베타 차단제(β-blocker)와 칼슘 통로 차단제인 베라파밀(verapamil), 딜티아젬(diltiazem)이 주요 치료제이다. 두 약물 모두 심장 수축력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베타 차단제는 비후성 심근병증 환자의 협심증 증상과 실신 증상 호전에 효과적이며, 칼슘 통로 차단제와 함께 전신으로 혈류를 내보내는 것을 돕는다. 또한 심박동수를 감소시켜, 심장이 혈액으로 채워지기까지의 시간을 연장하여 심장근육의 부담을 감소시킨다.
경우에 따라 항부정맥제인 디소피라마이드(dysopyramide), 아미오다론(amiodarone)으로 급사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며, 채액 저류나 부종이 있는 경우 이뇨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처럼 비후성 심근병증의 약물 치료는 심근 수축력을 줄이고 심박동수를 낮추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통해 심장이 전신에 혈액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2.6.2. 수술적 치료
수술적 치료는 증상이 심하거나 내과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의 경우에 고려된다.
비후성 심근병증 환자에서 주된 수술적 치료는 심실중격근절제술(septal myectomy)이다. 이는 비후된 심실중격 근육을 절제하여 좌심실유출로의 폐쇄를 해소하는 술식이다. 이를 통해 심박출량을 증가시키고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격절제술 후 환자의 증상이 호전되고 운동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승모판막 역류가 동반된 경우에는 승모판막재건술(mitral valve repair)을 함께 시행한다. 승모판막 기능부전이 동반된 환자의 경우 승모판막 수술은 예후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수술 이외에도 좌심실유출로 폐쇄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술적 방법으로는 역동적 심근성형술(septal myoplasty)이 있다. 이 술식은 넓은 등근(광배근)을 분리하여 심장을 둘러싼 후 전기자극으로 수축을 유도하여 좌심실유출로 폐쇄를 해소하는 방법이다.
심장이식술(heart transplantation)은 심장근육이 광범위하게 손상되었거나 확장성 심근병증이 심하거나 불응성 부정맥이 있는...
참고 자료
황옥남외 공저 2018 제7판 성인간호학(상) 739~752 현문사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17116-hypertrophic-cardiomyopathy
서울아산병원 2020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320 서울 아산병원
송경자 2007 간호기록을 이용한 중환자실 간호업무 조사연구(논문) 1~8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
2020 가톨릭대학교성빈센트병원-심장혈관센터https://www.cmcvincent.or.kr/page/department/C/370/1
2015 http://blog.daum.net/sanchna1/180
중앙대학교병원 2020 https://ch.caumc.or.kr/medical/center/C13/c13_03_3_7.asp?dept_code=C13&dept_gubn=P&cat_no=02050700&img_no=13 중앙대학교병원
드러그인포 2020 www.druginfo.co.kr/index.aspx 드러그인포
송경애 외 공저 2017 최신기본간호학Ⅱ P170 수문사 성미혜외 공저 2018 비판적사고를이용한간호과적의 적용 267 JMK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21.
이동숙 외 공저, 「사례중심의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메디컬에듀케이션, 2021.
박은영 외 공저,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 현문사, 2021.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 2022/10/05.
정남식,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3 : 순환기」, 정담, 2018.
한국MSD 매뉴얼, “심근비대증”, https://www.msdmanuals.com/, 2022/09/28.
약학정보원, “verapamil, amiodarone, dysopyramide”, https://www.health.kr/main.asp, 2022/09/28.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심근병증”,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2022/09/28 <그림1>.
서울대학교병원 희귀질환센터, “심근비대증”, https://raredisease.snuh.org/, 2022/09/28 <그림2>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비후성 심근병증”, http://www.snuh.org/health, 2022/10/06.
성인간호학 Medical surgical nursing 1 / 수문사 / p783-786, p839-845, p826-833
Critical care nursing incredibly easy / 정담미디어 / David W. woodruff / 역 황선영외 / p129-276
[심첨형 비후성 심근병증에서의 스트레스부하관류 자기공명영상 소견 : 좌심실벽 비후정도와 지연 조영증강 간의 관련성] 2011 p87
[Minimally Invasive Trans-Mitral Septal Myectomy to Treat Hypertrophic Obstructive Cardiomyopathy] 대한흉부학회지 2015.11 p419-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