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만성질환 가족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만성질환 아동과 가족
1.1. 만성질환 아동과 가족에 대한 다큐멘터리
1.1.1. 소개
1.1.2. 영상 속 만성질환 아동과 가족의 모습
1.2. 만성질환 아동과 가족이 경험하는 다양한 문제
1.2.1. 만성질환 아동
1.2.2. 부모
1.2.3. 형제자매
1.3. 중재방법
1.3.1. 만성질환 아동
1.3.2. 가족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만성질환 아동과 가족
1.1. 만성질환 아동과 가족에 대한 다큐멘터리
1.1.1. 소개
소아병동을 주제로 하는 이 다큐멘터리는 급성골수 백혈병, 신경모세포종, 선천성 심질환 등의 질병을 가진 아동과 그 가족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영아부터 학령전기 아동들이 장기적인 입원과 반복되는 수술에 지치고 힘들어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또한 부모 또한 자녀의 반복되는 수술과 입원으로 인해 일상생활, 사회생활, 직장생활을 제대로 하지 못하며 자녀에게만 집중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형제자매의 경우 아픈 형제를 보살피는 부모의 모습을 오랜 시간 접하지 못하고 소외감과 외로움을 느끼는 등, 만성질환 아동의 가족 모두가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준다.
1.1.2. 영상 속 만성질환 아동과 가족의 모습
영상 속 만성질환 아동과 가족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먼저 아동의 모습을 보면, 소아병동이라는 제한된 공간 속에서 바깥 생활과는 단절된 모습이 eye-catching이다. 특히 감염의 위험, 응급상황의 위험 때문에 다양한 감각적 자극, 인간관계, 사회 활동 등을 경험하지 못하고 부모와 의료진, 병동의 또래 아이들만이 주된 환경이자 인간관계인 아동들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어린나이임에도 오랜 투병생활로 정신적으로 성숙해진 아동들의 모습이 두드러졌는데, 자신의 아픔에 대해 위축되어 있고, 부모에게 미안해하고, 고마워하는 모습, 부모의 걱정을 덜기 위해 앞에서 밝게 웃는 모습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부모와 형제자매의 모습을 보면, 부모 또한 자녀의 반복되는 수술과 입원에 수개월을 병원에서 생활하며, 일상생활, 사회생활, 직장생활을 제대로 하지 못하며 자녀에게만 집중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시간의 흐름도 제대로 느끼지 못하고, 매우 지치고 힘들어하며, 우울하다고 말하는 모습에서 심한 부모의 스트레스를 알 수 있었다. 빨리 회복하여 일상으로 돌아갈 것이란 희망으로 버티고 있음이 느껴졌다. 형제자매는 아픈 형제를 간호하는 부모를 수개월 동안 직접 보지 못하고, 핸드폰으로 통화하거나, 영상통화를 통해서만 접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부모의 관심과 보살핌, 부모와 아픈 형제 간의 상호작용이 부족함을 알 수 있게 했다"".
1.2. 만성질환 아동과 가족이 경험하는 다양한 문제
1.2.1. 만성질환 아동
유아·학령전기의 만성질환 아동은 자아존중감, 자아신뢰, 자율성과 관련된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질병 및 치료와 관련된 신체적 결과로 신체상 변화를 경험하며, 이는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질...
참고 자료
박은숙, 이기형, 오원옥, 임여진, 조은지(2015), 만성질환아동 부모의 부모되기 경험.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1(3), 272-284
조경숙. (2021). 우리나라 만성질환의 발생과 관리 현황. 주간 건강과 질병, 14(4), pp. 166.
정대영, 최정아(2010). 장애아동 부모와 일반아동 부모의 심리적 안녕감 비교. 정서 행동장애 연구, 26(3), 319-43
Knafl K., Darney B, Gallo A, Angst D.(2013), Parental perception of the outcome and meaning of normalization.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33(2),87-98
안효섭, 신희영(2020). 홍창의 소아과학(12판) 서울 :미래엔
홍성경. (2009). 극복력(resilience) 개념 개발 - 암 환자를 중심으로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5(1), pp. 109.
김동희, 유일영. (2004). 신증후군 환아의 극복력과 우울의 관계분석. 대한간호학회지, 34(3), pp. 534-540.
김재엽, 박수경, 이진주, 김은경(2021) 학령기 발달장애 자녀의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우울과의 관계 : 양육부담감과 부부간 긍정적 의사소통(TSL)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6(2), 25-50
임영화, 김해란 (2020) 모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의 매개효과. 복지상담교육연구, 9(1), 225-247
보건복지부. 만성질환자의 일상 속 건강관리서비스 활성화
https://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72792
통계청. 만성질환아동 진료비 「예산군아동복지통계」, 충청남도 예산군
Susan Rowen James 외 「아동간호학 상」, 박호란 외, 현문사, 2019
최권호 외, 「소아암 가족의 심리사회적 서비스 요구」,『한국가족복지학』 제 45권 9호,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71-197p
신윤미 외, 「만성적인 질환을 가진 아동의 정서 및 행동 문제」, 『annals of pdiatric endocrinology and metabolis』 제17권 제1호, 대한소아내분비학회,1-9p
고도현 외, 「소아암 환아 형제자매에 대한 심리지원」,『재활심리연구』 제26권 제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