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의 식사요법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최초 생성일 2024.11.11
7,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당뇨병의 식사요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당뇨병의 개요
1.1. 당뇨병의 진단 기준
1.1.1. 당뇨병(Diabetes Mellitus)
1.1.2. 당뇨병 전단계의 진단 기준
1.1.3. 당뇨병 선별검사
1.2. 당화혈색소(HbA1c)
1.2.1. 당화혈색소의 특징
1.2.2. 당화혈색소와 혈당치의 상관관계
1.2.3. 당화혈색소 변화를 일으키는 요인
1.3. 당뇨병의 분류
1.3.1. 제1형 당뇨병
1.3.2. 제2형 당뇨병
1.3.3. 임신성 당뇨병
1.3.4. 기타 당뇨병

2. 당뇨병의 관리 목표
2.1. 성인 혈당 조절의 목표
2.1.1. 혈당조절의 필요성
2.2. 혈당조절의 모니터링 및 평가
2.2.1. 혈당관리 평가

3. 당뇨병 식사요법 원칙
3.1. 왜 식사요법을 해야 할까요?
3.2. 당뇨병의 식사요법은?
3.3. 식사요법의 목표는?

4. 식사 요법 계획 시 고려 사항
4.1. 당질계산법
4.2. 당지수(glycemic index)
4.2.1. 당지수를 낮추는 식사요령
4.2.2. 당지수 이용의 제한점
4.2.3. 영양성분표

5. 당뇨병 식사요법 계획 시 점검 사항
5.1. 당뇨병 환자가 주의해야 할 식품
5.1.1. 염분
5.1.2. 술
5.1.3. 포화지방산
5.1.4. 트랜스지방산
5.1.5. 콜레스테롤
5.1.6. 단순당이 많이 포함된 탄수화물 식품
5.2. 당뇨병환자에게 권장하는 식품
5.2.1. 섬유소가 풍부한 식품
5.2.2. 좋은 지방 식품
5.3. 당뇨병환자가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는 식품은?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당뇨병의 개요
1.1. 당뇨병의 진단 기준
1.1.1. 당뇨병(Diabetes Mellitus)

당뇨병(Diabetes Mellitus)은 단순한 질병이 아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얽힌 대사성 질환이다. 인슐린 분비 혹은 기능장애로 고혈당이 특징적이며 이와 함께 신체기관의 손상과 기능부전을 초래하여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게 되어 사망까지 이르게 될 수도 있는 질환이다.

당뇨병의 진단기준은 다음과 같다. 당화혈색소(HbA1c)가 6.5% 이상, 공복 8시간 이상 경과 후 공복 혈장 혈당이 126mg/dl 이상, 75g 경구당부하검사 2시간 경과 후 혈장 혈당이 200mg/dl 이상, 당뇨병의 전형적 증상(다뇨, 다음, 설명되지 않는 체중감소)과 임의 혈장 혈당이 200mg/dl 이상 중 하나라도 해당되는 경우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다.


1.1.2. 당뇨병 전단계의 진단 기준

당뇨병 전단계의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당뇨병 전단계는 내당능장애와 공복혈당장애 2가지로 나뉘며, 정상보다는 높은 혈당이나 당뇨병 진단 기준에는 미치지 못한다"" 진단기준을 살펴보면 공복 혈장 혈당이 100-125mg/dl 이거나, 경구당부하검사 2시간 후 혈당이 140-199mg/dl인 경우 내당능장애로 진단된다"" 그리고 공복 혈장 혈당이 100-125mg/dl인 경우 공복혈당장애로 진단된다"" 또한 당화혈색소 수치가 5.7-6.4% 사이인 경우 당뇨병 전단계로 분류된다"" 이처럼 당뇨병 전단계는 정상보다 높은 혈당 수치를 보이나 당뇨병 기준에는 미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런 전단계 상태에 있는 사람들은 적절한 관리와 노력을 통해 당뇨병으로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다""


1.1.3. 당뇨병 선별검사

당뇨병 선별검사는 고위험군이나 당뇨병을 진단받을 가능성이 높은 대상자의 당뇨병 혹은 내당능장애에 대한 선별과 조기 진단을 위해 실시된다.

선별검사의 대상은 40세 이상의 모든 성인이나 위험 인자가 있는 30세 이상 성인으로, 매년 시행이 권고된다. 검사는 공복혈당, 경구 당부하 검사, 당화혈색소로 시행된다. 위험 인자가 없는 경우에는 3년마다 검사를 시행하도록 권고되고 있다.

위험 인자에는 체질량지수 23kg/m² 이상의 과체중, 공복혈당장애나 내당능장애 진단 과거력, 고혈압, 당뇨병 가족력, 거대아 출산력 혹은 임신성당뇨병, 고밀도지단백 및 중성지방 이상, 다낭난소증후군이나 흑색극세포증 등의 인슐린 저항성 의심소견 등이 포함된다.

추가 검사가 권고되는 경우는 공복혈당장애가 있거나 당화혈색소 5.7-6.0 %인 경우 매년 정기적인 검사와 위험 인자 동반 시 경구당부하검사를 실시하며, 공복혈당 110-125mg/dl 또는 당화혈색소 6.1-6.4%인 경우 경구당부하 검사를 시행한다.

검체는 정맥 전혈의 분리한 혈장을 이용하며, 혈당농도는 동맥혈 > 모세혈관혈 > 정맥혈 순으로 높게 나타난다. 혈장이 전혈보다 약 10-15% 높은 농도를 보인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처럼 당뇨병 선별검사는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은 대상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 및 관리 조치를 취하기 위한 중요한 절차라고 할 수 있다.


1.2. 당화혈색소(HbA1c)
1.2.1. 당화혈색소의 특징

당화혈색소의 특징이다. 당화혈색소(HbA1c)는 대상자의 2~3개월간의 평균 혈당치를 반영하여 혈당조절 지표로 사용된다. 무작위혈당이나 공복혈당에 비해 보다 안정적인 결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공복여부에 상관없이 검사가 가능하다. 또한 대상자의 장기적인 혈당상태 및 전반적인 혈당조절 정도를 반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당능이상(공복혈당장애, 내당능장애) 및 당뇨병 환자의 경과관찰과 당뇨병 합병증 위험도 파악이 가능하다.""


1.2.2. 당화혈색소와 혈당치의 상관관계

당화혈색소와 혈당치의 상관관계는 매우 밀접하다. 당화혈색소(HbA1c)는 대상자의 2~3개월간의 평균 혈당치를 반영하여 혈당조절 지표로 사용된다.

당화혈색소는 혈색소가 포도당과 결합하여 만들어지는데, 혈중 포도당 농도에 비례하여 생성된다. 따라서 당화혈색소 수치가 높을수록 최근 2~3개월간 평균 혈당 수준이 높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당화혈색소와 평균 혈장 혈당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당화혈색소 6%인 경우 평균 혈장 혈당이 126mg/dL이고, 당화혈색소 7%인 경우 평균 혈장 혈당이 154mg/dL, 당화혈색소 8%인 경우 평균 혈장 혈당이 183mg/dL 등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당화혈색소는 최근 2~3개월간의 평균 혈당 수준을 잘 반영하여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 상태를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된다. 따라서 당화혈색소 측정은 당뇨병 진단 및 혈당조절 상태 평가, 합병증 위험도 파악 등에 매우 중요한 검사라고 할 수 있다.


1.2.3. 당화혈색소 변화를 일으키는 요인

당화혈색소 변화를 일으키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높게 측정되는 경우는 요독증, 태아혈색소치가 높은 경우, 철결핍성 빈혈, 만성 음주, 장기간 다량의 아스피린 복용, 겸상적혈구 질환 등이다. 반면 낮게 측정되는 경우는 출혈, 임신, 비장절제, 용혈 현상, 이외 Vitamin C와 D의 혈색소 질환이 있다."


1.3. 당뇨병의 분류
1.3.1. 제1형 당뇨병

제1형 당뇨병은 모든 당뇨 환자의 약 5~10%를 차지하며, 국내에서는 2% 미만의 비율을 보인다"이다. 제1형 당뇨병은 췌장의 베타세포가 점진적으로 파괴되어 인슐린이 결핍되어 발생하는 형태로, 반드시 인슐린 주사를 투여해야 하며 케톤산증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C-peptide 분비가 감소하는 특징이 있다"이다.

췌장의 전구인슐린은 86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21개는 A사슬에, 30개는 B사슬에 포함되어 있고 35개는 A와 B사슬 사이의 C-peptide가 된다"이다. A사슬과 B사슬 사이의 이황화결합을 통해 전구인슐린에서 인슐린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C-peptide로 전환되어 췌장세포 분비과립에 축적된다"이다. C-peptide는 항상 인슐린과 함께 혈액 내로 동일한 분자 수만큼 분비되며, 혈중 C-peptide 농도는 베타세포의 인슐린 분비량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이다.

C-peptide 측정을 통해 베타세포의 분비능력을 파악할 수 있으며, 공복 시, 식사 후, 글루카곤 자극 후 등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이다. 제1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C-peptide 농도가...


참고 자료

대한당뇨병학회. (2011). 당뇨병학 제4판. 대한당뇨병학회.
대한당뇨병학회. (2015). 2015 당뇨병 치료지침. 대한당뇨병학회.
임성철. 당뇨병환자를 위한 동기강화상담. J Korean Diabetes. 2011
Jun: 12(2) :109-112.
건강길라잡이 : http://www.hp.go.kr/
국민고혈압사업단 : www.hypertension.or.kr
농식품종합정보: http://koreanfood.rda.go.kr/
대한당뇨병학회(2010). 당뇨병 식품교환표 활용지침 제 3판. 서울:골드기획
대한당뇨병학회(2013). 당뇨병교육지침서 제3판. 서울:골드기획
대한영양사협회 :http://www.dietitian.or.kr
대한비만학회 : http://www.kosso.or.kr/general/
대한당뇨병학회 : http://www.diabetes.or.kr/general/index.html
대한고혈압학회 : http://www.koreanhypertension.org/ 삼성서울병원 당뇨병센터(2014). 당뇨병과 함께 즐거운 식사를 서울:도서출판 마루
세브란스병원, CJ 프레시웨이(2011). 최고의 당뇨병 식사가이드. 서울, 비타북스
식품의약품 안정처 : http://www.mfds.go.kr/index.do
http://www.platemethod.com/index.html
http://www.nutritionaustralia.org/national/resource/
healthy-living- pyramid
http://www.hsph.harvard.edu/nutritionsource/what-should-you-eat/pyramid/
http://www.diabetes.or.kr

<식사요법> 김명희, 김미현 외 3명 저 / 광문각 / 2011
<질환에 따른 식사요법> 장혜순, 서광희 외 3명 저 / 신광출판사 / 2014
<식사요법 원리와 실습> 구재옥, 김원경 외 3명 저 / 교문사 / 2007
<영양과 식사요법의 간호적용> 김매자, 송미순 외 1명 저 / 정문각 / 2009
이기완, 명춘옥 외 2명 저 / 수학사 / 2009
<식사요법실습> 최미숙, 서광희 외 3명 저 / 파워북 / 2009
<보건간호 일반> 김희영 김보영 저 / 포널스출판사 / 2016
<임상간호와 영양> Stump Suzanne Do 저 / 정담미디어 / 2016
<간호와 영양> 김영경 김희순 외 3명 저 / 현문사 / 2016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