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골절사고는 나이, 성별과 상관없이 사고 등으로 인해 흔하게 일어나는 질병 중에 하나이다. 대부분의 골절은 치유가 되며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치유에 걸리는 시간은 대상자의 연령, 손상의 유형 및 심각도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다른 부위의 국소적 손상과 달리 골절은 치유되는 동안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발생하기 때문에 대상자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합병증이 발생되는 등의 위험이 존재한다. 또한, 골절로 인해 혈관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무혈성 괴사로 진행될 수도 있기 때문에 쉽게 봐서는 안되는 질환이다.
이러한 골절을 겪은 대상자들의 간호문제 및 질병과 관련된 간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2. 관계 문헌의 개요
근골격계는 뼈, 근육, 관절, 연골, 힘줄, 인대로 구성된 신체의 중요한 부분이다. 근골격계는 신체 운동은 물론 내부 장기를 보호하고, 적혈구를 생성하며, 신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근골격계의 문제로 인한 장애는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
골격은 총 206개의 뼈로 구성되어 있으며, 배아기부터 20년 동안 성장한다. 뼈는 콜라겐, 점액다당질, 지질로 이루어진 간질에 탄산과 인산 등의 무기칼슘염이 축적되어 단단해진다. 뼈는 구조와 기능에 따라 장골, 단골, 편평골, 불규칙뼈, 종자골로 분류된다. 뼈는 신체의 형태를 제공하고, 체중부하와 직립 자세를 취하며, 근육과 힘줄의 작용으로 자발적 운동을 한다. 또한 뼈는 내부 장기를 보호하고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을 생산한다.
근육은 힘줄에 의해 뼈나 다른 조직에 붙어 있는 수축성 조직으로, 평활근, 골격근, 심근의 세 가지 형태가 있다. 평활근은 자율신경계에 의해 제어되는 불수의근이며, 골격근은 의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수의근으로 신체의 운동을 담당한다. 심근은 자율신경계의 통제하에 있는 불수의근이다.
관절은 뼈와 뼈가 연결되는 공간으로, 다양한 형태의 관절이 존재한다. 관절의 주요 기능은 신체의 운동과 유연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관절 주변의 근육, 인대, 건은 관절을 안정시키고 활동을 돕는다.
그 외에도 연골, 건, 인대, 근막, 활액낭 등이 근골격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지지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들이 손상되면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골절은 뼈나 골단판의 연속성이 소실된 상태로, 대부분 외부의 강력한 힘에 의해 발생한다. 골절은 부위, 정도, 형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골다공증, 종양, 감염 등으로 인한 약화된 뼈에서 일어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