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결혼이주여성의 현황과 건강문제
1.1. 결혼이주여성의 증가와 특성
1.2.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제
1.2.1. 신체적 건강문제
1.2.2. 정신적 건강문제
1.2.3. 사회적 건강문제
2.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
2.1. 언어교육을 통한 사회적 지지망 형성
2.2. 자녀양육 및 문화 적응을 위한 가족상담
2.3. 다문화 이해 및 차별 해소를 위한 교육 활성화
3. 코로나19 상황에서의 결혼이주여성 지원 대책
4. 결혼이주여성 지원 정책의 방향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결혼이주여성의 현황과 건강문제
1.1. 결혼이주여성의 증가와 특성
결혼이주여성의 증가와 특성은 다음과 같다.
여성가족부(2013)의 다문화가족 관련 통계에 따르면 결혼이민자 및 인지·귀화자는 5년간 67.2%가 증가하였다. 국제결혼을 통하여 한국에 이주하는 여성들은 10대 후반, 20대 초반의 어린 신부들도 다수이며 상대적으로 보건이 취약한 저개발 국가에서 자라왔기 때문에 건강이나 보건에 대한 부분이 취약하다. 또한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는 대부분 경제적으로 소득수준이 낮은 계층에 속하여 국가가 제공하는 복지서비스의 주요 수혜대상 집단이며, 이들 가정의 의료보건 수준은 취약한 상태라는 지적이 있다. 실제로 전체 혼인이주여성은 실질적으로 의료보장체계 안에 들어가 있지 못하며, 자신이 의료보험에 가입되어 있는지 조차를 모르는 경우도 많다. 결혼이주여성들을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차원에서 배제시키는 문제뿐만 아니라 그 자녀에 대한 차별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으로 더욱 심각한 문제로 작용할 수 있다."
1.2.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제
1.2.1. 신체적 건강문제
결혼이주여성의 신체적 건강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혈 유병률이 높다. 질병관리본부의 '국내 이주민 코호트 사업(2007~2010)' 결과에 따르면 일부 국가 출신 결혼이주여성은 우리나라 가임기 여성에 비해 빈혈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당시 상대적으로 보건의료 환경이 열악한 국가에서 왔기 때문으로 보인다.
둘째, 기생충 감염률이 높다. 국내 이주민 코호트 사업 결과에 따르면 일부 국가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기생충 감염률이 높은 편이었다. 이는 역시 출신국가의 열악한 보건의료 환경에 기인한다.
셋째, B형 간염 관련 건강문제가 있다. 국내 이주민 코호트 사업에서 결혼이주여성의 B형간염 보균율이 높고 항체 음성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B형 간염은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넷째, 자궁경부암 위험이 높다. 국내 이주민 코호트 사업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자궁경부암의 원인으로 알려진 고위험 인두유종바이러스 감염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기적인 검진과 예방접종이 중요하다.
다섯째, 간장질환, 고지혈증 등 성인병 위험이 높다. 한국건강관리협회의 건강검진 결과, 여성 결혼이민자는 한국 여성에 비해 간장질환, 고지혈증, B형 간염 등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출신국가별 식습관 차이와 신체활동량 부족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이처럼 결혼이주여성은 출신국가의 열악한 보건의료 환경으로 인해 다양한 신체적 건강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건강검진과 관리가 필요하며, 교육과 정보 제공을 통해 자기 관리 능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1.2.2. 정신적 건강문제
결혼이주여성의 정신적 건강문제는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다. 먼저, 많은 결혼이주여성이 정착 초기에 문화적 차이와 적응의 어려움으로 인해 스트레스와 불안, 우울 등의 증상을 경험한다. 특히 출신국과 한국의 문화적 차이가 클수록 이러한 정신 건강 문제가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 내 관계 문제 역시 결혼이주여성의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의사소통 문제로 인한 가족 갈등, 시부모와...
참고 자료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제와 정책과제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이슈분석」제122호
결혼이주여성 대상 건강정보 웹사이트 분석 장덕현 외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제 관련요인 : 문화적응 스트레스,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김은심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지지, 자기효능감, 건강문해력,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강초희 외
결혼이민여성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변화에 대한 탐색 조주은 외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장한나 외
결혼이주여성의 건강행위 어려움 변성원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 이연옥 외
결혼이주여성의 차별경험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류한수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369
https://www.yna.co.kr/view/AKR20130424073200372
서울시, 직장맘·직장대디 고용심리불안↑···상담·조정 등 고충 해결
https://www.sedaily.com/NewsView/22TVGZBFO3
일본 시청자의 한국 드라마 시청에 관한 연구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417048539375.pdf
K-팝과 K-드라마의 한류 열풍 잇는 필리핀의 K-문학
https://news.ebs.co.kr/ebsnews/allView/60135139/N
한류와 한국어교육의 관계, 그리고 미래 : 학습자료로서 한류콘텐츠의 가치
https://blog.naver.com/kofice/222096573674
결혼이주민의 언어능력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관한 연구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510534324974.pdf
"내가 '나쁜엄마' 같아요"...결혼이주여성 '생존언어' 지원 필요해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10712000584
<2020 포럼 아테나> 코로나19와 이주민, 이주여성
https://blog.naver.com/dgwff/222083462984
“지원 프로그램 중단에, 일자리도 없어요” 코로나 사각 이주여성 관리대책 절실
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36780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상담 필요성 인식 관련 요인의 탐색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99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