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프랜차이즈 브랜드 경험 및 이미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국내외 프랜차이즈 브랜드 전략 실패 사례 및 분석
1.1. 국내 프랜차이즈 '카페 베네' 사례
1.1.1. 브랜드 전략의 실패 원인
1.1.2. 브랜드 전략 실패의 결과
1.2. 국내 프랜차이즈 '스베누' 사례
1.2.1. 브랜드 전략의 실패 원인
1.2.2. 브랜드 전략 실패의 결과
1.3. 기업의 책임자로서 대응 방안 검토
2.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프랜차이즈 가맹점 운영
2.1.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대상과 사례
2.2. 프랜차이즈 가맹점 운영에 대한 의견
2.2.1. 프랜차이즈의 개념 및 장단점
2.2.2. 프랜차이즈 가맹점 추천 및 비추천 근거
3. 카페베네의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
3.1. 기업 소개 및 현황
3.2. 문제점 파악
3.2.1. 회사 내부적 문제
3.2.2. 회사 외부적 문제
3.3. 전략 및 실행방안 제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국내외 프랜차이즈 브랜드 전략 실패 사례 및 분석
1.1. 국내 프랜차이즈 '카페 베네' 사례
1.1.1. 브랜드 전략의 실패 원인
카페 베네의 브랜드 전략이 실패한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전략의 핵심 요소인 '브랜드 정체성' 상실이다. 카페 베네는 가격, 품질, 부가가치, 서비스 등 어느 부분에서도 명확한 포지셔닝 전략을 취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브랜드 정체성과 선호도가 지속적으로 하락하였다. 또한 편의점처럼 다양한 메뉴를 판매하면서도 시그니쳐 메뉴가 부재하여 소비자에게 잘 각인되지 않았다.
둘째, 무리한 사업 확장이다. 2011년에서 2015년 사이 국내 가맹점 수가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은 비정상적인 수준이었다. 가맹점의 품질 관리보다는 가맹점 확장을 통한 이윤 증대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로 인해 가맹점의 품질 저하와 물류 공급 문제가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브랜드 가치가 크게 떨어졌다.
1.1.2. 브랜드 전략 실패의 결과
카페 베네의 브랜드 전략 실패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카페 베네는 2008년에 설립되었고, 2010년부터 공격적으로 사업 확장에 나섰지만, 실적은 계속해서 나빠졌다. 2015년 기준으로 국내의 10개 커피 프랜차이즈 중에서 가장 높은 14.5%의 폐점률을 기록하고 동년 연말에는 사모펀드가 대주주가 되면서 2016년 3월에 새로운 브랜드 정체성을 추구했지만, 2017년 4월에는 자본잠식 상태에 빠졌고 2018년에는 기업회상절차에 들어갔다. 과거 대형 프렌차이즈의 명성은 사라졌고 현재 중소 브랜드가 된 카페 베네는 2021년 10월을 기준으로 국내 261개, 해외 81개의 매장만 운영될 정도로 위세가 크게 줄어든 상태이다.
1.2. 국내 프랜차이즈 '스베누' 사례
1.2.1. 브랜드 전략의 실패 원인
스베누가 브랜드 전략에 실패한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의 시각적 이미지 문제이다. 프랜차이즈의 성공을 위해서는 브랜드의 시각적 이미지를 확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 스베누는 이에 많은 문제가 있었다. 스베누의 로고가 미국 디자인 회사 '맥과이어 디자인'과 유사하여 표절 논란이 끊이지 않았고, 브랜드를 대표하는 색상도 자주 바뀌어 브랜드 시각적 이미지의 이점을 상실하게 되었다.
둘째, 품질 문제로 인한 브랜드 가치 저하이다. 품질은 브랜드의 가치를 지속하고 개선하는 핵심적 요소이지만, 스베누는 고가 전략을 추구하면서도 제품의 품질 관리에 투자를 거의 하지 않았다. 그 결과 소비자와 가맹점주들로부터 불량 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불만을 야기했고, 이는 브랜드 가치 저하로 이어졌다. 또한 스베누는 소비자에 대한 보상이나 사과보다는 온라인 여론 통제와 마케팅에만 집중하여 브랜드 가치 회복의 기회를 상실하게 되었다.
1.2.2. 브랜드 전략 실패의 결과
2014년 7월에 개점한 화곡점을 시작으로 스베누는 경영자의 국내 인지도와 SNS 마케팅으로 사업을 확장하기 시작했고, 가맹점은 순식간에 100호점을 돌파할 정도로 승승장구했다. 하지만 끊임없는 품질 문제로 이슈가 되어 브랜드 가치는 하락하기 시작했고, 비효율적인 영업관리와 과도한 광고비 지출로 2015년부터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빠지게 된다. 결국, 2016년 10월에 스베누는 폐업하였다.
1.3. 기업의 책임자로서 대응 방안 검토
만약 내가 각 기업의 책임자라면, 카페 베네와 스베누의 브랜드 전략 실패 사례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대응 방안을 고려해볼 것이다.
첫째, 카페 베네의 경우 무리한 사업 확장이 야기한 브랜드 가치 저하와 브랜드 정체성 상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먼저 가맹점 확장 속도를 점진적으로 늦추고, 직영점의 비중을 높여나감으로써 안정적인 수익 확보와 브랜드 가치 제고에 힘쓸 것이다. 또한 메뉴를 축소하고 시그니쳐 메뉴를 개발하며, 점진적으로 저가 전략을 실현하는 방향으로 브랜드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겠다. 이를 통해 카페 베네의 장기적인 경쟁력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스베누의 경우 지속적인 품질 이슈로 인한 브랜드 가치 저하와 브랜드의 시각적 이미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
참고 자료
한겨레, <장수 브랜드의 성공과 실패 조건>,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888852.html
아주경제, <‘가처분 소송중’ 스베누, 가맹점 사업 논란>,
https://www.ajunews.com/view/*************0704
서울경제, <신발브랜드 '스베누', 2년만에 폐업…"모든 활동 전면 중단">,
https://www.sedaily.com/NewsView/1L2LP1A6I1
최민욱, <카페베네 사례연구>, 춘계광고학술세미나
엄승섭·김현도·김동순. (2021). 한국 기업의 사회적책임 활동이 경영성과 및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경영교육연구」, 36(6): 169-187.
최준혁·양동훈·김주원. (2022). 기업의 사회적책임(CSR) 활동이 재무곤경 완화에 미치는 영향:기업수명주기를 중심으로. 「세무와회계저널」, 23(4): 189-226.
이영화. (2024). 저가 커피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비주얼 아이덴티티에 대한 연구 -메가MGC커피, 컴포즈커피, 빽다방, 더벤티 중심으로-. 「조형미디어학」, 27(2): 107-116.
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405290100281710018885&servicedate=20140528 <스포츠조선> - 카페베네, 실적 부진에 이미지 추락으로 증시상장 물건너 가나?
http://education.mk.co.kr/v1/?c_num=369&mn1=issue&mn2=imo&mn3=view&page=5
- [CEO lounge] 강훈 망고식스 사장
http://blog.naver.com/ehdnr09?Redirect=Log&logNo=150112357009
<네이버 블로그> - 카페베네 중국 시장 진출 FDI
http://gongyuan1872.blog.me/220000134904
<네이버 블로그> - "떠오르는 중국 카페시장을 노려라!“
http://www.choic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759
<초이스경제> - 카페베네, 동남아에서 한국카페 전도사 된다
http://cafe.naver.com/specup/327813
<네이버 카페 - 스펙 업> - [설문결과-BEST 커피전문점] - ‘맛’은 ‘스타벅스’, ‘분위기’는 ‘카페베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