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기업은 자신이 개발한 제품의 개념을 고객에게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고객을 분류하고 그들의 욕구를 반영한 제품을 만들어 냅니다. 우리 주변에서 시장세분화를 통한 타겟마케팅의 성공사례라고 생각되는 제품을 선정하고, STP전략 관점에서 분석/설명하세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STP 전략 개요
2.1. 시장세분화(Segmentation)
2.2. 표적시장 선정(Targeting)
2.3. 포지셔닝(Positioning)
3. 코카콜라 제로의 STP 전략 분석
3.1. 시장세분화
3.2. 표적시장 선정
3.3. 포지셔닝
4. 현대 자동차 그랜저의 STP 전략 분석
4.1. 시장세분화
4.2. 표적시장 선정
4.3. 포지셔닝
5. STP 전략의 성공 요인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대 사회의 소비자들은 기업 간의 치열한 경쟁과 다양한 마케팅 활동에 노출이 되어있다. 기업에 있어 마케팅은 타겟팅 선정과 이에 따른 포지셔닝 전략을 세우는 중요한 과정이 된다. 고객의 욕구를 명확히 이해하고 포지셔닝이 분명해지며 과정에 차별화된 시장의 기회를 포착해 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차별화된 시장기회에 집중함으로써 효율적인 마케팅을 가능해지도록 만든 것이 바로 시장세분화다. 따라서 시장세분화를 통한 타겟팅은 STP 전략에서 핵심이 되는 분석 과정으로 기업이 그들의 제품을 시장세분화로 정해진 타겟팅에 정확히 전달하기 위해 여러 변수를 활용해 접근 전략을 세우게 된다. 마케팅은 생산과 영업, 유통 등과 더불어 기업이 제품을 판매하고 매출을 일으키는 데 있어서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이다. 기업은 고객에게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적절히 자신들의 제품을 홍보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마케팅 전략의 성패에 따라 신제품의 성공적인 시장 안착 여부 역시 달라진다. 마케팅 전략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 중 하나로 STP가 있다. 본론에서는 STP 전략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 사례를 바탐으로 설명해 보고자 한다.
2. STP 전략 개요
2.1. 시장세분화(Segmentation)
시장세분화(Segmentation)는 기업들이 전체 시장을 공략하기 어렵기 때문에 자사가 가장 자신 있게 공략할 수 있는 세분시장으로 소비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시장세분화는 시장을 세분화하는 기준변수를 파악하고, 각 세분시장의 프로파일을 개발하며, 세분시장 매력도를 평가하여 표적시장을 선정하고, 표적시장별로 포지셔닝과 마케팅 믹스를 개발하는 단계를 거친다.
시장세분화의 목적은 첫째, 새로운 시장기회를 탐색·파악할 수 있다. 둘째, 자사와 경쟁사의 강점, 약점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셋째, 변화하는 시장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넷째, 적합한 촉진 매체와 기술을 선택할 수 있다. 다섯째,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정확하게 충족시킬 수 있다. 여섯째, 경쟁사와 다른 세분시장을 대상으로 하여 경쟁을 줄일 수 있다.
시장세분화에 사용되는 변수에는 지리적 변수, 인구통계적 변수, 심리도식적 변수, 행동적 변수 등이 있다. 지리적 변수와 인구통계적 변수는 소비자의 가치 변화를 파악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소비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는 심리도식적 변수와 행동적 변수 활용이 증대되었다.
2.2. 표적시장 선정(Targeting)
표적시장 선정(Targeting)은 시장세분화 과정에서 식별된 세분시장 중에서 기업이 집중적으로 공략하고자 하는 목표 고객 집단을 선정하는 단계이다.
현대 자동차 그랜저의 경우 표적시장으로 중상의 상류층이나 사회적으로 높은 지위를 가진 사람들, 또는 그렇게 보이고 싶은 사람들을 선정하고 있다. 그랜저는 수입차가 주를 이루고 있는 중대형 세단 시장에서 차별화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많은 경쟁 업체들이 남성성, 제품의 브랜드 가치 등을 강조하며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구축해 나가고 있는 가운데, 그랜저는 시장을 더욱 세분화함으로써 이전보다 많은 대상들에게 적극적으로 소구하고 있다. 그랜저의 차별화 전략은 세분시장의 상이한 욕구에 대응할 수 있는 마케팅 믹스를 개발하고 적용하여, 표적시장의 대상별 다른 관점의 성공에 대해 이야기함으로써 소비자의 구매 욕구와 심리를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그랜저의 최근 광고에서는 퇴사하는 날, 동창회,...
참고 자료
네이버지식백과 – 시장세분화
네이버 블로그 - 니즈와 원트의 이해 https://blog.naver.com/ffwangu85/223343549152
네이버 블로그 – 마켓팅의 시작_포지셔닝을 위한 시장세분화
https://blog.naver.com/voicec/222192923131
네이버 블로그 - 새로운 트렌드 '디토 소비'로 떠오르는 다이소, 올리브영
https://blog.naver.com/lifehealthaj/223350408037
K뷰티에 다이소 참전···가격경쟁력으로 CJ올리브영에 응수-시사저널e
https://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304378
“5000원의 기적”...다이소, ‘新뷰티 채널‘로 급부상-스포츠한국
https://sports.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6840822
브랜드 STP 전략론 손영석, 나운봉 저 | 비앤엠북스 | 2006.02.01.
방용태. (2017). 마케팅관리론. 초아출판사.
현대차 '더 뉴 그랜저', '2020 성공에 관하여' TV 캠페인 5편 온에어, 브랜드브리프, 2020.06.16.확인. http://www.brandbrief.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69
"우리 성공하면 뭐할까?"···그랜저 광고, 이번에도 통했다, 중앙일보, 2020.06.16.확인.
https://news.joins.com/article/23639784
[손재철의 이 車를 말한다] 젊은 그랜저… 변신 성공한겨?, 스포츠경향, 2020.06.16.확인.
http://sports.khan.co.kr/bizlife/sk_index.html?art_id=201912260700033&sec_id=563002#csidxd686334572a959eae1148240da765c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