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백내장
1.1. 백내장의 원인
1.1.1. 선천성 백내장
선천성 백내장은 대부분 원인 불명이며 유전성이거나 태내 감염, 대사 이상(특히 당뇨)에 의한 것도 있다. 태아 발달 과정에서 유전적 또는 태내 감염 등의 원인으로 인해 수정체가 혼탁해지면서 생기는 백내장을 선천성 백내장이라고 한다. 선천성 백내장은 출생 직후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증상으로는 시력저하, 사물의 변색, 겹보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유전적 요인이 강할 경우 가족력을 확인할 수 있고, 특정 산모 질환이나 약물 투여로 인한 경우에는 산모의 병력 청취가 도움이 된다. 이러한 선천성 백내장은 조기에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영유아기 시력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1.1.2. 후천성 백내장
후천성 백내장은 노화에 따른 변화로 생길 수 있는 가장 흔한 형태의 백내장이다. 노년 백내장이 가장 대표적이며, 외상이나 전신질환, 눈 속의 염증, 약물(특히 스테로이드) 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후천성 백내장의 발생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는 당뇨병 등의 질병관련 요인, 흡연과 음주 등의 생활습관 관련 요인, 자외선(태양빛)에 대한 과도한 노출 등의 환경요인, 그리고 가족 중 백내장 환자가 있는 경우의 유전요인 등이 알려져 있다.
후천성 백내장은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하며, 발병 초기에는 특별한 이상증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수정체 혼탁이 진행됨에 따라 시력감퇴, 빛이 퍼져 보임, 눈부심, 물체가 여러 개로 보임, 사물의 색깔이 붉거나 노랗게 왜곡되어 보이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후천성 백내장의 노화 외에 발생위험을 높이는 요인은 상당히 다양하며, 이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1.2. 백내장 대상자 사정
백내장 대상자 사정은 시력장애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백내장은 수정체가 혼탁해져서 시력이 저하되는 질병이므로 대부분의 경우 시력장애 이외에 별다른 통증은 동반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백내장은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하며, 발병 초기에는 특별한 이상증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수정체 혼탁이 진행됨에 따라 시력감퇴, 빛이 퍼져 보임, 눈부심, 물체가 여러 개로 보임, 사물의 색깔이 붉거나 노랗게 왜곡되어 보이는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백내장이 심할 경우 동공(눈동자)이 뿌옇고 흐리게 보일 수도 있다.
백내장의 발생 초기에는 수정체의 굴절력이 증가되면서 일시적인 근시상태가 되므로 돋보기를 쓰던 사람이 안경 없이도 가까운 글씨를 잘 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백내장을 의심해야 할 신호이다. 그러나 백내장이 진행하여 수정체 혼탁이 더욱 심해지면 시력은 다시 나빠지게 된다.
따라서 백내장 대상자 사정 시에는 이러한 시력 변화와 증상 유무를 면밀히 관찰하고 확인해야 한다.
1.3. Extracapsular Cataract Extraction(ECCE)
Extracapsular Cataract Extraction(ECCE)는 공막(흰자위막, sclera)을 절개하여 수정체낭(수정체주머니, capsular bag)을 보존하고 수정체만 적출하는 백내장(cataract) 수술 방법이다. 백내장낭외적출술로도 알려진 ECCE는 과거 노년백내장에 주로 사용되었던 방법이다.
우선 안구 윗부분 각공막가장자리에 180도 가까이 절개창을 만들고 각막을 들어 올린 후, 집게나 냉동수술기로 수정체를 적출한다. 경우에 따라 녹내장을 방지하기 위해 주변 홍채의 일부를 작게 절제하기도 한다.
백내장낭외적출술은 수정체 전낭을 가능한 한 둥글게 제거한 다음 핵을 따로 꺼내고 피질을 세척해 낸 후 후낭을 남겨두는 방법이다. 각공막가장자리를 약 3mm로 먼저 절개한 후 수정체낭절개도나 집게로 수정체 전낭을 절개한다. 제거할 수정체핵의 크기만큼 각공막가장자리를 더 크게 절개하여 수정체핵을 꺼내고 피질을 가능한 한 완전히 세척한 후 절개부를 봉합한다.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까지 백내장 수술의 주된 방법이었던 ECCE는 수술 후 난시가 심하고 시력회복이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수정체핵의 경화가 심한 백내장이나, 동공산대가 원활하지 못한 백내장 등 초음파유화술이 제한적인 상황에서는 안전하고 확실한 방법이 될 수 있다."이다.
1.4. 백내장 적출술의 합병증
백내장 적출술의 합병증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우선, 수술 중 감염에 의한 안내염은 시력에 결정적인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녹내장, 안내 출혈, 망막 부종 및 박리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후발 백내장은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수술 후 수정체낭에 수정체섬유 또는 상피의 일부가 증식하여 혼탁된 막을 형성하여 시력저하를 유발한다. 이러한 합병증이 발생할 경우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하지만, 치료가 잘 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최악의 경우 안구 적출술까지 시행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