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pbl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최초 생성일 2024.11.11
5,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파킨슨pbl"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파킨슨병 개요
1.1. 정의 및 원인
1.2. 파킨슨병의 증상
1.2.1. 운동계 증상
1.2.2. 비운동 증상
1.3. 파킨슨병의 진단
1.3.1. 임상적 진단
1.3.2. 관련 진단검사
1.4. 파킨슨병의 병기
1.5. 파킨슨병의 치료
1.5.1. 비약물 지지요법
1.5.2. 약물요법
1.5.2.1. 도파민전구체
1.5.2.2. 도파민 작용제
1.5.2.3. MAO 억제제
1.5.2.4. Catechol-O-Methyltransferase(COMT)억제제
1.5.2.5. 항콜린성 약물
1.5.2.6. 항바이러스약물
1.5.3. 수술요법
1.6. 파킨슨병 환자의 간호
1.6.1. 간호목표
1.6.2. 간호중재
1.6.2.1. 운동과 기동력 증진
1.6.2.2. 자가간호증진
1.6.2.3. 배뇨기능증진
1.6.2.4. 영양상태와 체중유지
1.6.2.5. 의사소통증진
1.6.2.6. 자긍심증진

2. 파킨슨병 환자 사례 연구
2.1. 사례 1: 파킨슨병 환자의 간호과정
2.1.1. 간호사정
2.1.2. 간호진단
2.1.3. 간호목표
2.1.4. 간호중재
2.1.5. 간호평가 및 재조정
2.2. 사례 2: 파킨슨병 환자의 약물요법
2.2.1. 약물 목록
2.2.2. 약물의 작용, 용도, 부작용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파킨슨병 개요
1.1. 정의 및 원인

파킨슨병은 주로 진전(震顫, 떨림), 근육의 강직(剛直) 그리고 몸동작이 느려지는 서동(徐動) 등의 운동장애가 나타나는 질환이다. 파킨슨병은 대부분 중뇌의 흑질 치밀부에 있는 도파민을 분비하는 뉴런의 변성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로 인해 흑질-선조체 도파민성 신경회로에 문제가 발생하여 도파민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상대적으로 증가된 아세틸콜린의 과활동으로 신경흥분의 과잉상태가 초래된다.

파킨슨병의 정확한 발병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독성물질 노출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에서는 가족성으로 발병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파킨슨병은 특발성(idiopathic)으로 발생한다. 즉, 뚜렷한 발병 원인을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1.2. 파킨슨병의 증상
1.2.1. 운동계 증상

파킨슨병의 운동계 증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전(tremor)은 파킨슨병의 가장 흔한 초기증상으로 약 70%의 환자에서 나타난다. 진전은 1초에 4~7회 정도의 비교적 규칙적인 근육의 운동으로 발생하며, 안정 시에 나타나고 수의적인 동작이나 운동 중에는 증상이 감소된다. 진전은 초기에 한 쪽 손가락, 손목관절 등 말단부위에서 시작하여 병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양측성으로 나타나며, 다리, 턱, 혀까지 진전이 확산된다."

둘째, 경직(rigidity)은 수동적인 움직임에 대해 저항이 증가된 상태를 말하며, 환자의 관절가동범위를 제한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경직은 병의 초기부터 나타나며, 몸통 쪽 근육에서 시작하여 점차 얼굴, 팔다리 근육으로 확산된다. 이러한 경직은 납 파이프를 굽히는 것 같은 균일한 저항감(lead pipe type)과 수동 운동 시 근육이 교대로 수축과 이완을 하여 불규칙한 저항감이 느껴지는 톱니바퀴성 경직(cogwheel rigidity)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셋째, 운동완서(bradykinesia)는 움직임이 느리고 동작의 진폭이 작아지는 증상으로, 초기에는 움직임이 줄어드는 정도로 나타나다가 병이 진행되면서 점차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운동완서로 인해 보폭이 짧아지고 질질 끌며 걸음, 팔 흔들림의 감소 등 부자연스러운 보행 양상을 보인다."

넷째, 자세불안정(postural instability)은 보호반사 및 정위반사의 감소나 소실로 인해 나타나며, 자세의 변화나 방향 전환 시 어려움을 겪고 낙상의 위험이 높아진다. 파킨슨병 환자는 구부정한 자세, 고관절과 무릎관절의 굴곡, 팔의 외전 등 특징적인 자세를 보인다."

다섯째, 소서증(micrographia)은 글씨가 점점 작아지는 증상으로, 운동완서와 더불어 파킨슨병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이다. 이 외에도 얼굴 표정의 감소, 침 흘림, 말하기의 어려움 등이 운동계 증상으로 나타난다."

종합하면, 파킨슨병의 주요 운동계 증상은 진전, 경직, 운동완서, 자세불안정, 소서증 등이며, 이로 인해 보행장애, 일상생활동작의 어려움 등이 나타나게 된다.""


1.2.2. 비운동 증상

파킨슨병 환자에서 나타나는 비운동 증상은 다양하다. 첫째, 인지기능 장애 및 정신증상이다. 파킨슨병 환자의 경우 느린 사고과정과 집중력 저하, 수행능력 장애, 공간 지각력 저하 등의 인지기능 장애가 흔하게 나타나며, 비교적 언어기능은 잘 보존된다. 또한 파킨슨병 환자의 30~60%에서 우울증이 동반되는데, 감정의 불쾌감, 염세적인 자세, 슬픈 감정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와 더불어 환각이나 망상 등의 정신증상도 관찰될 수 있다. 둘째, 수면 장애이다. 파킨슨병 환자에서 특발성 REM 수면 장애, 주간 과다 수면증, 수면분절 등의 수면 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셋째, 자율신경계 증상이다. 파킨슨병 환자에서 가장 흔한 자율신경계 증상은 변비와 배뇨장애이며, 기립성 저혈압, 성기능 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넷째, 감각 신경 증상이다. 파킨슨병 환자의 90%에서 후각기능 저하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통증, 화끈감, 저린 감각 등의 감각이상도 보고된다. 다섯째, 언어장애 및 연하장애이다. 파킨슨병 환자의 50~73%에서 저운동성 조음장애로 인한 의사소통 장애가 나타나며, 혀의 운동 저하, 인두 수축 지연 등으로 연하장애도 50~95%의 환자에게서 관찰된다.


1.3. 파킨슨병의 진단
1.3.1. 임상적 진단

파킨슨병은 직접적으로 병을 확인하는 검사법이 없기 때문에 임상적 진단이 가장 중요하다"" 파킨슨병을 진단할 때는 운동완서(bradykinesia)의 증상이 있으면서 경축(rigidity), 안정시 진전(rest tremor), 자세 불안정(postural instability) 등의 증상이 추가적으로 있는지 확인한다"" 그 이후 뇌암, 뇌염, 뇌혈관 질환 및 기타 뇌질환 등을 영상검사 및 levodopa 반응성 등을 통해 파킨슨 유사질환을 감별한 후 최종적으로 파킨슨병으로 진단할 수 있다""


1.3.2. 관련 진단검사

파킨슨병은 신경학적 증상을 기반으로 임상적으로 진단하게 되며, 직접적으로 병을 확인할 수 있는 검사법은 없다. 따라서 다른 유사 질환을 배제하고 파킨슨병을 확진하기 위한 관련 진단검사가 필요하다"

MRI(자기공명영상)는 파킨슨병 진단에 있어 뚜렷한 특징적 소견은 없지만, 다른 이차성 파킨슨증이나 파킨슨증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신경퇴행성 질환과의 감별진단을 위해 사용된다. SPECT(단일광자 방출 전산화단층촬영)는 일반적인 SPECT 검사로는 진단에 큰 도움이 되지 않지만, β-CIT라는 특수한 화학물질을 이용하면 초기 파킨슨병 환자에서도 도파민 신경세포의 손상을 민감하게 탐지할 수 있어 진단에 도움이 된다. PET(양전자 단층촬영) 검사 역시 β-CIT SPECT와 유사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외에도 파킨슨병 환자의 뇌에서 관찰되는 특징적인 병리학적 소견인 루이소체(Lewy bodies)의 검출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통해 도파민성 신경세포에서 루이소체를 확인하면 파킨슨병을 확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파킨슨병의 진단은 임상증상과 병력청취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관련 진단검사를 통해 다른 질환을 감별하고 파킨슨병을 확진하게 된다."


1.4. 파킨슨병의 병기

파킨슨병은 진행 정도에 따라 증상이 다양하므로 치료 시 환자 개인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 시작이나 질병 상태 평가를 위해 임상적 경과와 심각성을 5단계로 구분한 Hoehn-Yahr 척도와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UPDRS) 점수를 활용한다.

Hoehn-Yahr 척도는 파킨슨병을 1~5단계로 구분하여 질병의 진행 정도를 평가한다. 1단계는 한쪽 측에서만 증상이 나타나는 초기 단계이고, 2단계는 양측 증상이 나타나는 단계, 3단계는 균형과 보행 장애가 시작되는 단계, 4단계는 심각한 장애로 독립적인 생활이 어려운 단계, 5단계는 침대나 휠체어에 의존해야 하는 말기 단계이다.

UPDRS 점수는 정신 행동 및 정서, 일상생활 활동, 운동 기능 검사, 약물 치료 부작용, 수정된 Hoehn-Yahr 척도, 일상생활 평가 척도(SEADL)로 구성되어 있다. 각 항목의 세부 점수는 높을수록 증상이 심각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척도들은 주로 연구에서 많이 활용되며, 환자의 질병 상태와 치료 시점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Hoehn-Yahr 척도는 임상에서 간단하게 파킨슨병 환자의 중증도를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이다.


1.5. 파킨슨병의 치료
1.5.1. 비약물 지지요법

파킨슨병 환자의 치료는 언어치료, 작업치료, 물리치료 등이 포함된 재활치료가 필요하다"이다. 이중 주된 것은 운동치료로 환자의 기능을 개선하고 일상생활의 능력을 최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적절한 운동은 기분과 수면 및 파킨슨증상의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재활치료의 기본은 질환의 진행 상태에 따라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며 낙상을 주의하고 절대 무리하지 않는 원칙하에 이루어져야한다.

구체적으로는 근력운동, 유산소운동, 유연성 운동, 보행훈련 등이 시행된다. ...


참고 자료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 하권. 서울: 현문사
약학정보원 (접속일: 2023. 12. 04.),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7f63dftilq8i4

신경림 외(2015). 성인간호학 : 현문사
신나미 외(2017) 성인간호학 : 정담미디어
대한파킨슨병 및 이상운동질환 학회(2017)
서울대학교병원(2007) 간호진단과 계획 : 서울대학교출판부
아산병원 건강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35
질병관리청 건강정보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9240
서울대학교병원 파킨슨센터 건강정보 http://www.snumdc.org/movement-disorders/parkinson-disease/introduction/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