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흡인성폐렴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대상 및 방법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Aspiration pneumonia
2.1.1.1. 정의
2.1.1.2. 원인
2.1.1.3. 병태생리
2.1.1.4. 증상과 징후
2.1.1.5. 진단검사
2.1.1.6. 치료
2.1.1.7. 간호
2.2. 간호과정
2.2.1. 간호사정
2.2.1.1. 일반정보, 간호력, 신체사정, 의식상태사정, GCS, 활력징후, 진단검사, 약물
2.2.2. 간호진단
2.2.3. 간호계획
2.2.4. 간호수행
2.2.5. 간호평가
3. 결론 및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폐렴은 가장 작은 기도와 폐포를 포함하는 폐실질 조직의 급성 염증을 의미하며, 감염 장소에 따라 병원 내 감염과 병원 외 감염으로 구분된다. 이 중 흡인성 폐렴은 기관지 및 폐로 이물질이 들어가 생기는 폐렴으로, 주로 의식수준이 저하된 환자와 위관영양을 하는 환자에게 호발한다.
실습 장소인 SICU 내의 중환자실의 경우 환자들이 주로 두 가지 이상의 병을 혼합적으로 가지고 있었으며 그 중 가장 중복되는 것이 폐렴이었다. 이에 따라 폐렴에 대해 문헌고찰과 사례연구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폐렴환자의 사례를 들어 환자의 증상을 사정하고, 임상에서 대상자에게 해줄 수 있는 간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2.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19년 5월 12일부터 **대학교병원 SICU에 입원한 이??님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이??님은 04월 22일부터 발생한 기침, 가래 주호소로 04. 24 locaL 목포기독병원에서 내원하여 시행한 검사상 aspiration pneumonia 및 cholecystitis 소견으로 antibiotics 사용하여 경과관찰하였으나 증상 호전 보이지 않아 f/e 위해 본원 ER통해 EICU 치료중 상태 호전되어 병동에서 경과 관찰하다 T-cannular 막힌감 있으며 arrest 발생하여 CPR 후 ROSC되어 SICU입원하였다. 본 실습생은 사례연구를 위하여 2019.05.20.~2019.05.29까지의 연구기간 동안 질병의 문헌고찰을 위해 인터넷, 교과서 등으로 논문 자료를 조사하였다. 대상자의 정보 수집을 위해 대상자를 관찰하고, 소통하였으며, 약물에 관한 정보와 일반병리검사 등은 본원 EMR을 참고하였다.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Aspiration pneumonia
2.1.1.1. 정의
폐렴은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이 폐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급성 염증성 호흡기 질환을 의미한다. 감염 장소에 따라서 병원 내 감염과 병원 외 감염으로 구분된다. 병원 내 감염은 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에게 입원 48시간 이후에 발생한 모든 감염성 폐렴을 말하는데, 사망률이 높은 편이다. 흡인성 폐렴은 기관지 및 폐로 이물질이 들어가 생기는 폐렴으로, 주로 병원 내 감염 폐렴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일부 환자의 경우 증세가 보통 48~72시간 내에 좋아지기도 한다.
2.1.1.2. 원인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의 원인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흡인성 폐렴은 병원성 세균이 집락된 위 내의 분비물, 구강 내의 분비물이 식도가 아닌 기관지를 통해 폐로 들어가 감염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특히 노년층 폐렴 환자의 20~30%를 차지한다"
흡인의 주요 원인은 의식수준 저하로 인해 구개반사나 기침반사가 억제된 환자와 위관영양을 하는 환자에서 호발한다. 즉, 신경학적 장애, 약물복용, 알코올 섭취 등으로 인한 의식 저하로 인해 보호반사가 억제되어 음식물, 타액, 위액 등이 기도로 유입되어 폐렴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뇌졸중, 파킨슨병 등 연하곤란을 동반하는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흡인이 잘 일어난다"
2.1.1.3. 병태생리
폐렴은 폐의 분절 또는 폐엽에서 경화가 발생하는 대엽성 폐렴이나 기관지 주위에 널리 반점이 퍼지는 기관지 폐렴으로 발생할 수 있다. 세균이 침입한 후 폐의 침습 정도는 숙주의 방어력에 달려있다. 면역이 저하된 사람에서 세균이 급속히 번식한다. 세균이 증식하여 농양을 만들고 이 농양이 기관지 벽을 관통하면 조직괴사가 일어난다.
병태생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병초기-...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Ⅰ,윤은자 외, 수문사, <호흡기능장애-하부호흡기계 건강 문제와 간호>
기본간호학Ⅱ,송경애 외, 수문사, <산소화>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양영옥 외, 수문사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detail/product.aspx?pid=213973 <약물정보>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흡인성 폐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494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폐렴(성인)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507354&cid=51004&categoryId=51004
서울 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검사정보
https://www.amc.seoul.kr/asan/depts/amccp/K/bbsDetail.do?pageIndex=1&menuId=520&contentId=110302&searchCondition=&searchKeyword=SPUTUM
양선희 외 (2017) 「기본간호학 Ⅱ」, 현문사
조경숙 외 (2016)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최순희 외 (2014) 「간호과정」 현문사
조선대학교 병원 EICU EMR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2013년 차영남, 장효순 외 공저
드럭인포 www.druginfo.co.kr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www.amc.seoul.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