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령화로 가고 있는 사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령화 사회와 노인 문제
1.1. 고령화 사회의 정의와 현황
1.2. 노인 인구 증가와 관련 문제
1.2.1. 저소득 노인의 생활고
1.2.2. 독거노인과 건강 취약 노인의 어려움
1.3. 노인 복지 정책 마련의 필요성
2. 고령화 사회의 원인
2.1. 기대수명 연장
2.2. 저출산 현상
2.2.1. 출산율 하락 요인
2.2.2. 저출산 정책의 한계
3. 고령화 사회에 대한 대응 방안
3.1. 노인 생활 지원 정책
3.1.1. 경로식당 운영 및 식비 지원
3.1.2. 독거노인을 위한 말벗 서비스 제공
3.1.3. 병원비 및 치료비 지원
3.2.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종합적 접근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고령화 사회와 노인 문제
1.1. 고령화 사회의 정의와 현황
고령화 사회는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은 사회를 의미한다. UN의 기준에 따르면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 비율이 7%를 넘으면 고령화 사회로 분류된다. 우리나라는 2017년 13.8%의 노인 인구 비율을 보이며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2025년에는 20.3%로 초고령 사회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로, 1970년대 OECD 국가의 평균 고령화 속도와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가 매우 빠르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급속한 고령화는 사회・경제적으로 큰 부담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다양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한 실정이다.
1.2. 노인 인구 증가와 관련 문제
1.2.1. 저소득 노인의 생활고
저소득 노인들은 식사 문제, 생활비 부족 문제, 사회적 냉대 문제 등 여러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이들은 폐지를 모아 판매하여 일당 5천 원 미만의 삯을 받거나 한 달 수입이 100만 원도 채 되지 않는 매우 저소득 생활을 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하루 두 끼의 식사조차 해결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국가에서 지급하는 기초연금으로 겨우 월세와 식비를 충당하고도 남는 것이 없어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다. 이들은 종종 길거리에서 노숙자로 생활하며 사회의 냉대와 무관심 속에 방치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정부는 저소득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다각도의 정책적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1.2.2. 독거노인과 건강 취약 노인의 어려움
독거노인과 건강 취약 노인의 어려움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화 상대의 부재 문제이다. 고령화에 접어들며 늘어난 독거노인들은 주위에 대화할 상대가 없어 우울증, 조울증 등에 시달리게 된다. 이들은 단칸방에서 홀로 시간을 보내며, 매일 보는 TV마저도 이들을 지치게 만든다. 주변 젊은 이웃들은 독거노인들을 신경 쓰지 않고 자신들끼리만 어울리고 있어, 혼자 사는 건강 취약 노인들은 더욱 소외되어 고립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둘째, 병원비 조달의 어려움이다. 아픈 노인들이 병원을 가고 싶어도 막대한 병원비로 인해 엄두를 내지 못하게 된다. 독거노인이나 건강이 좋지 않은 노인들 중 저소득층인 경우, 병원비를 마련하기 어려워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셋째, 식비 충당의 어려움이다. 독거노인들이나 건강이 좋지 않은 저소득층 노인들은 가족들과의 연락이 잘되지 않아 식사 해결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제대로 된 식사를 하지 못해 건강이 더욱 악화되는 악순환에 놓이게 된다.
종합적으로 볼 때, 독거노인과 건강 취약 노인들은 대화 상대 부재, ...
참고 자료
노년기 의미와 즐거움 : 에릭슨 저 / 한성열 역 / 2000 / 학지사
성인발달과 노화 : 정옥분 저 / 2001 / 교육과학사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노인상담 / 이호선 저 / 학지사 / 2012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노인을 위한 시장은 없다 / 조지프 F. 코글린 저 / 부키 / 2019
노인문제와 노인복지 / 허정무 저 / 협신사 / 2005
노인복지론 : 권중돈 저 / 학지사 / 2016
노인 정신건강과 노인상담 / 홍주연 역 / 학지사 2016
노인교육론 / 임구원 저 / 지식공동체 / 2020
헬로이슈토크] 고령화 도시 부산...노인 복지 대책은?
-2023.03.03., Hello to NEWS-
울산 남구, 경로식당 7곳서 어르신 무료식사 제공
-2023.04.17., NEWSIS-
전여옥, 「고령화 사회의 원인과 노인 복지 정책 마련을 위한 사례 연구」, 전여옥 의원실, 2011
정치학대사전편찬위원회, 『(21세기)정치학대사전』, 아케데미아리서치, 2002
류수덕, 「세계와 한국의 인구 현황 및 전망」, 통계청, 2022
박순옥, 「2023년 고령자 통계」, 통계청, 2023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2000
이상호,이상헌, 「저출산 인구고령화의 원인: 결혼결정의 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2011
윤정현, 『아이 갖기를 주저하는 사회』, 푸른길, 2018
서미숙, 「주택가격 변화에 따른 여성 출산율에 관한 연구」, ‘여성경제연구’ 제 1집 제1호, 2013
이철희, 「한국의 출산장려정책은 실패했는가?:2000년~2016년 출산율 변화요인 분해」, ‘경제학연구’ 제66집 3호,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