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용해도곱상수의 결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용해도곱 상수 결정
1.1. 실험 목적
1.2. 실험 이론
1.2.1. 용해도
1.2.2. 용해도곱 상수
1.2.3. 공통이온 효과
1.3. 실험 준비
1.3.1. 시약
1.3.2. 기구
1.4. 실험 방법
1.5. 실험 결과
1.6. 결과 분석 및 고찰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용해도곱 상수 결정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공통이온 효과와 산-염기 적정을 이용하여 Ca(OH)₂의 용해도곱 상수를 결정하는 것이다.
수산화칼슘(Ca(OH)₂)은 물에 잘 녹지 않는 난용성 염이지만, 물에 일부 용해되어 이온화된다. 이 용해 과정에서 평형이 이루어지며, 이 평형에서 도출되는 용해도곱 상수(Ksp)를 측정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공통이온 효과를 활용하여 Ksp를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수산화칼슘 포화용액에 OH-를 추가로 공급하면 평형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Ca²⁺의 농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 때 Ksp는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용액 내 OH-의 농도 변화를 통해 Ca²⁺의 농도와 Ksp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는 순수한 물과 다양한 농도의 NaOH 수용액에서 Ca(OH)₂의 용해도곱 상수를 결정하고자 한다.
1.2. 실험 이론
1.2.1. 용해도
용해도란 어떤 온도에서 주어진 양의 용매에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최대량을 말한다.""[1]
용해도는 물질의 특성으로 용질이 같더라도 용매의 온도가 달라지면 용해도가 달라진다.""[1] 예를 들어 20도에서 포화용액의 농도는 1.89g/L인 반면 100도에서는 0.66g/L로 용해도가 감소한다.""[3] 이는 온도 증가에 따라 반응이 발열반응인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3]
용해도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가지며, 물에 잘 녹는 물질은 용해도가 크고 물에 잘 녹지 않는 물질은 용해도가 작다.""[1] 예를 들어 NaCl은 36g/100mL의 큰 용해도를 가지지만 AgCl은 1.3x10-5g/100mL로 매우 작은 용해도를 가진다.""[1]
용해도는 온도, 압력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온도가 증가하면 용해도가 증가하고 압력이 증가하면 용해도가 증가한다.""[1] 이는 르샤틀리에 원리에 따라 물질이 외부 변화에 반응하여 새로운 평형을 찾기 때문이다.""[3]
1.2.2. 용해도곱 상수
용해도곱 상수는 난용성 염이 물에 용해될...
참고 자료
국민대학교 일반화학실험 ppt - 5.용해도곱 상수 결정
네이버 지식백과
동아출판, HIGH TOP 화학2, 김봉래
자유아카데미, 일반화학 제 7판
안전보건공단>화학물질정보>MSDS검색
고려대학교 교양화학실 <4. 용해도곱 상수 실험> pdf
Zumdahl Chemistry, 9/ed., Science plus., 2014, chapt.16
‘침전적정’, <화학용어사전>, 일진사, 2011
‘반트호프 식’,<생명과학대사전>, 아카데미서적,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