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사진과 회화
1.1. 사진의 정의
사진이란 화합물이 빛의 작용으로 변화하는 반응을 응용해서 건판이나 필름 인화지 등에 방사 에너지를 작용시켜 대상물체의 영상을 만드는 기술이다. 카메라 옵스큐라의 원리를 발전시킨 카메라를 사용하는 방법과, 감광물질 위에 직접 물체를 놓고 노광시키는 방법(포토그램)이 있다.
1.2. 회화의 정의
회화는 서구에서는 '색을 칠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되며 동양에서는 색을 칠하지 않은 것들도 포함된다. 모두 평면 위의 선과 색에 의하여 어떤 시각형상을 그려내는 점에서는 거의 공통이다. 즉, 회화는 서양에서는 유화나 아크릴 물감 등을 사용하여 그림을 그리는 행위를 의미하지만, 동양에서는 붓과 먹을 사용하여 그림을 그리는 행위를 포함한다. 회화는 작가의 주관적 해석과 표현이 가미되어 평면 위에 시각적 이미지를 재현하는 대표적인 예술 장르라고 할 수 있다.
1.3. 사진과 회화의 차이점
1.3.1. 표현 방식의 차이
사진과 회화의 표현 방식의 차이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 사진은 과학 기술을 이용하여 사물을 그대로 옮기는 인식예술인데 반해, 회화는 공간예술이다. 일반적으로 사진은 시공간의 어느 한 부분이 고정된 모습을 보여주나, 회화는 작가의 종합적인 판단이 담긴 예술로 정의된다. 둘째, 사진은 매우 치밀하게 공간을 분할하고, 현실에 어떤 상황을 재해석해서 매치할지 등 여러 가지 분석을 통해 있는 그대로의 사실만을 담아내지만, 회화는 사람이 그리기 때문에 현실의 사물에서 동기를 얻는다고 해도 그 사물 그대로 옮기는 것이 아니라 자유롭게 이미지를 해석하고 변형할 수 있다."
1.3.2. 시간 표현의 차이
사진과 회화의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는 시간 표현의 차이이다"" 사진은 한 순간의 정지된 모습을 담아내는 반면, 회화는 시간의 흐름을 표현할 수 있다""
사진은 셔터를 누르는 순간의 한정된 시간을 포착하여 그대로 기록하지만, 회화는 작가가 자유롭게 시간의 흐름을 표현할 수 있다"" 즉, 사진은 과거 어느 시점의 모습을 보여주지만, 회화는 과거, 현재, 미래를 아우르며 시간의 변화를 담아낼 수 있다""
더불어 사진은 현실의 모습을 그대로 기록하는 반면, 회화는 작가의 상상력과 해석에 따라 시간을 왜곡하거나 압축할 수 있다"" 따라서 회화는 시간에 대한 표현의 자유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1.3.3. 재현의 정확성
사진은 회화에 비해 재현의 정확성이 뛰어나다.
회화는 작가의 주관적인 해석과 표현이 작품에 반영되지만, 사진은 카메라의 자동적인 작동 원리를 통해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담아내기 때문이다.
사진은 빛의 작용으로 화합물이 변화하는 반응을 이용해 건판이나 필름에 대상물체의 영상을 만든다.
사진은 현실을 기계적으로 포착하여 정확하게 재현하는 특성이 있으며, 이를 통해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