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학부모 상담 일지
1.1. 기본생활
1.1.1. 식습관
영아기는 기호와 선호도가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제공된 문서에 따르면 000 원아의 식습관은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원에서 배식되는 양은 대체로 다 먹는 편이나, 간혹 편식하는 모습이 보인다. 특히 부추, 고기 등의 메인 반찬을 거부하고 싫어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다양한 음식을 접하며 먹어보려는 시도를 보이고 있다. 집에서도 편식이 심각한 편이어서 주로 간식이나 단 음식만을 제공하다보니 균형잡힌 식단을 섭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절대적으로 먹고 싶어 하는 음식 외에는 거부반응을 보여 집에서는 먹이기가 힘들다고 한다. 어린이집에서는 교사의 격려와 지원 속에 조금씩 다양한 반찬을 시도해보고 있는 편이다.
또한 식사 중 다른 활동에 집중하다가 흘리거나 중간에 그만두는 모습이 있다. 교사의 도움으로 제공된 음식을 천천히 먹도록 격려하고 있으며, 식사시간에 자리를 지키며 집중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다. 한편 집에서는 밥 대신 간식을 먹으려 하거나, 사탕을 요구하며 울기도 하는 등 건강한 식습관 형성이 어려운 모습을 보인다고 한다.
이처럼 기관과 가정의 식습관 지도 방식에 차이가 있어, 원내에서 형성된 긍정적인 식습관이 가정에서 지속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균형 잡힌 영양 섭취와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위해서는 기관과 가정이 협조하여 일관된 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1.2. 배변습관
배변습관
배변습관에 있어서 아동은 아직 배변에 대한 의사를 명확하게 표현하지 못하고 있다. 교사의 관찰에 따르면 아동이 배변 이후 교사에게 손짓으로 불편함을 표현하고 편안한 기저귀 갈이를 받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아동이 배변을 하고 난 뒤 엉덩이를 들어올리거나 바닥에 앉으려는 모습을 보여 배변에 대한 신체적 자각이 시작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직 배변에 대한 의사표현이 뚜렷하지 않아 정기적인 확인과 기저귀 갈이가 필요한 상황이다. 부모 면담 내용에 따르면, 집에서도 아동이 배변 후 비슷한 행동을 보이지만 부모가 바로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배변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이 변비로 인해 배변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모습이 관찰되었는데, 이에 관장 등의 방법으로 도움을 주고 있다. 부모 면담을 통해 가정에서도 변비 증상이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처럼 아동의 배변습관 형성을 위해서는 교사와 부모가 협력하여 아동의 배변 신호를 민감하게 관찰하고 적절한 시기에 화장실 이용을 유도하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