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무역 세상을 바꾸는 아름다운 거래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공정무역 세상을 바꾸는 아름다운 거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공정무역, 세상을 바꾸는 아름다운 거래
1.1. 책 소개 및 저자 소개
1.2. 책의 줄거리
1.3. 인상 깊었던 장면들
1.4. 책에 대한 평가

2. 공정무역이란 무엇인가?
2.1. 공정무역의 정의
2.2. 공정무역의 목적
2.3. 공정무역의 기준
2.4. 공정무역 체계
2.4.1. 공정무역마크
2.4.2. 공정무역의 구조

3. 공정무역의 문제점
3.1. 소득
3.2. 품질
3.3. 아동 교육

4. 직접무역
4.1. 직접무역의 정의
4.2. 직접무역의 기준
4.3. 직접무역의 장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공정무역, 세상을 바꾸는 아름다운 거래
1.1. 책 소개 및 저자 소개

이 책은 저자가 공정무역을 알아보기 위해 돌아본 13개 나라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공정무역 제품의 생산국가인 인도, 네팔 등과 공정무역 제품을 소비하는 국가인 일본, 영국 등을 방문하며 공정무역과 관련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실제로 다양한 나라의 공정무역인들과 소비자들, 생산자들을 만나 전해들은 이야기들과 공정무역이 이루어지는 현장을 생생하게 다루고 있다. 이를 통해 저자는 독자들에게 공정무역이 우리의 삶에서 어떤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를 전해주고 있다.

저자는 1978년 한국교육방송공사의 프로듀서였지만 공직생활을 마치고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고민하고 있었다. 그러던 와중에 한살림운동에 참여하게 되어 환경 프로그램들에 남다른 관심을 가지게 된다. 또한, 한살림 연구소인 '모심과 살림' 운영위원회의에 참석했다가 공정무역에 관해 접하게 되었다. 저자에게 '공정'이란 각별하게 다가왔으며 공정무역은 생태환경의 훼손을 줄이면서 생산하는 농산물이나 생활용품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대안적인 경제생활이 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1.2. 책의 줄거리

2006년 1월 저자는 공정무역을 주제로 한 다큐멘터리의 기획안을 만들기 위해 공정무역을 공부하고 있었다. 이후 '세계공정무역의 날'의 행사를 직접 방문해보고 공정무역의 현장을 답사해보기 위해 일본으로 출발하였다. 일본의 자본주의 소비시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가치의 소비에 대해 알아보았다. 공정무역의 소비국을 다녀온 후 다음은 생산국을 다녀오기 위해 인도를 방문하였다. 이후에도 일본과 인도를 포함해 13개 나라를 방문하였는데 자료조사를 하면서 글로만 보던 생산자들과 소비자들의 삶이 공정무역을 통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직접 알아보게 되었다. 마지막으로는 세계적으로 공정무역을 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한국사람들의 90%가 공정무역을 모른다는 현실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인들이 공정무역에 관심을 가지고 공정무역으로 지구촌의 빈곤문제와 환경문제를 줄이는데 기여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1.3. 인상 깊었던 장면들

이 책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장면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저자는 가나의 카카오 산업을 소개하며 공정무역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가나는 세계 제2의 카카오 생산국으로, 320만 명의 농부와 노동자가 카카오 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운영하는 국가 카카오위원회에서 이들을 착취하여 시장가격의 40%에 불과한 가격으로 카카오를 거래해왔다. 영국의 공정무역 단체인 트윈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나서, 농민들이 자신의 회사를 설립하고 자체적으로 카카오를 판매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해 농민들이 더 나은 대가를 받고 팔 수 있게 되었고, 남은 이익은 마을 공동체를 위해 쓰이게 되었다. 이는 공정무역이 개발도상국의 생산자들에게 정당한 대우를 가능하게 해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저자는 필리핀 네그로스 섬의 설탕 산업에 대해 언급하며 공정무역이 가져온 변화를 설명한다. 19세기 동안 영국 자본가들이 이 섬을 사탕수수 플랜테이션으로 바꾸어 노동자들을 착취했다. 그 결과 많은 노동자들이 빈곤과 기아에 시달려야 했다. 하지만 공정무역 단체인 ATC가 이들을 도와 농지를 확보하고 낮은 이자로 대출을 지원하면서 자립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공정무역은 불공정한 역사적 관계를 해결하고 생산자들의 권리를 찾아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영국을 방문하여 공정무역 단체와 판매자, 소비자들을 만나 공정무역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영국 내에서는 다양한 기관들이 공정무역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많은 시민들이 공정무역 제품 구매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영국이 공정무역을 선도하는 국가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한국의 경우 90%의 국민들이 공정무역을 모르고 있다는 사실은 아쉽게 생각된다"."

이처럼 이 책은 다양한 국가의 공정무역 사례를 소개하며, 공정무역이 불공정한 무역 관계를 개선하고 개발도상국 생산자들의 권리를 보장하는 데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저자가 직접 방문한 현장의 생생한 이야기를 통해 공정무역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1.4. 책에 대한 평가

이 책은 다...


참고 자료

박창순육〮정희, 『공정무역, 세상을 바꾸는 아름다운 거래』, 시대의창, 2010
박창순, 육정희(2010), 공정무역, 세상을 바꾸는 아름다운 거래, 시대의 창
장현숙(2012), 공정 무역 개념을 도입한 사회과 경제 단원 재구성, 성공회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창순(2012), 세상을 바꾸는 아름다운 거래 : 한국공정무역연합, 인물과사상사, 인물과사상 2012년 7월호(통권 171호) 6p~10p
내일신문(2009,3,6), [책으로 읽는 한국경제]여성의 눈으로 공정무역을 탐구
Alex Nicholls∙Charlotte Opal(2010). 공정무역 시장이 이끄는 윤리적 소비. 한국공정무역연합 역. 서울: 책으로 보는 세상,
박창순. (2012). “세상을 바꾸는 아름다운 거래: 한국공정무역연합”, 인물과사상, 2012년 7월호(통권 171호), pp. 6-10
[국내. 저자 없음] Fairtrade Korea. “공정무역의 기준“ 국제공정무역기구 한국사무소 홈페이지, http://www.fairtradekorea.org/main/user/userpage.php?lpage=p3_2_kr. (2016. 06 10 방문)
Raluca Dragusanu∙Nathan Nunn (2014). “The Impacts of Fair Trade Certification: Evidence From Coffee Producers in Costa Rica”, Cambridge, MA, United States, p.16-23
Colleen E. H. Berndt (2007). “Is Fair Trade in Coffee Production Fair and Useful?: Evience from Costa Rica and Guatemala and Implications for Policy”, Mercatus Center George Mason University, Washington, USA , p. 22.
Jeffrey Beyer (2008). “The Impacts of Fair-Trade Coffee in Producer Countries”, Department of Economics Carleton University, Ottawa, Ontario, Canada P. 72
Anton Hartwich Olsen (2012). “Analysing The Direct Trade Model: A study of a promising market based trend in ethical coffee sourcing”, Copenhagen Business School, Copenhagen, Denmark.
Fairtrade International: FLO.(2016). “FAIRTRADE MINIMUM PRICE AND FAIRTRADE PREMIUM TABLE”, Bonn, Germany, p. 4, 09.06.2016
Fairtrade International: FLO. (2015). “Scope and Benefits of Fairtrade: Seventh Edition 2015”, Bonn, Germany, p. 11, 27, 71, 168.
Fairtrade International: FLO. (2011). “Fairtrade Standard for Small Producer Organizations”, Bonn, Germany, p. 23
Fairtrade Foundation. (2012), “Fairtrade Foundation, Fairtrade and Coffee: Commodity Briefing”, London, UK. P. 14
[외국. 저자 없음] Fairtrade International :FLO. “Standards”, Fairtrade International: FLO, http://www.fairtrade.net/standards.html. (2016. 06. 09 방문)
[외국. 저자 없음] Fairtrade International: FLO. “Fairtrade Minimum Prices”, Fairtrade International: FLO, http://www.fairtrade.net/about-fairtrade/what-is-fairtrade.html. (2016.06.11 방문)
[외국. 저자 없음] Fairtrade UK. “Using The Fairtrade Mark”, http://www.fairtrade.org.uk/en/what-is-fairtrade/using-the-fairtrade-mark. (2016.06.11 방문)
[외국. 저자 없음] Intelligentsia Coffee, “Intelligentsia Coffee”, Intelligentsia Coffee, http://www.intelligentsiacoffee.com/content/direct-trade. (2016. 06. 11 방문)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