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스페인황금시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스페인 황금시대 연극과 엘리자베스 연극의 비교
1.1. 연극 배경
1.1.1. 스페인 연극의 배경
1.1.2. 엘리자베스 시대의 시대적 배경
1.2. 극장 구조의 차이
1.2.1. 스페인의 극장구조
1.2.2. 엘리베자스 시대의 극장구조
2. 에스파냐의 흥망성쇠와 신대륙 발견
2.1. 아메리카 대륙의 발견과 에스파냐의 부강
2.2. 인플레이션 현상과 에스파냐의 몰락
2.3. 신대륙 발견이 일으킨 나비효과
3. 콜럼버스
3.1. 시대적 배경
3.2. 인물의 업적 및 활동 내용
3.3. 역사에 끼친 영향
3.4. 인물에 대한 의견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스페인 황금시대 연극과 엘리자베스 연극의 비교
1.1. 연극 배경
1.1.1. 스페인 연극의 배경
스페인의 연극이 르네상스와 직접적인 연결을 갖추지 못한 이유는 무려 800년간에 걸친 무어족과의 투쟁 때문이다. 아프리카의 북쪽 해안을 따라 부단히 침공해 온 무어족과의 투쟁 끝에 기원 800년경에 북쪽 영토를 해방시킬 수 있었으나, 전국을 통일한 것은 15세기 후반의 일이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서 스페인에서는 무엇보다도 국민의 단결이 요구되었고, 기독교의 기지를 발휘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기독교 중심의 강력한 체제가 당연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이에 따라 왕권이 절대적임은 당연한 일이었다. 이리하여 스페인에서는 유럽의 어떤 나라에 비해서도 절대주의가 일찍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나 정상적으로 발전한 사회와는 달리 스페인에서는 중산층의 출현을 억제하고 오히려 하급 귀족의 힘을 빌렸으며, 농민의 힘을 통일의 수단으로 이용하였다. 이는 황금시대의 연극이 다분히 농민층이나 도시 서민층을 영합하려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또한 봉건적 색채가 강한 사회에서 교회절대주의를 견지하는 정책은 종교극을 권장하였으며, 이 종교극은 타국과는 달리 17세기 이후까지도 존속되었다.
1.1.2. 엘리자베스 시대의 시대적 배경
엘리자베스 시대의 시대적 배경은 당시 영국의 사회상과 그리스 황금시대의 사회상에서 유사점이 많았다. 당시의 London과 희랍 시대의 Athene는 비슷한 사회적 배경을 지니고 있었다. 그 공통점으로는 현세 생활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강한 의욕에 들떠 있었던 바 상업과 무역이 크게 발달하였으며 세계적인 국민으로서의 자부심이 강했던 것이다. 영국은 1588년 스페인의 무적함대를 무찔렀고 Athene는 기원전 5세기 초에 페르시아 군을 격파하였던 것이다. 이리하여 영국에는 위대한 국민으로서의 자부심이 생겼고, 전승, 해외 진출로 인하여 그들의 시야가 넓혀졌으며, 국민은 장래의 무한한 가능성을 믿게 되었다. 그러나 엘리자베스여왕이 통치하던 당시에 이렇다 할 연극 이론이 없었던 사실은 주목할만하다. 이론에 기초를 둔 예술만이 항구적인 의의를 갖는다는 상식을 뒤집기 때문이다. 중등 교육밖에 받지 않았던 Shakespeare는 고전극의 의의나 법칙에 대해 거의 무관하였던 극작가이다. 그는 희곡이 갖는 종교적 또는 교육적 효용 가치라든가 그 이론에 구애됨이 없이 연극 본래의 권위만을 믿고 자유분방한 상상력을 구사하여 근대 연극의 형식을 터놓았던 것이다.
1.2. 극장 구조의 차이
1.2.1. 스페인의 극장구조
스페인의 극장구조는 당시 스페인의 연극이 대중적으로 성행하기 시작하면서 변화를 겪었다. 초기에는 궁정과 대학 구내에서 공연이 이루어졌으나, 16세기에 들어 주로 2층 또는 3층으로 된 네모진 형태의 여관 또는 주택의 중정인 Patio에서 대중을 위한 공연이 이루어졌다. Patio 형태의 극장에서는 입구 맞은편 정면에 무대가 설치되었고, 관객들은 중정에서 서거나 앉아서 관람하거나 2층 발코니에서 관극하였다. 그러나 스페인 북부 지방에서는 Corrales라 불리는 밀집된 가옥 한가운데의 공터에서 연극이 공연되었는데, 배우들은 주변 가옥의 벽을 배경으로 무대를 만들고 관객들은 그 공간을 좌석으로 활용하였다. 초기에는 일요일과 축제일을 제외하고 공연이 금지되었으나 17세기에 들어서는 토요일을 제외하고 언제든 공연이 허용되었다. 공연은 주로 오후 2시에 시작되었으며, 공연 전에 음악 연주와 행렬을 통해 관객을 모으는 행사가 있었다.
1.2.2. 엘리베자스 시대의 극장구조
당시 영국에는 순회 극단이 많았다. 이 순회 극단들은 보통 여관 앞 뜰에서 공연하였다. ...
참고 자료
권홍우, 『부의 역사 : 대항해 시대에서 석유 전쟁까지』, 인물과 사상사, 2008
주경철, 『대항해 시대-해상 팽창과 근대 세계의 형성』,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토마 아베르코른, 『콜럼버스는 아메리카를 발견하지 못했다』,윤미연 옮김, 다른 세상, 2006
에드워드 사이드,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 박홍규 옮김, 교보문고, 2007
카를로 M. 치콜라, 『스페인 은의 세계사』, 장문석 옮김, 미지북스, 2015
김희순, 「오브라헤를 통해 살펴본 스페인 식민지의 경제체제 : 누에바 에스파냐 부왕령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이베로아메리카硏究 제25권 1호, 2014
신정환(2016).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항해와 아메리카의 발명. 중남미연구 제35권 제3호, 113-126
이정현(2011). 유럽과 아메리카의 불운한 만남 콜럼버스 아메리카 대륙 발견. 새가정 제58권 제637호, 50-53
정종훈. 콜럼버스는 참수, 처칠엔 욕설…서양판 '적폐 청산'이 왔다. 중앙일보, 2020. 6. 1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