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현대 사회는 복잡성과 얽혀있는 이해관계 간의 대립 및 현실적 제약들로 인하여 목적과 해결책이 명확하지 않아 해결이 어려운 사회 문제, 즉 난제의 성격을 갖고 있다. 이러한 난제로는 환경, 경제, 복지와 양극화 등의 문제가 있다. 게임은 현실과 동떨어진 허구의 놀이로 생각할 수 있으나 게임 속 허구는 현실과 중첩되면서 한편으로 현실을 반영한다. 게임을 구성하는 요소로는 규칙과 놀이이고, 이 둘의 상호작용 가운데 가상과 현실이 중첩되는 경험이 구성되는 것이다. 게임을 할 때는 특별한 틀 안에서 규칙성과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다. 허구의 이야기는 게임의 규칙을 참가자가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고 게임의 규칙은 플레이어가 허구의 게임을 상상하고 계속해서 몰입하도록 돕는다. 그래서 게임 속 허구적 이야기는 단지 가상에 머무는 것이 아닌 현실 속 참가자를 움직이도록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2. Serious Game 기획하기
2.1. Serious Game 기획하기의 개요
Serious Game은 일반적인 게임과 달리 entertainment가 아닌 교육, 치료, 홍보 등의 목적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는 게임의 한 유형이다. 예를 들어 유엔 세계식량계획(WFP)의 난민 구호활동을 게임화한 '푸드 포스(Food force)'는 난민에게 구호 물품을 보급하는 미션을 수행하며 기근 문제를 알리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Serious Game 기획은 이와 같이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게임 개발 아이디어를 기획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먼저 게임을 통해 알리고자 하는 사회문제를 정의한 후, 이를 어떻게 게임화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 여기에는 게임의 플랫폼, 장르, 타겟 유저, 스토리, 구현 방법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Serious Game 기획은 해결이 어려운 사회 문제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고 변화를 촉구하기 위한 매체로 활용된다.
2.2. Serious Game의 목적과 특징
Serious game은 entertainment가 아닌 교육, 치료, 홍보 등의 목적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는 게임의 한 유형이다. 즉, 현실세계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교육적이고 실용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 기능성 게임은 이러한 Serious game의 특성을 잘 드러내는데, 게임의 재미요소와 특성을 활용해 의도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대안적인 게임을 의미한다. 1970년대부터 논의되기 시작한 기능성 게임은 2000년대 이후 활발하게 제작되어 교육, 마케팅, 군사 훈련 및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복잡성과 이해관계의 대립으로 해결이 어려운 사회 문제, 즉 난제들에 대해 대안을 모색하고 변화를 촉구하는 매체로 활용되고 있다. 게임은 현실과 동떨어진 허구의 놀이로 생각될 수 있으나, 게임 속 허구는 현실과 중첩되면서 한편으로 현실을 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