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화 뷰티풀마인드를 보고 간호과정을 세워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뷰티풀 마인드 (A Beautiful Mind)
1.1. 영화 감상
1.1.1. 천재들의 삶과 불행
1.1.2. 주인공의 조현병 증상
1.2. 조현병 이해
1.2.1. 조현병의 정의
1.2.2. 조현병의 원인
1.2.3. 조현병의 행동특성
1.2.4. 조현병의 진단기준
1.3. 조현병 간호과정
1.3.1. 사정
1.3.2. 진단
1.3.3. 계획
1.3.4. 중재
1.3.5. 평가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뷰티풀 마인드 (A Beautiful Mind)
1.1. 영화 감상
1.1.1. 천재들의 삶과 불행
소위 천재들의 삶이란 어떤 것일까. 분명 그들은 보통사람들과 비교해 보면 비상한 두뇌를 가지고 있으며 남들이 감히 생각하지 못하는 그 무언가를 끊임없이 연구하고 추구한다. 그런데 그들의 삶 속으로 파고 들어가보면 그들이 비상한 두뇌와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고 해서 행복한 삶을 살았다고 한다면 많은 의문점이 남는다. 물론 어느정도 성취감을 맛볼 수는 있겠지만 단순히 그러한 점이 성공적인 삶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천재들의 삶이란, 일반적인 보통사람들의 삶과는 다르다는 의미이다. 너무나도 비상한 사고방식 때문에 일반인들과 다른 삶을 살아야한다는 건 어찌보면 불행함, 그 자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적요건이 주인공을 더욱 더 정신적으로 힘들게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1.1.2. 주인공의 조현병 증상
영화 속 주인공 존 내쉬는 조현병 증상을 다양하게 보여주고 있다. 첫째, 주인공은 피해망상을 보였다. 그는 윌리엄 파처라는 사람이 자신을 죽이려 한다고 믿었고, 소련의 간첩들이 자신을 추적한다고 생각했다. 이처럼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사람들이나 위협이 있다고 굳게 믿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주인공은 환각 증상을 경험했다. 그는 자신의 룸메이트 찰스와 그의 조카 마시, 그리고 파처와 대화를 나누며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이들은 사실 존 내쉬의 환각을 통해 나타난 가상의 인물이었다. 셋째, 주인공은 와해된 언어와 행동을 보였다. 그는 수업 중에 불안하고 혼란스러워하며 횡설수설하는 모습을 보였고, 일상적인 상황에서도 이해할 수 없는 대화를 나누는 등 파편화된 사고를 드러냈다. 넷째, 주인공은 무의욕증과 감정표현 저하 등의 음성증상도 나타냈다. 약물 치료로 인해 정상적인 생활이 어려워짐에 따라 아기가 우는데도 달래주지 않고 멍하게 있는 모습을 보였다. 이처럼 존 내쉬는 다양한 양성증상과 음성증상을 보여주며 전형적인 조현병 환자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1.2. 조현병 이해
1.2.1. 조현병의 정의
조현병은 사고, 인지, 정서, 지각, 행동, 대인관계, 의욕 등 여러 측면에서 장애를 일으키는 뇌기능 장애로, 정신분열증이라고도 불린다. 이는 심한 신경생물학적 부적응 반응을 나타내며 유병률은 여러 요소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략 0.3~0.7% 정도를 차지한다. 조현병의 정신병적 양상은 10대 말에서 30대 중반에 주로 출현하며, 발병 후 5년 이상 계속되는 경우 완전한 회복이 힘들지만 발병 후 2년 이내에 회복하는 경우도 있다.
1.2.2. 조현병의 원인
조현병의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대체로 생물학...
참고 자료
이경희 외.『정신건강간호학』. 서울: JMK. 2017.
김조자.『간호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서울: 현문사. 2008.
차영남 외.『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서울: 현문사. 2013.
이동숙 외.『간호과정』. 서울: FORNURSE. 2014.
송경애 외.『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서울: 수문사. 2017.
송경애 외.『최신 기본간호학』. 서울: 수문사. 2017.
민성길. 『최신정신의학』. 일조각. 2015.
미국정신의학회. 이근후 역.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DSM-IV)[4판]』. 하나의학사. 1997.
[권호식 원장의 정신건강 이야기]증상따라 치료방법 상이한 '조현병’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2016),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p614~618
양수, 이경순, 이정섭, 권혜진, 이미형, 오경옥 (2017), 정신건강간호학 (제5판), 서울: 현문사, p471~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