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철결핍성빈혈 간호과정 연구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
2.1. 병태생리
2.2. 임상 증상
2.3. 진단적 검사와 간호
2.4. 치료
2.5. 간호중재
2.6. 합병증 및 예후
3. 사례연구
3.1. 대상자 사정
3.2. 대상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4. 간호과정: 빈혈과 관련된 피로(Fatigue)
4.1. NANDA 간호진단
4.2. 간호사정
4.3. 간호목표
4.4. 진단적 계획 및 수행
4.5. 치료적 계획 및 수행
4.6. 교육적 계획 및 수행
4.7. 간호평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철분결핍성 빈혈은 여러 원인에 의하여 체내 저장된 철의 양이 정상적인 적혈구 생성에 필요한 양보다 감소하여 발생하는 빈혈을 의미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철분결핍성 빈혈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매년 35만 명을 넘어서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여성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고 한다. 2020년에는 전체 환자 중 여성 환자가 79.2%를 차지한다고 하는데 이는 환자 5명 중 4명이 여성인 꼴이다. 여러 가지 원인이 있지만 여성은 특히나 월경과 임신을 경험하면서 철분을 과다하게 소모하게 된다.
철분결핍성 빈혈은 식단으로도 충분히 완화와 예방이 가능하기에 이번 사례연구를 통해 철 결핍성 환자에 대한 전문적인 간호 지식을 습득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교육을 제공하고자 실시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철분결핍성 빈혈 환자들이 빈혈 관리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자기관리능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
2.1. 병태생리
철분은 헤모글로빈 구성요소의 하나로 철분 부족은 적혈구 생산에 장애를 주게 된다. 성인은 대략 4g의 철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그 중 헤모글로빈에 3g, 간과 골수에 0.5~1g, 나머지는 조직과 효소계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헤모글로빈 합성에 필요한 철분의 불충분한 흡수나 과잉 손실은 철분결핍성 빈혈을 초래한다""
철분결핍성 빈혈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급성 및 만성 출혈이다. 월경은 여성들에게 발생하는 빈혈 중 가장 높은 원인을 차지하고, 위장출혈은 남성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요인이다. 둘째, 철분 식이 부족이다. 특히 철분 요구량이 많은 임산부나 사춘기의 청소년, 유아와 어린이 등에서 철분이 충분히 섭취되지 않았을 때 증상이 유발된다. 셋째, 장내 흡수력 저하이다. 섭취된 철분은 십이지장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십이지장을 절제하거나 우회술을 받은 환자, 십이지장 내 철분의 흡수면적이 변화되거나 파괴되는 질환에서는 철분 흡수가 방해를 받게 된다.
2.2. 임상 증상
철 결핍성 빈혈의 임상 증상은 다음과 같다.""
가벼운 빈혈은 대개 증상이 없다. 그러나 심해지면 창백, 현기증, 추위에 예민한 증상 등 전형적인 빈혈 증상이 나타난다. 전신적 증상으로 피로감, 무기력함, 운동능력 저하 등이 나타난다. 혈액이 산소 부족 상태가 되면 심장이나 폐가 이를 보충하기 위해 과도하게 활동해야 하므로 장기에 부담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심계항진, 흉통, 호흡곤란, 심장비대, 기능성 심잡음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가벼운 정도의 빈혈인 경우에는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특히 성인인 경우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본인이 느낄 수 있는 자각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운동을 하거나 계단을 오르는 경우에는 증상이 나타나는 빈도가 높아진다.
빈혈이 진행되면서 머리카락과 손톱이 부서진다. 아주 심한 경우에는 연하곤란(dysphagia), 구내염(stomatitis), 위축성 설염(atrophic glossitis) 등이 나타나는데 이들 3개 증상을 일컬어 플러머-빈슨 증후군(Plummer-Vinson Syndrome)이라고 부른다. 그 외 구각염(cheilitis), 두통, 이상 감각, 혀의 작열감 등이 나타나는데 이들 증상은 모두 조직 내의 철분 부족으로 발생된다.""
2.3. 진단적 검사와 간호
철분결핍성 빈혈의 진단적 검사와 간호는 다음과 같다.""
철분결핍성 빈혈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간단한 혈액검사로 이루어진다. 먼저 혈색소(hemoglobin) 검사를 통해 혈중 헤모글로빈 농도를 확인한다. 정상 성인 남성의 혈색소 수치는 14-18g/dL, 성인 여성은 12-16g/dL이지만 철분결핍성 빈혈 환자의 경우 이보다 낮게 나타난다.
다음으로 혈구용적(hematocrit) 검사를 시행하여 적혈구 용적비를 확인한다. 정상 범위는 성인 남성이 42-52%, 성인 여성이 37-45%이지만 철분결핍성 빈혈 환자에서는 감소된 수치를 보인다.
또한 적혈구 지수인 평균적혈구용적(MCV), 평균적혈구혈색소량(MCH), 평균적혈구혈색소농도(MCHC)를 측정하여 빈혈의 형태학적 특징을 확인한다. 철분결핍성 빈혈 환자에서는 MCV와 MCH가 감소하고 MCHC도 낮은 수치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혈청 철(serum iron), 총 철결합능(total iron binding capacity, TIBC), 혈청 페리틴(serum ferritin) 수치를 확인한다. 철결핍성 빈혈에서는 혈청 철과 페리틴 수치가 감소하고 TIBC는 증가한다.
이러한 혈액검사 결과를 토대로 철분결핍성 빈혈을 진단할 수 있다. 간호사는 환자의 검사 결과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의사와 협력하여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4. 치료
철분결핍성 빈혈의 치료는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경구용 철분제 복용, 철분 주사제 투여, 수혈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먼저 경구용 철분제 투여가 가장 기본적인 치료 방법이다. 철분제는 대부분 십이지장에서 잘 흡수되므로 공복 시에 투여하거나 식사와 함께 섭취하도록 한다. 철분제 투여 시 위장장애나 변비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점진적으로 용량을 늘린다. 대표적인 철분제로는 황...
참고 자료
정철원. 빈혈의 이해[internet]. 삼성서울병원. 건강이야기;2014[cited 2022].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29094&CONT_SRC=HOMEPAGE&CONT_ID=3885&CONT_CLS_CD=001027
서울아산병원. 철결핍빈혈[internet]. 질환백과.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629
김성용. "철결핍빈혈 진단과 최신 치료 경향." Korean Journal of Medicine(구 대한내과학회지), 92.2 (2017): 155-161.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507305
신동엽. "빈혈."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016.2 (2016): 455-468.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2967237
김진석. "빈혈." 대한내과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18.0 (2018): 347-353.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476781
최철원. "빈혈의 감별 진단과 치료."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017.2 (2017):
544-549.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55412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블로그《[유독 여성에게 잘 나타나는 질병] 환자 중 여성이 남성의 4배! 철 결핍성 빈혈 조심하세요! 》
윤은자 외 다수(2019).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백과사전 철결핍성 빈혈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List.do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메리놀병원 낙상예방 안내문
박은영 외 다수(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양선희 외 공저(2018), 기본간호학 1, 2, 현문사
고자경 외 공저(2017), 성인간호학 1, 2, 퍼시픽북스
박은영 외 공역(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공저(2018).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강미정 외 공저(2020).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
최명애. "피로(fatigue)의 기전과 간호." 한국산업간호협회지 2.2 (1995): 25-33.
김재완,이영열,박상대,김원지,and 박운. "빈혈." 의약정보 1996.4 (1996): 64-69. 빈혈증상은 원인치료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