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최초 생성일 2024.11.09
7,7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중장년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중년기 특성과 과제
1.1. 신체적 발달
1.1.1. 신체 및 감각 기능 저하
1.1.2. 생식 및 성적 기능의 변화
1.2. 심리적 발달
1.2.1. 인지적 변화
1.2.2. 정서적 변화
1.3. 사회적 발달
1.3.1. 가정의 운영과 부부관계 유지
1.3.2. 자녀 교육과 부모역할의 변화
1.3.3. 직업적 성취와 은퇴
1.3.4. 노인 부양
1.4. 중년기 발달 과제

2. 중년기의 위기와 대처
2.1. 우울증
2.1.1. 사례 및 증상
2.1.2. 대처 프로그램
2.2. 실직
2.2.1. 실직 실태와 영향
2.2.2. 대처 프로그램
2.3. 이혼
2.3.1. 사례
2.3.2. 대처 프로그램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중년기 특성과 과제
1.1. 신체적 발달
1.1.1. 신체 및 감각 기능 저하

중년기에는 신진대사활동이 둔화되어 신체구조와 기능의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첫째, 신체구조상의 변화로 인해 체력과 생식능력이 쇠퇴한다. 척추 사이의 디스크가 감퇴하여 신장이 줄어들고, 육체적인 일을 하는 능력이 약화된다. 둘째, 감각기관 능력의 저하가 나타난다. 시각의 경우 40~49세에 노안이 발생하며 가까운 것을 보기 어려워진다. 청각도 40세 이후부터 감퇴가 시작되어 특히 고음에 대한 민감성이 떨어진다. 미각, 촉각, 후각 등의 기관 역시 예민성이 감소한다. 이처럼 중년기에는 신진대사 저하, 신체구조 변화, 감각기능 감퇴 등으로 신체적 기능과 건강이 전반적으로 쇠퇴하게 된다.


1.1.2. 생식 및 성적 기능의 변화

중년기에 나타나는 생식 및 성적 기능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여성의 경우 40대 후반에서 50대 초반 사이에 폐경을 경험하게 된다. 폐경은 난소 기능의 쇠퇴로 인해 월경이 불규칙해지고 여성호르몬이 급감하면서 나타난다. 이에 따라 자궁과 유방 등의 생식기관이 퇴화되고, 갑작스러운 열감 증상인 홍조가 나타난다. 또한 이 시기에는 성적 능력의 저하와 같은 갱년기 장애를 겪게 된다. 이러한 신체적 변화는 여성에게 심리적 고통을 야기하기도 한다.

한편 남성의 경우에는 정자 생성이 중단되는 등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아 생식능력이 유지되지만, 남성호르몬의 현저한 감소로 인해 음성이 고음으로 변하는 등의 변화가 관찰된다. 이를 메타포스 신드롬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여성과 달리 남성은 신체적 고통이 수반되지는 않는다.

이처럼 중년기에는 남녀 모두 갱년기를 겪으며 생식 및 성적 기능이 저하되는 변화가 나타나지만, 그 양상에는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1.2. 심리적 발달
1.2.1. 인지적 변화

중·장년기의 인지적 변화는 다음과 같다.

중·장년기는 지식의 획득보다는 지식의 적용방안으로 인지가 발달하는 시기이다. 즉 연령이 증가하면서 실용적 지식인 지혜를 획득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빠른 속도를 요구하는 과제나 문제를 능숙하게 해결하는 것이 어렵지만, 어휘, 기억력, 문제처리능력을 요구하는 과업은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다. 언어 능력은 계속 증가하거나 안정적인 반면, 비언어 능력은 감소한다. 추상적인 문제해결 능력도 감소하지만, 목표지향적 문제해결 능력은 이 시기에 절정에 달한다.

즉, 중·장년기에도 지능의 일률적인 감퇴는 없으며, 감퇴 여부는 개인의 교육경험,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크고 수행할 과제에 따라 다르다. 대신 실용적 지혜와 같은 지적 능력은 향상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중·장년기는 지적 기능이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시기라고 할 수 있다.


1.2.2. 정서적 변화

중장년기의 정서적 변화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먼저 '중년의 위기'라는 개념이 있는데, 이는 중년기에 접어든 개인이 겪는 심리적 갈등과 스트레스를 의미한다. 이 시기에는 신체적 나이보다는 사회적 나이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자녀의 나이에 따라 중년의 위기가 다가오는 시기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중장년기를 개인적 욕구와 인생의 목표 등을 재평가하는 긍정적인 시기로 보는 '중년의 전환기' 개념도 있다. 이는 갱년기적 신체 변화, 자녀의 독립, 안정된 사회적 자립 획득으로 인한 긴장감 감소, 죽음에 대한 의식 등의 상황적 요인에 의한 자아개념의 재수립과 관련이 있다.

전반적으로 중장년기에는 독립성, 자신감, 개인적 성취의 중요성이 증가하며 자기에 대한 개방성도 함께 증가한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우울증과 같은 정신건강 문제도 빈번하게 나타난다. 중년층의 자살률이 높은 편이며, 50대의 우울증 진단 비율도 가장 높은 편이다.

이처럼 중장년기의 정서적 변화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공존하는데, 이는 개인의 성격, 가족관계, 경제 상황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1.3. 사회적 발달
1.3.1. 가정의 운영과 부부관계 유지

중년기에는 노부모와 성인 자녀 및 손자녀를 거느린 세대로서, 젊은이들의 요구와 노인 세대의 기대에 대한 부담감과 책임감이 크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가정적으로 많은 지원을 해줄 수 있는 안정적인 가정환경이 필요하다. 또한 가족구성원들의 욕구를 이해하고 충족시키는 방식으로 올바른 가정을 조성해야 하는 것이 중년기의 과제라고 볼 수 있다.

...


참고 자료

권재일 / 2011 / 노인들의 라이프스타일이 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양재선 / 2010 / 고령화사회의 노인문제에 대한 교회의 역할 /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이희원 / 2010 /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노인의 인식에 관한역구 / 원광대학교 핵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이선정 / 2009 / 노인생활실태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수원시를 중심으로 / 아주대 공공정책대학원
김마태 / 2007 / 노인학대 인식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 장로회식학대 목회전문대학원 사회복지학
권택호 / 2006 / 노후계획과 투자 / 집문당
이해영 / 2006 / 노인복지론 / 창지사
김태현 외 2 공저 / 2011 / 노인복지론 / 도서출판 구상
박차상 외 5 공저 / 2002 / 한국노인복지론 / 학지사
고령자통계 / 2015 / 2015 고령자통계 ‘2015년 주요결과’ / 통계청
고령자통계 / 2014 / 2014 고령자통계 ‘고령자가 경험하는 어려움’ / 통계청
고령자통계 / 2009 / 2009 고령자통계 / 통계청
고령자통계 / 2008 / 2008 고령자통계 / 통계청
최옥채 외 4인 공저, 201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제 4판, 양서원 254-261쪽
전남련 외 11인 공저, 2010,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개정판, 형설출판사 130-132쪽
임은희, 200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250-252쪽
권중돈·김동배 공저, 200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185-189쪽
강기정 외 4명 공저, 2009,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공동체 257-263쪽
이근홍 저, 201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개정판, 공동체 133-135쪽
이종복·전남련 공저, 200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현사 134쪽
성인발달 및 노인심리학.장휘숙.박영사.2012 pp.120~131 p.158
성인발달의 이해.정옥분.학지사.2003 pp.225~270 pp.296~298
고려사회복지교육원.사회복지사 1급 인간행동과 사회환경.고려에듀케이션.2006 pp.186~187
한국경제매거진(2018).웃지만 울고 있는 중년, 정말 괜찮나 http://magazine.hankyung.com/money/apps/news?popup=0&nid=02&c1=2001&nkey=2018113000163100332&mode=sub_view
갱년기 증상으로 외로움과 우울증을 겪는 남자들_이영돈PD,논리로 풀다 27회 https://www.youtube.com/watch?v=yFexC0hZgaM
지역내일신문(2018). 중년 여성의 빈둥지 신드롬. https://www.localnaeil.com/News/View/633682
서울신문(2018). 40세 이상 중장년 재취업해도…5명 중 2명은 월급 ‘반토막’ https://m.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1016020012&cp=seoul
'경력 단절' 여성 184만 명...4년 만에 다시 증가(2018.11.29./YTN NEWS) https://youtu.be/ZOFvIPDz7xk
'정리해고 실직' 40대 가장...폐가서 참변(2013.12.30./뉴스투데이/MBC) https://youtu.be/zE1UZFMHpYU
[뉴스현장] '더는 못 참아'…황혼이혼 급증(2015.11.3./연합뉴스TV) https://youtu.be/U3ayzNFsI50
이미자.중년남성의 실직 스트레스 경험 연구.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기독교상담학전공.박사학위논문(2015) pp.59~60.
심의보,김영희,신성일,정혜숙(2016).인간행동과 사회환경.파워북 pp259~260
한국일보(2018)이혼ㆍ실직ㆍ부도에 은둔형 외톨이로… 위기 내몰린 중년 1인가구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809100942095231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