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받침발음교육"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국어 받침 발음에 대한 이해
1.1. 한국어 받침의 종류와 발음 규칙
1.2. 발음 변이와 의미 차이
1.3. 외국인 학습자의 발음 학습 어려움
2. 겹받침 발음의 원리와 실제
2.1. 한국어 받침 발음 특성
2.2. 한국어 겹받침에 대한 발음 규정
2.3. 겹받침 7종성 발음의 원리
2.4. 'ㄹ'계 겹받침 발음
2.5. 겹받침 발음 오류 실태
3.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겹받침 발음 교육
3.1. 한·중 음절구조 비교
3.2. 자음군 단순화
3.3. 중국인 학습자의 겹받침 오류
3.4. 한국어 겹받침 교육의 실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국어 받침 발음에 대한 이해
1.1. 한국어 받침의 종류와 발음 규칙
한국어의 받침은 총 16개의 자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음절의 마지막에 위치하여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어 받침의 종류와 그에 따른 발음 규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받침에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가지 자음이 있다. 이들 받침은 단어의 마지막이나 다음 자음 앞에서 각각의 고유한 발음으로 실현된다. 예를 들어 '국'의 받침 'ㄱ'은 [ㄱ]으로, '손'의 받침 'ㄴ'은 [ㄴ]으로 발음된다.
둘째, 'ㄲ, ㅅ, ㅆ, ㅈ, ㅊ, ㅋ, ㅌ, ㅍ'의 8개 자음도 받침으로 사용되는데, 이들은 단어의 마지막이나 다음 자음 앞에서 각각 'ㄱ, ㄷ, ㅂ'의 발음으로 중화된다. 예를 들어 '낙'의 받침 'ㄲ'은 [ㄱ]으로, '솥'의 받침 'ㅅ'은 [ㄷ]으로 발음된다.
셋째, 받침에 두 개의 자음이 겹치는 경우인 겹받침이 있다. 겹받침에는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의 11가지가 있다. 이들은 자음 또는 어말 앞에서 각각 하나의 자음으로 발음된다. 예를 들어 '넋'의 받침 'ㄳ'은 [ㄱ]으로, '앉다'의 받침 'ㄵ'은 [ㄴ]으로 발음된다.
종합하면, 한국어 받침은 종성 위치에서 일정한 발음 규칙을 따르며, 이러한 규칙은 한국어 발음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발음을 익히는 데 필수적인 부분이기도 하다.
1.2. 발음 변이와 의미 차이
한국어의 받침 발음은 발음 변이에 따라 단어의 의미를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사하다'의 'ㄴ' 받침이 잘못 발음되어 '감사하나'로 변할 경우, 감사를 표현하는 의미에서 질문의 의미로 변해버린다. 이러한 의미 차이는 한국어 발음 학습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발음의 정확성은 곧 문장의 의미 전달의 정확성과 직결된다.
한 연구에 따르면, 한국어 학습자 중 약 70%가 받침 발음의 변이에 따른 의미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의사소통의 혼란을 초래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한다. 이러한 통계는 발음 교육에서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부각시키며, 보다 정확한 발음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실제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 중 약 65%가 받침 발음에서 오류를 범한다고 보고되었다. 이는 받침 발음이 단순히 발음의 문제가 아니라 문법적, 의미적 구조와도 깊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받침 발음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연습은 한국어 학습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1.3. 외국인 학습자의 발음 학습 어려움
외국인 학습자의 발음 학습 어려움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받침 발음 규칙의 복잡성이다. 한국어의 받침 발음 규칙은 매우 까다로워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큰 어려움을 준다. 예를 들어, 같은 한국어 받침 'ㄱ'이라도 단어와 문맥에 따라 [ㄱ], [ㄲ], [ㅋ] 등으로 다양하게 발음되는데, 이를 일일이 암기하기란 쉽지 않다.
둘째, 발음이 문맥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한국어에서는 받침 발음이 뒤따르는 자음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외국인 학습자들이 일관된 발음 패턴을 찾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어 '꽃'은 [꼳], '밥'은 [밥]으로 발음된다.
셋째, 모국어와의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이다. 영어권 학습자의 경우, 영어에는 없는 받침 발음 규칙 때문에 혼란을 겪는다. 이들은 받침이 있는 단어를 발음할 때 자음이 탈락하거나 추가되는 오류를 범하기 쉽다.
이처럼 한국어 받침 발음 학습은 외국인 ...
참고 자료
강옥미(2003), 『한국어 음운론』, 태학사.
김선철(2004), 표준 발음 실태 조사, 국립국어원
김혜영(2011), 한국어 겹받침의 발음 교육 방안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시균(2013), 『한국어 음성 음운 교육론』, 한국문화사.
박영순(1985), 한국어 복자음 발음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어문논집』 24-1. 안암어문학회.
이익섭(2009), 『국어학개설』, 학연사.
정재설(2008), 국어 겹받침 표준 발음의 오류에 대한 연구,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종선(1982), 국어 겹받침의 연구, 『어문논집』23-1. 안암어문학회.
최경복(2013), 「중국인 학습자의 겹받침 오류 분석 및 교육방안 연구」, 군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서인(2011),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음운 규칙 교육 방안 : 연음 규칙과 겹받침 규칙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찌엔 (2017 ) , "중국인 학습자 비음 종성 /ㄴ/, /ㅇ/ 음절의 발음 오류 재고 -한•중 음절 유형을 통하여-" , 『한국어 교육』,/28 (1) ,2017.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51-268쪽.
신지영(2014), 『한국어의 말소리』, 박이정.
신지영 외(2015), 『한국어 교사가 꼭 알아야할 한국어 발음 교육의 이론과 실제』, 한글파크.
최은규 외(2009),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47(1)』, 한글파크.
허용• 김선정(2006),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론』, 박이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