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임상사례연구(산과용)
1.1. 임부 및 산부 간호
1.1.1. 간호력
임00씨의 간호력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임00씨로 만 35세이며 결혼하신 지 1년 정도 되었고 산과력은 G1,T0,P0,A0,L0이다. 체중은 임신 전 53kg에서 임신 후 75kg으로 22kg 증가했다. 과거병력으로는 신질환으로 신우염을 앓은 적이 있다. 가족병력으로는 산모의 어머니께서 고혈압과 당뇨가 있으신 것으로 나타났다.
피임하던 중 생긴 원치 않았던 아이이며, 임신 전 PPC주사와 다이어트약을 복용한 적이 있다. 자연분만을 계획하던 중 태아의 태위가 둔위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2020년 10월 22일로 수술 날짜를 잡았으며, 제왕절개술을 위해 본원에 내원하였다.
이를 통해 임00씨가 초산모이며, 임신 전 PPC주사와 다이어트약 복용 이력, 태아의 둔위 상태 등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1.1.2. 약물
산모에게 투여된 약물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중외옥시토신주 10IU/1mL가 투여되었다. 이 약물은 자궁수축을 유발하고 촉진하며 자궁출혈을 치료하는 작용을 한다. 분만유도, 분만 후 출혈, 이완성 자궁출혈, 유산, 인공임신중절 등의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투여 시 부정맥, 저혈압, 오심, 구토, 과민증, 자궁경관 열상, 자궁파열, 쇼크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분만 초기에 강도의 자궁경부의 개구부전, 골반협착, 자궁패혈증, 심장/신장/혈관장애, 임신중독증, 다태임부, 양수색전증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금기된다. 이 약물은 10도 이하의 온도에서 냉장 보관해야 한다.""
다음으로, 에르빈주사액(메틸에르고메트린말레산염) 0.2mg/1mL이 투여되었다. 이 약물은 자궁 평활근을 수축시켜 자궁출혈을 방지하고 치료하는 역할을 한다. 태반만출 후, 분만 후, 제왕절개술 후, 유산 후 출혈, 자궁퇴축부전 등의 경우에 사용된다. 부작용으로는 구역, 구토, 복통, 설사, 혈압상승, 혈압저하, 흉통, 흉부압박감, 빈맥, 서맥 등이 있을 수 있다. 임부,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 분만 중인 여성, 자간 환자, 분만 유도 환자, 아두만출전 환자, 고혈압이나 임신중독증 환자, 본 약물이나 맥각 알칼로이드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 등에게는 금기된다.""
세 번째로, 케로라주(케토롤락트로메타민염) 30mg/1mL가 투여되었다. 이 약물은 진통제로, 수술 후 통증, 분만 전후 통증, 암성 통증, 난치성 통증 등에 사용된다. Cyclo-oxygenase의 활성을 감소시켜 prostaglandin의 합성을 차단함으로써 작용한다. 주요 부작용으로는 소화기계 증상(구역, 소화불량, 위장관통증, 설사 등), 전신 증상(때때로 부종, 드물게 아나필락시스, 기관지경련, 후두부종 등), 심혈관계 증상(고혈압, 홍조, 심계항진, 창백, 저혈압, 실신 등), 피부 증상(발적, 가려움, 독성표피괴사용해 등), 혈액 및 림프계 증상(자반병, 수술부위 출혈, 혈소판감소증, 코피 등), 신경계 증상(두통, 발한, 때때로 졸음, 어지러움, 드물게 경련 등) 등이 있을 수 있다. 간장애, 신장애, 고령자, 고혈압 환자, 체액저류 또는 심부전 환자, 위장관 질환 병력이 있는 환자, 기관지 천식 환자 등에게는 주의가 필요하다.""
네 번째로, 대한리도카인염산염수화물2%주(0.4266g/20mL)가 투여되었다. 이 약물은 신경자극 전달에 필수적인 전해질 통로를 차단하여 국소마취 효과를 나타낸다. 경막외마취, 전달마취, 침윤마취, 표면마취 등에 사용되며, 심실성 부정맥, 악성고열, 중추신경계 증상, 과민증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경막외마취시 출혈 또는 쇼크 상태, 염증이 있는 주사부위, 패혈증 환자, 본 약물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 등에게는 금기된다.""
마지막으로, 하나부피바카인염산염주0.5%(0.1g/20mL)가 투여되었다. 이 약물은 부피바카인염산염으로, 말초 지각신경을 차단하여 마취 효과를 나타낸다. 전달마취, 경막외마취, 선골마취 등에 사용되며, 작용시간 연장을 위해 에피네프린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주요 부작용으로는 중추신경계 증상(진전, 경련, 졸음, 불안, 흥분, 무시, 어지러움 등)과 간기능 장애(황달, AST/ALT/ALP 상승 등)가 있다. 중독한 출혈 또는 쇼크 상태, 염증이 있는 주사부위, 패혈증 환자, 본 약물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 등에게는 금기된다.""
1.1.3. 진단검사
임산부 및 산부의 진단검사는 임신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과 태아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된다"이다.
검사에는 산모의 일반 혈액검사, 소변검사, 초음파 검사 등이 포함된다". 일반 혈액검사를 통해 혈색소, 헤마토크릿, 백혈구 및 혈소판 수치 등을 확인하여 산모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소변검사는 단백뇨, 요당, 균 등을 검사하여 임신성 고혈압이나 당뇨 등의 문제를 확인한다". 또한 정기적인 초음파 검사를 통해 태아의 성장 발육 상태와 태반의 이상 유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제왕절개술을 받는 산모의 경우, 수술 전 혈액 응고 상태와 전해질 수치 등을 면밀히 확인하여 수술 및 회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고자 한다"(1). 이처럼 임산부와 태아의 건강을 위해 다양한 진단검사가 수행되며, 그 결과는 산전 관리와 분만 계획 수립에 활용된다".
1.1.4. 간호진단
간호진단 #1 : 제왕절개를 위한 유치도뇨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정의: 신체적 안녕의 위협하는 내적, 외적 위험요인이 있는 상태
사정자료:
주관적 자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