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70년대초등학생아동기문제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아동복지의 발전과 현대 한국사회에서의 의의
1.1. 아동복지의 역사
1.2. 우리나라의 아동복지 발전 과정
1.3. 오늘날 대한민국 아동복지에 대한 고찰
2. 다문화가정 아동
2.1. 다문화가정 아동의 정의
2.1.1. 다문화가정 아동의 개념
2.1.2. 다문화가정 아동의 유형
2.2. 다문화가정 아동의 실태
2.2.1. 다문화 가정의 현황
2.2.2. 다문화가정 아동의 현황
2.3.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제점
2.3.1. 가정에서의 어려움
2.3.2. 교육적 어려움
2.3.3. 사회적 어려움
2.3.4. 정서적 어려움
2.4. 다문화가정 아동 지원방안
2.4.1. 멘토링 프로그램
2.4.2. 비 다문화학생 인식개선 프로그램
2.4.3. 정책적 다문화가정 지원범위 확대
3. 학습장애아에 대한 공식적 장애 판정
3.1. 학습장애아의 특성
3.2. 학습장애아에 대한 '장애' 용어 사용의 찬반
3.3. 학습장애 진단기준의 문제점
3.4. 새로운 용어 전환의 필요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아동복지의 발전과 현대 한국사회에서의 의의
1.1. 아동복지의 역사
아동복지라는 개념이 등장했다는 것은 아동이 개별적인 인격체로 인정받고 존중 받기 시작했다는 증거이다. 즉, 아동복지의 개념이 등장하기 이전에 아동은 독자적인 인격체로 보호 받고 인정받지 못했었다. 아동이 독자적인 인격체로, 인권의 주체로, 그래서 복지의 대상으로 인정받기 시작한 것은 18세기 이후, 즉 근대 사회 이후의 일이라고 할 수 있다. 18세기가 되면 유럽을 중심으로 산업혁명이 시작되고 봉건제도가 붕괴되면서 농촌 인구가 빠른 속도로 도시로 유입되게 된다. 농촌 인구가 도시로 유입되면서 도시에서는 극심한 주거 부족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농촌의 주거지와 비교했을 때 도시의 주거지는 크기가 작을 수밖에 없고, 가족들의 노동력이 생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던 농사와 달리 도시에서의 임금 근로는 가족들의 노동력이 생산과 가계 수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농촌에서 도시로 이주한 사람들 사이에서는 빠른 속도로 핵가족화가 진행되게 된다. 대가족이 핵가족이 되면서 가장 먼저 위험에 놓이게 된 것이 아동이었다. 대가족일 때는 부모가 일을 하는 시간에도 다른 가족 구성원들이 집안의 아이들을 양육해 주는 경우가 많았는데, 핵가족화가 진행되면서 아이들이 부모가 일을 하는 시간 동안 방치되는 일들이 늘어났다. 게다가 부모가 도시로 이주하면서 빈곤 문제를 경험하게 되면서 자녀를 유기하는 경우나 자녀가 일찍 사망하면서 아동이 고아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경우들이 늘어나게 되었다. 그래서 근대 산업혁명 시기가 되면 아동에 대한 보호가 개인과 가정의 문제가 아닌 사회와 국가가 책임져야 할 문제가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아동복지의 본격적인 시작을 18세기 이후로 본다.
1.2. 우리나라의 아동복지 발전 과정
우리나라의 아동복지 발전 과정은 해방 이후 급격한 시대 변화 속에서 출발했다"" 당시 아동복지는 전쟁고아와 기아를 구제하고 보호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해방과 6·25 전쟁으로 인해 아동복지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부터이다"" 그러나 이때만 하더라도 아동복지는 잔여주의적인 성격이 강했다"" 즉, 고아나 기아, 미아처럼 생존에 위협을 받는 아동들을 우선적으로 구호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다"" 이에 따라 해외입양 사업이 아동복지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1960-70년대에 접어들면서 산업화가 본격화되면서 취업여성이 증가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보육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었다"" 이에 영아원, 육아원, 모자원 등 다양한 보육 서비스 기관들이 생겨났다"" 1970년대에는 요보호아동에 대한 국가책임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고, 이에 따라 와 이 각각 제정되었다""
1980년대 이후로 우리나라의 아동복지는 잔여주의에서 보편주의로 전환되기 시작했다"" 1981년 이 으로 개정되면서 아동복지의 대상이 전체 아동으로 확대되었고, 아동복지 제도와 정책도 다양해지고 전문화되었다"" 또한 보육 서비스 제공이 전문가들에 의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그 질도 향상되었다""
종합하면, 우리나라의 아동복지는 해방 이후 전쟁고아와 기아 구제에서 출발하여 1960년대 이후 점차 발전해왔다"" 특히 1980년대 이후 잔여주의에서 보편주의로 전환되면서 아동복지의 범위와 질이 크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1.3. 오늘날 대한민국 아동복지에 대한 고찰
오늘날 대한민국 아동복지에 대한 고찰이다.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최근 우리나라는 저출산 문제로 아이들을 찾아보기 힘들어졌다. 이는 초등학교 통폐합으로 이어지는 등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실제로 서울의 경우 1995년에 83만 1,282명이었던 초등학생 수가 2014년에는 45만 7,517명으로 절반가까이 줄어들었다. 이처럼 저출산으로 인한 미래 세대 인구 감소는 우리나라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아동복지는 그 자체로 매우 중요한 문제이지만, 최근 더욱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아동의 희소가치가 높아지면서 이들에 대한 복지가 더욱 강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아동복지 역사는 비교적 짧은 편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기간에 상당한 발전을 이루어왔다.
1960년대 이후 아동복지 논의...
참고 자료
중앙일보, 김기환, 신진 기자, 2014.8.5. 전교생이 겨우 389명, 431명... 서울 초등학교 첫 통폐합
연합뉴스, 2018.3.5. 무상보육임에도.. 영유아 1명 교육, 보육에 월 20만 원 쓴다
네이버 지식백과
도미향 외,『아동복지론』, 공동체, 2013, P371-373.
박성준, 『한국 ‘다문화 국가’ 급속 진행』, 세계일보, 2010.02.23.일.
한국 보건사회연구원
도미향 외, 『아동복지론』, 공동체, 2006, P377-383
이은주, 『다문화 가정 아동의 차별받지 않을 권리』, 한국아동권리학회, 2011, P6-8
김민정, 『온라인멘토링이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P352-354.
도미향 외,『아동복지론』, 공동체, 2013, P396-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