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노인 우울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1.1. 연구 방법
연구 방법은 노인 우울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RISS 인터넷 학술정보 검색서비스를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위논문(석사, 박사)을 검색하여 분석하였으며, 노인우울과 관련된 년도 별 논문 건수는 2005년 ~ 2010년에는 124건, 2011년 ~ 2015년에는 150건, 2016년 ~ 2022년에는 250건으로 조사되었다.
1.2. 연구 분석
1.2.1. 2005년 ~ 2010년
2005년 ~ 2010년 분석에 따르면 노인 우울에 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주제로 나누어볼 수 있다""
첫째,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노인 우울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가 총 91건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 중 1위는 가족적, 사회적 지지체계와 노인 우울과의 관련성 또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였고, 2위는 노인 우울과 자살과의 관련성 또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였다"" 3위는 노인복지시설 거주사, 노인요양병원 입원환자와 노인 우울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4위는 종교활동과 노인 우울과의 관계, 5위는 빈곤노인, 저소득층 노인과 노인 우울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였다"" 그 외에도 노인일자리, 노인학대, 장애노인, 일상생활수행능력, 배우자의 부재, 성별 신체기능상태, 시설노인과 일반노인, 인지기능, 수면, 체력, 재가노인, 스트레스, 노인만성질환, 노인의 삶의 만족도, 소외감 등 다양한 요인들과 노인 우울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려는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둘째, 치료 및 프로그램 적용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가 총 29건 진행되었다"" 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미술집단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였고, 그 다음으로 원예치료프로그램, 운동프로그램, 웃음치료 등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그 외에도 우울 예방을 위한 모형 연구, 노인 우울 측정도구 개발 연구, 고혈압 노인환자의 복약이행과 우울, 노인 만성질환자의 우울과 약물처방 치료순응도 등 관련 주제의 연구도 일부 진행되었다""
1.2.2. 2011년 ~ 2015년
2011년 ~ 2015년의 노인 우울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노인 우울에 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주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노인 우울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려는 연구가 125건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 중에서도 노인 우울과 자살과의 관련성이 가장 큰 관심을 받았고, 사회적 지지 및 사회적 관계망, 독거노인,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저소득 및 요양시설 등과 노인 우울과의 관계 등이 주요하게 다루어졌다. 둘째, 치료 요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가 20건 이루어졌다. 이 연구들에서는 미술 집단 치료 프로그램, 사회복지서비스 이용, 원예치료,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 웃음요법 및 음악치료 등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노인 우울 척도 검사 연구, 경도치매와 노인성 우울의 변별을 위한 기억기능 비교 연구, 농촌거주 노인의 우울 예측모형 구축 연구, 뇌졸중 여성노인의 우울 대처방법 연구, 저소득 우울 여성의 긍정심리 및 해결중심 통합집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등 다양한 주제의 논문들이 발표되었다.
요약하면, 2011년~2015년 노인 우울 연구는 노인 우울의 다양한 관련 요인과 치료적 접근을 모색하는 데 주력했다고 볼 수 있다.""
1.2.3. 2016년 ~ 2022년
2016년 ~ 2022년 분석 결과, 노인 우울에 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주제로 나누어볼 수 있다.
첫째,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노인 우울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려는 연구가 160건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 중에서도 노인 우울과 자살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은 관심을 받았다. 또한 인지기능 저하, 장애와 노인 우울과의 관계, 빈곤 및 저소득층과 노인 우울과의 관계, 일상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