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OTT 서비스 개요
1.1. OTT 서비스의 정의
OTT 서비스는 사업 초기에는 셋톱 박스를 통해 제공하는 케이블 또는 위성 방송 서비스를 의미했으나, 광대역 인터넷과 이동통신의 발달로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해진 현재는 셋톱박스에서 제공하고 있는 콘텐츠보다 더 많은 양의 콘텐츠를 인터넷, PC, 스마트폰 등의 다양한 플랫폼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라는 확장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즉, 인터넷이 되는 환경과 노트북만 있다면 누구나 쉽게 OTT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1.2. OTT 서비스의 등장 배경
OTT 서비스의 등장 배경은 공급과 수요의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다.
수요적 측면에서는 시청자들의 다양한 콘텐츠에 대한 욕구가 주된 요인이다. 기존의 유료방송 서비스는 정해진 채널과 고정된 편성으로는 시청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웠다. 또한 온라인 동영상 시청에 대한 거부감이 점차 낮아지면서 OTT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했다.
공급적 측면에서는 규제적 측면과 기술적 측면을 들 수 있다. 규제적인 측면에서 OTT 서비스는 압축된 동영상이나 음악을 전송하는 데이터 서비스로 간주되어 기존 방송에 적용되는 규제가 덜하다는 점이 장점으로 작용했다. 기술적 측면에서는 초고속 인터넷과 스마트기기의 발달이 OTT 서비스의 등장을 가능하게 했다.
즉, 시청자의 다양한 콘텐츠 수요와 기술적·규제적 환경의 변화가 OTT 서비스의 등장 배경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2. OTT 서비스 현황 및 특징
2.1. OTT 서비스 시장 상황 분석
최근 OTT 서비스 시장 상황을 분석해보면, 젊은 층을 중심으로 다시 보기와 몰아보기 등의 시청 행태가 확산되면서 OTT 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TV, IPTV, 위성방송 등 기존 유료방송사들도 OTT 사업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다.
OTT 업계는 한 달 무료 이용, 실시간 TV 채널 무료 전환 등 비용 측면에서 이용자들에게 혜택을 제공하며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이는 OTT 서비스의 주된 경쟁력이 가격 경쟁력과 다양성에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젊은 층을 중심으로 온라인 동영상 소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