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입원관리
1.1. 예약입원 환자 관리
EMR에 표기된 '입원예정' 환자를 확인 후 X-ray, 심전도, 혈액검사 등의 확인서를 미리 준비해 놓는다. 환자성명·등록번호가 적힌 라벨지를 각 확인서 및 입원팔찌에 부착한다. 예약입원인 환자일 경우 예약된 자리로 배정한다. 호실별 (소아병실, 여성, 남성) 특징을 알아둔 뒤 병실을 정한다. 입원환자가 도착하면 병실안내, 환의 제공, 환자정보 기록지 작성 등을 수행한다. 주치의에게 환자가 곧 도착할 것임을 알린다. 식이, 자가약 등을 확인한다(자가약 확인이 어려울 경우 약국으로 보내 처방안내문을 보내달라고 한다). 보통 점심을 먹고 입원하기 때문에 식이는 저녁부터 처방한다.
1.2. 입원 절차
EMR에 표기된 '입원예정' 확인 후 X-ray, 심전도, 혈액검사 등의 확인서를 미리 준비해 놓는다. 환자성명·등록번호가 적힌 라벨지를 각 확인서 및 입원팔찌에 부착한다. 예약입원인 환자일 경우 예약된 자리로 배정한다. 호실별 (소아병실, 여성, 남성) 특징을 알아둔 뒤 병실을 정한다. 입원환자가 도착하면 병실안내, 환의 제공, 환자정보 기록지 작성 등을 수행한다. 주치의에게 환자가 곧 도착할 것임을 알린다. 식이, 자가약 등을 확인한다(자가약 확인이 어려울 경우 약국으로 보내 처방안내문을 보내달라고 한다). 보통 점심을 먹고 입원하기 때문에 식이는 저녁부터 처방한다.
1.3. 입원환자 관리
입원환자 관리는 입원 절차에 이어 진행되는 핵심적인 간호 업무이다. 입원환자 관리에는 입원환자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와 돌봄이 포함된다. 병동 간호사는 입원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사정하고 필요한 간호중재를 제공한다. 또한 입원환자의 안전과 편의를 위한 다양한 중재를 시행하며, 주치의와의 원활한 협력을 통해 환자의 회복을 도모한다.
우선 입원환자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가 이루어진다. 간호사는 입원환자의 활력징후, 식이, 배설, 통증 등을 주기적으로 사정하고 관찰한다. 환자의 상태 변화나 특이사항은 의료진에게 신속히 보고하여 적절한 처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환자의 개인 위생 및 일상생활 관리를 돕고, 환자 및 보호자 교육을 통해 건강관리 능력 향상을 도모한다. 특히 고위험군 환자의 경우 낙상이나 욕창 예방 등 안전관리에 더욱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다.
입원환자의 편의를 위한 간호중재도 중요하다. 간호사는 환자의 병실생활 적응을 돕고 편의시설 이용을 안내한다. 병실 내 환경 관리를 통해 쾌적한 치료 환경을 조성하며, 환자의 개인 물품 및 병원 비품 관리에도 힘쓴다. 또한 환자가 원활히 식사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휴식 및 여가 활동을 격려한다.
마지막으로 주치의와의 협력을 통해 입원환자의 회복을 도모한다. 간호사는 주치의의 처방에 따라 정확한 투약 및 처치를 수행하고, 환자의 상태 변화를 의료진에게 신속히 보고한다. 또한 주치의와 긴밀한 소통을 통해 환자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퇴원을 준비하는 등 환자의 전반적인 치료과정에 참여한다.
요약하면, 입원환자 관리는 입원환자에 대한 전반적인 돌봄, 안전 및 편의 제공, 그리고 의료진과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진다. 간호사는 이러한 다양한 간호중재를 통해 입원환자의 건강 회복을 도모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1.4. 퇴원 관리
퇴원 관리는 환자의 안전하고 원활한 퇴원을 위해 필요한 절차와 활동을 말한다. 퇴원 관리에는 퇴원 예약, 퇴원 교육, 퇴원 약물 처방 및 관리, 퇴원 수속 확인, 퇴원 환자 인수인계 등이 포함된다.
우선 퇴원이 예약되면 퇴원 절차를 사전에 준비한다. 퇴원 예약, 식이 확인·입력, 퇴원처방 확인, 외래 재진 예약 등을 미리 수행한다. 타과 협진 후 F/U이 필요하면 타과 외래예약도 함께 한다. 입원 중 다른 병원 입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