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조기진통의 개요
1.1. 정의
조기진통(preterm labor)은 임신 20~37주 사이에 자궁경관의 개대와 소실이 동반되며 규칙적으로 통증을 동반한 자궁수축을 뜻한다. 조산은 임신 20주를 지나 37주 이전에 분만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조기진통은 조산을 초래할 수 있으며 조산은 많은 산과적 문제를 발생시킨다""
1.2. 발생 현황
조기진통은 우리나라에서 5.9-7.2%의 빈도로 발생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모든 분만의 7%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아프리카 여성의 경우 그 빈도가 2배나 더 높은데, 이는 조산이 사회경제적 요인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빈곤은 조기진통과 조산의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1.3. 임상 증상과 진단
조기진통의 임상 증상과 진단은 다음과 같다.
임상 증상에는 자궁활동, 불편감, 질분비물 등이 포함된다. 자궁수축은 10분보다 더 자주 발생하고 1시간 이상 지속되며, 자궁수축 시 통증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하복부의 가스로 인한 통증과 비슷한 경련성 통증, 둔한 간헐적 하부요통, 월경 시와 유사한 경련성 통증, 치골 상부의 압박감 또는 통증, 골반 압박감 또는 무게감, 빈뇨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질분비물의 양상과 양도 변화할 수 있어 점액성으로 탁하거나 물 같이 묽을 수 있고 혈액성, 갈색 또는 무색일 수 있으며 양이 증가하고 불쾌한 냄새가 날 수 있다. 32주 이전에 태아하강감을 느낄 수 있다.
진단을 위해서는 객관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1차 내진 후 30분-60분 내에 반복 측정하여 자궁경부의 변화를 확인하고, 질검사로 양수누출 여부를 확인하며, 경관점액의 세균배양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양수천자로 융모양막염을 진단할 수 있다.""
2. 조기진통의 원인
2.1. 인구통계학적 요인
조기진통의 원인 중 인구통계학적 요인은 다음과 같다.""
유색인종, 17세 이하 또는 35세 이상의 나이,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 미혼, 고등학교 이하의 교육 수준 등이 조기진통의 주요 인구통계학적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유색인종에서 조기진통과 조산의 빈도가 더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사회경제적 요인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보인다.""
임신부의 나이가 17세 이하거나 35세 이상인 경우에도 조기진통 및 조산의 위험이 증가한다.""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 미혼 상태, 낮은 교육 수준 등도 조기진통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들은 불량한 산전관리, 영양상태 저하, 스트레스 증가 등으로 이어져 조기진통과 조산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2.2. 산과적 요인
산과적 요인은 조기진통의 주요한 원인으로, 자궁의 과도신장, 전치태반, 태반 문제, 조기양막파열, 조산력, 자궁경부무력증, 자궁의 기형, 자궁의 수술력 등이 포함된다"" 자궁의 과도신장은 다태임신이나 양수과다 등에 의해 발생하며, 전치태반이나 태반문제 또한 조기진통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또한 이전의 조산력이나 자궁경부 무력증, 자궁의 기형이나 수술력 등도 조기진통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산과적 요인들은 자궁 내 압력을 증가시켜 조기진통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조기양막파열은 임신 37주 이전에 양막이 파열되는 것으로, 이 경우 감염의 위험이 높아지고 조기진통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