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 이론의 발달개요
1.1. 과학의 정의 및 특성
과학은 관찰, 식별, 기술, 실험적 조사 및 현상에 대한 이론적 설명이다"이다. 과학은 일정한 인식목적과 합리적인 방법에 의해 세워진 광범위한 체계적 지식으로서 5가지를 제공한다. 첫째, 분류(typology)를 제공한다. 둘째, 예측(predictions)을 가능하게 한다. 셋째, 설명(explanation)을 제공한다. 넷째, 이해(a sense of understanding)를 돕는다. 다섯째, 잠재적 통제(potential for control)를 가능하게 한다"이다.
과학은 보편적 진리나 법칙의 발견을 목적으로 한다. 과학 활동은 탐구 또는 연구의 대상에 적용된다. 과학적 지식의 바람직한 특성은 추상성(abstractness),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 경험적 관련성(empirical relevance)이다. 과학은 선험과학(先驗科學)과 경험과학(經驗科學), 체계적 과학과 현상론적 과학, 자연과학, 응용과학, 사회과학, 인문과학으로 분류된다"이다.
1.2. 이론의 정의 및 기능
이론은 "사건이나 사물의 모호한 개념화나 서술, 바람직한 사회적 행동 혹은 통제에 대한 처방, 모든 검증되지 않은 가설이나 관념, 현상을 서술하는 데 사용된 모든 일련의 추상적 개념"이다"" 이론의 기능 및 목적은 간호이론은 간호현장에서 환자로의 체계적, 지식적 접근을 통해 합리적 의사판단과 간호수행을 가능하게 한다""
1.3. 간호 이론의 종류
1.3.1. Meta Theory
Meta Theory는 간호이론과 관련된 광범위한 문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론개발과 관련된 철학적 방법론적 측면을 다루는 이론이다.
간호학에서 Meta Theory는 간호이론 개발의 기본 전제와 토대를 제공한다. 간호이론과 관련된 철학적 가정, 개념, 방법론 등 근원적 측면을 다룸으로써 이론 개발의 방향성과 절차를 제시한다. 간호학의 본질과 정체성, 지식체계의 구조화 등 더 근본적인 문제들을 탐구함으로써 간호이론 개발을 위한 핵심적인 토대를 마련한다.
예를 들어, 간호이론에 내재된 세계관, 인간관, 건강관, 간호의 본질과 목적 등에 대한 철학적 분석과 재해석이 대표적인 Meta Theory의 주요 연구주제이다. 또한 간호학 지식 생성을 위한 탐구방법, 간호이론 개발의 패러다임 등에 대한 방법론적 탐구도 이에 해당된다.
이처럼 Meta Theory는 간호이론 개발의 근본적인 토대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간호학의 정체성과 지식체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 따라서 간호이론 개발의 출발점이자 근원적 기반으로 작용하여, 각 유형의 간호이론 개발을 이끌어 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1.3.2. Grand Nursing Theory
Grand Nursing Theory는 Peplau의 간호와 환자에 대한 교육적 기능의 제기를 시초로 1960년대 초기부터 오늘날까지 개발되어 온 이론으로, 간호실무에 대한 광범위한 관점을 명확히 해 주는 넓은 개념적 체계와 관점을 기초로 간호현상을 보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이론이다."
간호현상을 설명하는 거대이론들이 Grand Nursing Theory에 속하며, 대표적인 이론으로는 Peplau의 대인관계 이론, Henderson의 기본간호이론, Orem의 자기관리이론, Roy의 적응이론, Newman의 건강모델이론, Watson의 돌봄이론 등이 있다."
이러한 Grand Nursing Theory는 간호실무에 대한 광범위한 관점을 제시하며, 실제 임상에서 다양한 개념과 명제로 구체화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Grand Nursing Theory는 간호현상을 가장 포괄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설명하여 간호실천의 방향을 제공해줄 수 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1.3.3. Middle Range Theory
Middle Range Theory는 보다 덜 추상적인 이론으로 Grand Nursing Theory와 간호실무 사이를 연결시켜 줄 수 있는 이론이다.""
Grand Nursing Theory가 간호실무에 대한 광범위한 관점을 제공하는 반면, Middle Range Theory는 특정 간호실무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Middle Range Theory는 특정 개념이나 중범위의 현상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며, 관찰 가능한 경험적 현상을 다루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Kolcaba의 안위 이론(Theory of Comfort)은 대상자의 안위 증진을 목표로 하는 간호중재를 설명하는 Middle Range Theory이다.""
이러한 Middle Range Theory는 간호실무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보다 직접적이고 실용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1.3.4. Practi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