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세포 및 동물 외형 관찰 해부학 실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세포와 조직 관찰
1.1. 광학현미경의 원리와 구조
1.1.1. 광학현미경의 발달
1.1.2. 광학현미경의 구조
1.2. 다양한 세포 관찰
1.2.1. 난자
1.2.2. 난소
1.2.3. 난관
1.2.4. 자궁
1.3. 세포와 조직의 특징
1.3.1. 붕어의 외형과 비늘 구조
1.3.2. 메추라기의 외형
1.3.3. 생쥐의 외형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세포와 조직 관찰
1.1. 광학현미경의 원리와 구조
1.1.1. 광학현미경의 발달
광학현미경의 발달은 과학 역사 속에서 다양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왔다. 인간의 육안으로 볼 수 없는 미세한 세계를 관찰할 수 있는 광학현미경은 그 발명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꾸준한 기술적 혁신을 거듭해왔다.
최초로 현미경을 사용했던 사람은 스위스의 의사 게스너이다. 그는 16세기 중반 다양한 렌즈를 이용하여 현미경을 제작했다. 이후 1590년경 네덜란드의 얀센 부자에 의해 망원경의 형태로 만들어진 현미경이 등장했다. 이 현미경은 주로 해양 탐사에 이용되었다.
현미경 발달의 결정적인 전환점은 1660년대 네덜란드의 청소부이자 발명가 안톤 판 레벤후크에 의해 처음으로 대물렌즈와 접안렌즈를 사용한 현미경이 고안된 것이다. 이 현미경은 300배 정도의 배율을 가지고 있었으며, 레벤후크는 이를 활용하여 식물세포, 박테리아, 원생동물 등 다양한 미생물을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이를 통해 당시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미생물의 세계가 새롭게 밝혀지게 되었다.
이후 로버트 훅 등에 의해 현미경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현미경의 구조와 원리도 점차 발전해왔다. 대물렌즈와 접안렌즈 외에도 조리개, 조명 장치 등이 추가되면서 현미경의 구조가 더욱 고도화되었고, 이를 통해 더욱 정밀하고 선명한 관찰이 가능해졌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광학현미경 외에도 전자현미경이 개발되어 더욱 높은 배율과 분해능으로 세포 및 생물체를 관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과학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하며 미시적 세계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왔다.
이처럼 광학현미경의 발달은 단순한 관찰 기구의 발전을 넘어 과학 전반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다고 할 수 있다.
1.1.2. 광학현미경의 구조
광학현미경의 구조는 크게 다음과 같다.
모든 현미경은 손잡이(arm)와 바닥 몸통(base)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위에 다른 구성물들이 붙어있는 형태이다. 재물대(stage)는 시료인 슬라이드 글라스(slide glass)를 고정하는 장치로, 단순하게 핀으로 고정하는 것과 전.후, 좌.우로 움직이는 톱니가 작동하는 것이 있다. 메니컬 스테이지가 장착된 현미경은 좋은 상(image)을 얻은 경우, 위치를 적어놓으면 나중에 다시 그 자리를 찾기가 쉽다.
광원(light source)은 시료를 통과한 빛이 렌즈를 통하여 상이 맺히는 것을 관찰하는 기기이다. 초기 현미경은 평면거울 또는 오목거울로 빛을 모아 투과시키기도 했으나, 최근에는 LED를 사용하며 광량조절기(Brightness control)로 조절한다. 빛이 너무 강한 경우에는 조리개로 빛의 세기를 조절한다.
모든 현미경은 3개의 렌즈시스템 즉, 접안렌즈(Ocular), 대물렌즈(Objective)와 콘덴서(Condenser)로 구성되어 있다. 빛은 렌즈를 통과하면 굴절하는데, 이 과정에서 파장에 따라 굴절각도가 달라지는 "색수차"가 나타난다. 따라서 대물, 접안렌즈와 콘덴서는 이 색수차를 없애기 위해 오목.볼록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접안렌즈(ocular 또는 eyepiece)는 눈과 가장 가까운 렌즈 시스템으로, 하나의 렌즈와 두 개의 쌍안렌즈로 구성된 것이 있다. 대물렌즈(objectives)는 배율이 다른 3~4개가 노즈피스(nosepiece)에 부착되어 있으며, 빙글빙글 돌아가도록 되어 있다.
콘덴서는 재물대 밑에 붙어 있으며 광원으로부터 나온 빛을 모아 광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초점조절나사(focusing knobs)는 대물렌즈와 시료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나사로, 조동 조절 나사(coarse adjustment knob)와 미동 조절 나사(fine adjustment knob)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광학현미경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이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확대된 상을 관찰할 수 있는 정교한 장비라고 할 수 있다.
1.2. 다양한 세포 관찰
1.2.1. 난자
난자는 다세포동물의 난형성 과정 중에서 난소 내에서 분열 증식을 정지하고 성장기에 들어간 난원세포를 말한다. 비대과정에 들어간 것을 ...
참고 자료
고정식 외 / 조직학 / 고문사 / 1993 / pp592~593, pp597~598, pp602~603
C. Kent / 척추동물의 비교해부학 / 서울외국서적 / 1990 / pp462~464, pp479~481
김완종 외 / 척추동물해부학 / 정문각 / 1997 / 262~275
조완규 , 발생생물학, 아카데미서적, 1993, pp98-111
John W. kinball, 킴볼생물학, 탐구당, 1988, pp294-297
http://cfile223.uf.daum.net/image/1404DA364D9A8D6308C2E4
http://cfs11.blog.daum.net/image/36/blog/2008/11/11/14/29/4919181c494f2&filename=32.jpg
http://lamia.busanedu.net/data05/webdoc/005/060/xtraclass/img/photo/ms1/sb/01-01-01-001-00005.jpg
http://space1004.cafe24.com/bbs/data/photo/bio5.gif
http://hnamii.com.ne.kr/generalbiology/spermato.gif
http://blog.joins.com/usr/s/a/sainturo/6/seminiferous.gif
http://space1004.cafe24.com/bbs/data/photo/bio4.gif
http://www.lab.anhb.uwa.edu.au/mb140/corepages/malerepro/Images/tey041he.jpg
http://www.dartmouth.edu/~anatomy/Histo/lab_6/female/DMS174/30.gif
http://meded.ucsd.edu/hist-img-bank/chapter_9/Slide_119_ovary2/thumbnails/b.8.119.2.2.jpg
http://subweb.kpu.ac.kr/Doenload?pkid=67957&index=1&fileName=2009-1-7.pdf&filePath=26&gubun=board
생물학/ 로버트 A. 월리스, 이광웅/ 을유문화사/ 2002.07.01.17. 발생생물학/ 정미경, 최윤정/ 한국과학기술정보 연구원/ 200418. EZ-Biology (생물학)/ 장동욱/ 군자출판사/ 2004.03.30
김완종 외 9명/2003 /첫추동물 비교해부학/정문각
이종욱 외 7명/1999 /실험동물비교해부학/형설출판사
서영석, 전용혁 공저/2001/인체해부학/개정4판/p36~p47
대한해부학회 저/2007/해부학/둘째판/p372~p387
http://heresphill.blog.me/40114928722
오문유외 7인/생명과학실험서/2004년/제주대학교출판
http://fish.gg.go.kr/data/45 (경기도해산수상자원연구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5165&cid=40942&categoryId=32561 (두산백과-붕어)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31373&cid=42411&categoryId=42411
(두산백과-꼬리지느러미)
http://www.123rere/ (척추동물간의 구조적, 기능적 차이 비교)
http://blog.naver.com/jini1111002/30104023922 (척추동물간의 구조적, 기능적 차이 비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23076&cid=40942&categoryId=32319 (두산백과-조류의 날개)
http://www.kvma.or.kr/Board/main.asp
월간조선 1998년7월
브리태니커 세계 대 백과사전
실험생물학(형설출판사), 쥐의 해부|작성자 소녀지몽
http://blog.naver.com/chungjh59/140006922244 (정종화의 보건환경 자료실)
김완종 외 9명, 『첫추동물 비교해부학』(출판지: 정문각, 2003).
이종욱 외 7명, 『실험동물비교해부학』(출판지: 형설출판사,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