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수근관 터널 증후군
1.1. 정의
손목 부위에는 손가락을 움직이는 힘줄과 신경이 지나가며 이를 둘러싸고 보호하는 일종의 관(터널)이 있다. 손으로 들어가는 신경(정중신경)이 손가락을 움직이는 힘줄인 수근관(손목 터널)에 눌려 신경이 압박되어 손저림, 감각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을 수근관 터널 증후군이라고 한다."
1.2. 원인
이론적으로는 수근관의 단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어떤 경우라도 수근관 터널 증후군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정확한 원인은 발견되지 않았다"" 중년 이후 여성, 비만, 노인, 당뇨병 환자에게 더 흔하게 발생하며 임신 중에 일시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만성 신부전으로 투석을 받는 환자에게서도 흔히 발생한다"" 최근에는 손을 많이 사용하는 주부나 미용사, 피부관리사, 스마트폰, 컴퓨터를 자주 사용하는 직장인에게 많이 나타난다""
1.3. 임상 증상
손목 수근관 증후군의 임상 증상은 다음과 같다. 엄지와 2, 3, 4번째 손가락 일부가 저리는 증상이 나타나며, 새끼손가락에는 저린 증상이 없다. 주로 야간에 심하게 나타나며, 손가락이 화끈거리는 느낌이 든다. 물건을 들다가 자주 떨어뜨리며, 아침에 일어났을 때 손이 굳거나 경련이 있다. 팔을 올렸을 때 팔목에서 통증이 나타나며, 팔, 어깨, 목까지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근육이 마르게 될 정도로 마비가 진행되면 수술 후에도 완전한 회복이 어려울 수도 있다."
1.4. 진단
대부분의 환자들이 혈액 순환 장애 등과 같은 다른 문제로 생각하여 치료 시기가 지연되는 경우가 많으며, 비슷한 증상을 호소하는 여러 질환들을 감별해야하기 때문에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손목 수근관 증후군의 진단을 위해서는 신경 검사를 통해 더욱 확실한 진단을 내릴 수 있으며, 목 디스크 등의 다른 질환과도 감별하기 위해 방사선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시행되는 검사로는 신경 타진 검사, 수근 굴곡 검사, 전기적 검사 등이 있다"" 신경 타진 검사는 정중신경이 지나가는 손목의 신경을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정중신경 지배영역에 이상 감각이나 통증이 유발되는 검사이며, 수근 굴곡 검사는 손바닥을 안쪽으로 향하여 손목을 약 1분 동안 심하게 꺾으면 정중신경 지배영역에 통증과 이상 감각이 나타나거나 심해지는 검사이다"" 또한 전기적 검사를 통해 무지구 근육(엄지손가락 밑부분의 불룩한 부분)에서 근전도의 이상과 손목에서 신경전달 속도의 지연을 확인할 수 있다""
1.5. 치료
1.5.1. 비수술적 치료
손목 수근관 증후군의 비수술적 치료는 증상이 가볍고 근육 위축이 없는 일부 환자에게 가능하다." 비수술적 치료로는 소염진통제 등의 약물 치료, 보조기나 부목을 이용한 고정 치료, 수근관 내에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 등이 있다" 소염진통제는 통증과 염증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 보조기나 부목은 손목을 고정시켜 압박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스테로이드 주사는 수근관 내부의 부종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비수술적 치료는 증상이 심하거나 지속되는 경우에는 한계가 있으며, 근육 위축이 있거나 신경학적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1.5.2. 수술적 치료
수술적 치료는 정중신경을 압박하는 인대를 잘라 주는 것이다. 소요 시간은 대개 30분 이내이며 과거에는 손목 전체의 피부를 절개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지만, 최근에는 관절경이나 특수 기구 등을 이용하여 아주 작은 피부 절개로도 수술이 가능하게 되어 수술 후 통증의 발생 빈도가 감소하였다.
수술 적용 대상은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거나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지속적이거나 점진적인 신경장애 및 운동 기능의 악화, 심한 통증과 약화가 동반되는 증상, 다른 원인에 의한 압박(류마티스관절염 등), 손목 손상 후 발생한 급성 증상 등이다.
수술적 치료 후 저린 감각과 야간에 잠에서 깨던 일은 곧 사라지게 되지만, 그 회복은 환자에 따라 다르며 점진적으로 이루어진다. 수근관 증후군을 오랫동안 앓아 왔거나 근육의 위축이 심한 경우에는 회복은 더욱 느리게 되며, 때로는 일부 증상이 남기도 하지만 아무리 심한 경우라도 어느 정도 회복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대개 전체 수술 받은 환자의 95% 이상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1.6. 예후
수술적 치료 후 저린 감각과 야간에 잠에서 깨던 일은 곧 사라지게 되지만, 그 회복은 환자에 따라 다르며 점진적으로 이루어진다. 수근관 증후군을 오랫동안 앓아 왔거나 근육의 위축이 심한 경우에는 회복은 더욱 느리게 되며, 때로는 일부 증상이 남기도 하지만 아무리 심한 경우라도 어느 정도 회복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대개 전체 수술 받은 환자의 95% 이상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2. 간호사정
2.1. 수근관 수술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수근관 수술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수근관 수술은 수술부위 절개로 인한 피부 및 연조직 감염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수술로 인한 창상은 감염의 주요 경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수술 후 감염 예방을 위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먼저, 수술 후 주기적인 활력징후 측정을 통해 감염 징후를 모니터링해야 한다. 체온 상승, 맥박 증가, 호흡 수 증가 등은 감염의 초기 징후일 수 있으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