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가족치료 사례
1.1. 사례의 인적사항
안☆☆. 만 42세. 여. 간호조무사로 병원 근무(남편, 아들 : 3인 가족)이다.
1.2. 문제의 발단, 발전과정, 현재의 주요 문제들
1.2.1. 주요 문제
주요 문제는 세 가지이다. 첫째, 아이가 있는 이혼남과의 결혼으로 전처 아이들과의 문제이다. 둘째, 남편과의 신뢰 문제(경제적 부분)이다. 셋째, 내담자와의 아이를 갖지 않으려는 남편의 태도이다.
전처 아이들과의 문제는 내담자가 아이가 있는 이혼남과 결혼하면서 생긴 갈등이다. 내담자와 전처 아이들 간의 관계가 좋지 않아 가족 내에서 불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남편과의 신뢰 문제는 경제적 부분에서 비롯된 것으로, 남편의 경제적 관리 능력이나 태도에 대해 내담자가 신뢰하기 어려워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내담자와의 아이를 갖지 않으려는 남편의 태도는 부부 간의 갈등을 야기하고 있다. 남편이 아이를 갖기를 원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내담자가 스트레스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세 가지 주요 문제로 인해 내담자 가정에는 다양한 갈등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2.2. 인상 및 행동 관찰
키가 작고 동안의 귀염성 있는 인상을 지녔으며 사고적 성향이 매우 강하여 감정을 느끼기 어려워함. 본인 스스로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하고 깐깐하고 꼼꼼한 편이라고 함. 나 잘난 맛에 사는 공주병(?)도 있다고 이야기 하며 일에 대하여는 완벽주의적인 경향이 있어 어른들에게 인정받지만 동료들과의 관계는 편하지 않다고 이야기 함. 선생님 같은 말투로 누구를 가르치려 하고 지시적, 명령적인 표현이 많다고 생각함.
1.3. 문제에 대한 진단 및 분석
1.3.1. 가계도, 기능분석
가계도와 기능분석을 살펴보면, 내담자의 가치관, 지식, 도식, 대화, 역할, 경계선, 관계 능력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내담자의 가치관은 능력 있고 공부 잘하는 사람, 가정교육 중요시, 꼼꼼, 깔끔, 완벽주의, 남 신경 쓰지 말고 본인이나 잘 할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난다. 지식 면에서는 친지들에 대한 정보가 매우 부족한 편이다.
내담자의 도식은 어머니 쪽의 생계유지나 희생, 모측이 부유함, 아버지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잘 드러난다. 특히 아버지한테 받았던 남자에 대한 거친 면이 싫어서 현재 남편을 선택하게 되었다고 한다.
대화 방식을 보면 아버지와는 거의 없고 어머니에게 집중하며, 속 마음과 다른 발언을 하는 경우가 많다. 생각 없이 말을 쉽게 내뱉는 경향이 있다.
내담자의 역할을 보면, 시어머니 역할을 하지 못하고, 남편이 아버지의 역할과 가장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비아냥거림과 욕설을 하며, 내담자 또한 엄마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아이들도 엄마에 대한 도전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경계선 측면에서는 전처의 가정을 침입하고, 엄마와 언니에게 부부싸움 낱낱이 알리는 등 건강한 경계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마지막으로 관계 능력은 어렸을 때 아버지에게 강하게 길러져서 사회생활에서 크게 어려움을 못 느끼고, 경제적으로 안정되어 있다. 자원으로는 아들 친구들 중 성당과 교회에 다니는 친구들이 많고 자주 어울리며, 상담과 자기성찰에 대한 관심이 많고 신앙으로 가정 문제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있으며, 남편의 사랑에 대한 기본적인 믿음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1.4. 그 동안의 치유 과정 및 비판
1) 타인의 가계 정보를 알아 낸 다는 것이 쉽지 않음이다. 내담자와의 신뢰관계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아 개인정보에 대한 공개가 원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