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자궁근종
1.1. 정의
자궁근종은 자궁의 양성 종양으로 자궁근육 조직의 일부가 이상발육하여 생성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자궁근종은 점차 크기가 증가하면서 변성, 괴사, 석회화 등의 변화를 동반하게 된다. 자궁근종은 자궁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양성 종양이며, 주로 가임기 여성들에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2. 발생원인
자궁근종의 발생원인은 아직 완전히 규명되어 있지 않지만,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 임상적으로 볼 때 난소의 기능이 왕성할 때 자궁근종의 발생률이 높고, 초경 전이나 폐경 이후에는 근종의 발생이 드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자궁근종은 자궁근육 조직의 일부가 이상 발육하여 생기는 양성 종양으로,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근종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에스트로겐의 과잉 분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난소의 기능이 왕성할 때 근종이 잘 자라고, 초경 이전이나 폐경기 이후에는 근종의 발생이 드문 이유도 에스트로겐 수준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 또한 근벽에서 미성숙한 근세포가 발견되고, 에스트로겐 자극이 지속되면서 근세포가 근종으로 발육된다.
1.3. 증상
자궁근종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리의 변화이다. 자궁근종 환자의 약 25%는 증상을 경험하는데, 그 중에서도 생리의 변화가 가장 흔한 증상이다. 특히 근종의 크기, 수, 위치에 따라 월경과다, 월경기간 연장, 부정자궁출혈, 부정과다출혈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점막하근종의 경우 부정과다출혈이 많은데, 이는 근종표면이 쉽게 감염되고 궤양, 울혈이 많기 때문이다.
둘째, 만성골반통이다. 종양의 크기가 큰 경우 하복부 중압감, 월경곤란증, 성교통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방광, 요관, 직장, 혈관, 신경 등을 압박하여 빈뇨, 배뇨곤란, 변비, 배변통, 하지부종, 하지통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셋째, 이물촉지이다. 하복부에서 단단하고 불규칙적인 결절성 종양이 촉지될 수 있으며, 자궁이 현저히 커지고 결절이 뚜렷하고 견고해질 수 있다.
넷째, 빈혈이다. 월경과다로 인해 혈색소가 15~20% 감소되어 빈혈이 초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두통, 무기력증이 동반될 수 있다.
1.4. 유형
1.4.1. 장막하근종
장막하근종은 자궁을 덮고 있는 복막 바로 아래에서 발생하는 근종으로, 골반강 바깥쪽으로 자랄 수 있다. 점막하근종과 같이 육경 형태로 자라나 고형성 난소종양으로 오진되는 경우가 있다. 임신 시 동반되어 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