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관리 갈등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 현장의 문제 사례
1.1. 간호사 태움 문화
1.1.1. 태움 발생 사례
1.1.2. 태움의 원인
1.1.3. 태움 해결방안
1.2. 코로나19 상황에서의 간호 인력 관리
1.2.1. 문제점 파악
1.2.2. 갈등관리 전략
1.2.3. 해결방안
2. 의사소통과 갈등관리
2.1. 타 부서와의 의사소통 체계
2.1.1. 의사소통 네트워크 문제점
2.1.2. 의사소통 증진 방안
2.2. 환자간호팀 내 갈등 사례
2.2.1. 갈등 사례 분석
2.2.2. 갈등관리 방안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 현장의 문제 사례
1.1. 간호사 태움 문화
1.1.1. 태움 발생 사례
간호사 태움 문화의 대표적인 사례로, 2019년 1월 서울의료원에서 근무하던 간호사 A가 자택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건을 들 수 있다. 서울의료원 간호사 사망사건 진상대책위원회가 공식적으로 발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간호사 A의 죽음은 관리자와 조직 환경에 의한 직장 내 괴롭힘이 주요 원인이었다고 결론지었다. 간호사 A는 2018년 102병동 근무 당시 파트장과 간호부장, 병동 팀장 등으로부터 노동환경에 대한 괴롭힘을 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후 간호행정부서로 이동한 후에도 간호사 A는 행정업무를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책상과 컴퓨터를 지급받지 못했으며 상급자에게 모욕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간호사 A의 가족의 증언에 따르면 간호화가 끌리는 소리도 눈치가 보여 새 간호화로 바꿀 정도로 위축되어 있었고 밥도 끼니대로 챙겨먹지 못하고 근무하는 내내 물 한 모금 마시지 못했다고 한다. 이처럼 간호사 태움 문화로 인한 극단적인 선택이 야기된 사례이다.
1.1.2. 태움의 원인
태움의 주된 원인은 간호사 인력 부족과 업무 과중으로 인한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병원 내 간호사 1인당 평균 담당 환자 수는 16명으로, 유럽 10개국의 간호사 1인당 평균 8.8명에 비해 약 2배에 달하는 수치이다. 이로 인해 간호사의 업무량이 과중되어 바쁜 와중에 신규 간호사에 대한 교육과 관리까지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신규 간호사들은 아직 업무에 미숙하여 동일한 업무 처리에도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선임 간호사들은 신규 간호사들을 답답하게 여기며 퉁명스럽게 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선임 간호사들의 태움 및 직장 내 괴롭힘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간호사 인력 부족으로 인해 신규 간호사가 이직을 하게 되면 다른 신규 간호사가 들어오게 되고, 이러한 악순환이 반복되어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이처럼 간호사 인력 부족과 과중한 업무량이 태움의 주된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1.1.3. 태움 해결방안
태움 해결방안은 국가 차원과 병원 차원에서 다음과 같은 대책이 필요하다.
국가 차원에서는 먼저 간호사 1인당 환자수를 제한하여 간호사의 업무량을 줄여야 한다. 현재 국내 간호사 1인당 환자수가 평균 16명으로 유럽 10개국 평균 8.8명에 비해 약 2배 가까이 많다. 이로 인해 간호사의 업무가 과중해지면서 신규 간호사를 교육하는 과정에서 태움이 발생하게 된다....
참고 자료
최신 간호관리학 제5판(2020), 현문사, 장금성 외 7명, p. 529~539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NSD&MENU_ID=005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