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 정책의 대상으로서 보편주의와 선별주의 개면과 장단잠을 설명하고 사회안전망을 강화하는데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설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보편주의와 선별주의의 개념 및 특징
2.1. 보편주의
2.1.1. 보편주의 개념
2.1.2. 보편주의의 장단점
2.2. 선별주의
2.2.1. 선별주의 개념
2.2.2. 선별주의의 장단점
3. 보편주의와 선별주의의 사회안전망 적용
3.1. 사회보험과 보편주의
3.2. 공공부조와 선별주의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회복지정책의 시행으로 보편적, 선별적 문제는 정치적으로 뜨거운 논쟁의 중심이 되기도 한다. 정부는 복지정책을 시행할 때 선별적 복지 또는 보편적 복지로 구분하여 정책 방향 및 노선이 다양한 장점과 단점이 있기에 앞으로 우리 사회는 그 방향이 무엇이 되어야 할지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 정책이다. 이런 측면에서 사회복지정책의 대상으로서 보편주의와 선별주의의 개념 및 장단점을 설명하고 사회안전망을 강화하는데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2. 보편주의와 선별주의의 개념 및 특징
2.1. 보편주의
2.1.1. 보편주의 개념
보편주의는 전 국민을 사회복지의 대상으로 인식하여 시민권에 입각해 하나의 권리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이다. 이는 복지 수혜 자격과 기준을 균등화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보편주의는 불완전하고 불공정한 사회체제에서 사회문제의 원인을 찾으며, 예측가능하고 공공노력으로 예방이 가능하다고 보기 때문에 사회의 문제는 특정계층 사람들이 특수하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또한 보편주의 원칙의 아동복지에서의 적용은 아동의 성별 또는 부모의 사회계층의 지위와 상관없이 급여와 서비스가 모든 아동들에게 제공되며, 사회복지서비스는 전 국민이 사회적 권리로서 사용되어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보편주의는 사회적 권리로 전 국민을 대상으로 사회서비스는 이루어져야하며 자산조사는 필요치않고 요구가 있을때는 누구에게나 평등한...
참고 자료
노병일, 사회복지정책론, 교육과학사, 2011
박경일, 사회복지정책론, 공동체, 2014
양정하 외, 사회복지정책론, 양서원, 2008
이진숙 외, 사회복지정책론, 양서원, 2009
한겨레, 방준호 기자, 2019.1.24. 한국, 지난해 GDP대비 사회복지지출 11.1%
복지로 홈페이지; 교육급여
김욱 외 3명, 「사회복지총론」, 오래, 2015.
황성열, 「스포츠 바우처 제도 분석 : 길버트&테렐의 사회복지정책 분석틀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2017.
이태종 외 2명, 「사회복지정책의 이해와 활용」, 대명문화사, 2015.
손병덕, 「사회복지정책론」, 학지사,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