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현대소설 임철우 붉은 방 등장인물 갈등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임철우의 '붉은 방'
2.1. 작가 임철우에 대해
2.2. 등장인물의 특징
2.2.1. 오기섭
2.2.2. 최달식
2.3. 등장인물의 갈등양상
2.3.1. 오기섭
2.3.2. 최달식
2.4. '붉은 방'의 형상화방식
2.5. 감상평
3. 분단의 상흔이 만든 이데올로기의 폭력성
3.1. 80년대의 억압과 폭력
3.2. 오기섭과 최달식의 시점
3.3. 이데올로기의 대립과 폭력
3.4. 작품의 의의와 시사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임철우의 '붉은 방'은 80년대의 감수성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는 '붉은 방'은 체제와 이데올로기의 폭력, 그리고 그것들에 의해 동요되는 인간의 모습과 그로 인해 심리적으로 손상받고 육체적으로 마모되는 과정을 끈질기게 파헤친 소설로서 특히 분단 문제에서 파생된 폭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소설은 '붉은 방'이라는 공간적 배경을 통해, 세계와 자아의 단절을 드러내고 붉은 색이 주는 부정적 이미지를 최대한 살리고 있다. 나아가 주인공들의 내면에 담긴 피해 의식의 역사적 의미를 끈질기게 파헤쳐서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의 아픔이라는 결론을 이끌어 내었다.
2. 임철우의 '붉은 방'
2.1. 작가 임철우에 대해
임철우는 80년대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서, '오월 작가'로도 불리는 인물이다. 그는 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전남대학교 복학생이었으며, 직접 이 충격적인 사건을 경험했다. 5.18 당시의 아무 일도 못했다는 사실에 죄의식, 부끄러움, 그리고 당시의 정부에 대한 분노와 증오감에 시달렸다. 그는 열흘 동안 그가 겪고 목격한 엄청난 비극, 폭력, 죄악상을 생생하게 소설로 전하기로 마음먹고, 주로 1980년 오월을 다룬 중·단편 소설을 여러 편 썼다. 그는 이 작품들이 단순한 고발의식만을 담고 있는 것 보단, 광주 바깥의 무관심과 편견으로 등을 돌리고 있는 사람들에게 이 사건이 "우리 모두의 비극이며 책임"이라는 사실을 일깨우고 싶었다고 밝힌 바 있다.
2.2. 등장인물의 특징
2.2.1. 오기섭
오기섭은 새벽같이 일어나 출근했다가 보충수업까지 마치고 늦은 시간에 집에 돌아오는 고등학교 선생님이다. 그는 반복되는 일상생활에 대한 불만을 가지고 있으며, 늘 빠듯한 시간에 허둥지둥 집을 나서는 자신의 모습을 한심하게 여기고 있다. 전세금 걱정에 항상 울상 짓는 아내를 뒤로 한 채 버스 정류장으로 가던 도중, 뜻밖의 상황에 처하게 된다.
낯선 두 남자에 의해 납치되어 붉은 방으로 끌려가게 된 것이다. 오기섭은 이러한 상황에 놀라움과 당혹감을 느낀다. 자신의 일상이 갑자기 단절되어 버린 것에 대해 아득한 절망감과 함께 자신의 자질구레한 일상에 대한 애정을 느끼게 된다.
붉은 방에 갇혀 최달식의 고문을 받게 되면서 오기섭은 점점 인간의 존엄성을 상실해가게 된다. 그러나 동시에 강렬한 생의 욕구를 느끼기도 한다. 결국 자술서를 써야 한다는 최달식의 강요에 따라 거짓된 자술서를 썼지만, 깊이 모를 절망감과 엄청난 분노를 품게 된다. 이처럼 오기섭은 일상적인 삶을 살아가던 소시민이었지만, 갑작스러운 납치와 고문으로 인해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겪게 되는 인물이다.오기섭은 새벽같이 일어나 출근하고 보충수업까지 마치고 늦은 시간에 집에 돌아오는 고등학교 선생님으로, 반복되는 일상생활에 대한 불만을 가지고 있다. 그는 매일 아침 빠듯한 시간에 허둥지둥 집을 나서는 자신의 모습을 한심하게 여기면서도, 전세금 걱정에 울상 짓는 아내를 뒤로 한 채 버스 정류장으로 향한다. 하지만 이러한 일상이 갑자기 단절되어 버리는데, 낯선 두 남자에 의해 납치되어 붉은 방으로 끌려가게 되는 것이다.
오기섭은 이러한 상황적 변화에 대해 놀라움과 당혹감을 느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자질구레한 일상에 대한 애정을 깨닫게 된다. 세상과 자신이 이렇게 쉽게 단절될 수 있다는 사실에 아득한 절망감을 경험한다.
붉은 방에 갇혀 최달식의 고문을 받게 되면서 오기섭은 점점 인간의 존엄성을 상실해가게 된다. 하지만 동시에 강렬한 생의 욕구를 느끼기도 한다. 결국 거짓된 자술서를 써야 한다는 최달식의 강요에 따라 자술서를 작성하지만, 깊이 모를 절망감과 엄청난 분노를 품게 된다.
이처럼 오기섭은 일상적인 삶을 살아가던 소시민이었지만, 갑작스러운 납치와 고문으로 인해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겪게 되는 인물이다....
참고 자료
한국소설학회, 현대소설 인물의 시학, 태학사, 2000.
김승종, 한국현대소설론, 한국문학도서관, 2008.
한용환, 소설의 이론, 문학아카데미, 2003.
왕 철, 문학과 역사의 내면화, 임철우의 단편소설의 도덕적 지평에 관하여, 현대문학, 1996.
양문규, 임철우론 - ‘분단’과 ‘광주’를 바라보는 역사 허무주의, 현역중진작가연구, 1999.
임철우,「나의 문학적 고뇌와 광주」,역사비평, 2005
박옥심,「임철우 소설에 나타난 광주항쟁 형상화 연구」,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2005
우찬제,「역사적 상처와 서정적 치유-임철우의 소설」,문학과 사회,2010
천정환,「[금지를 금지하라] (6)유신시대·1980년대의 유물 ‘금지·검열’…지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