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담낭염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이다. 실제로 국민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 빅 데이터 개방시스템 질병 소분류(4단 상병)에 따르면 급성 담낭염 환자는 2014년 2만 1,398명에서 2018년 2만 9,323명으로 5년 새 37% 증가했고, 지난해 담낭염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수는 5만 4,880명으로 집계됐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60대 환자가 1만 985명으로 가장 많았고 50대(1만 225명)와 70대(9,371)가 뒤를 이었다. 전체 환자의 절반에 달하는 60대 이상 환자는 2만 7,362명으로 지난 2015년보다 약 52% 증가하면서 전체 증가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담낭염의 90%는 담석에 의해 발생하는데 여름철에 하는 무리한 다이어트도 영향을 미친다. 이번 사례분석보고서를 통해 담낭염의 병태생리와 치료 및 간호 등을 조사하려고 한다.
2. 문헌고찰
2.1. 담낭의 해부생리
담낭은 길이 약 7~10cm 정도 되는, 간 아래쪽에 붙어 있는 주머니이다. 간에서 분비된 담즙을 농축하고 저장하는 일을 한다. 담낭은 간의 아래쪽 경계면에 붙어 있어 우상복부의 갈비뼈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갈비뼈가 끝나는 지점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도 있다.
담낭은 간에 붙어 있는 주머니로 담낭저부, 담낭체부, 누두부, 담낭경부, 담낭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용적은 40~70ml 정도로 공복 시에는 증가하고 식후에는 담낭의 수축 작용으로 용적이 감소한다. 담낭저부는 담낭의 둥근 끝부분으로 보통 간의 모서리 아래로 1cm 정도 돌출되어 있다. 담낭저부와 담낭관 사이에 담낭체부, 누두부, 담낭경부이 위치한다. 담낭관은 담낭과 총담관을 연결하는 관이다.
담낭의 표면은 간 표면에 접한 부분과 복막에 덮여 있는 부분으로 나뉘어 있는데, 때로는 완전히 복막으로만 덮여서 장간막에 의해 간에 매달려 있는 경우도 있다.
담즙은 보통 간에서 생성되고 분비되어 담관을 통해 십이지장로 배출된다. 배출된 담즙은 소화 효소가 포함되어 있어 주로 지방의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한다. 담낭은 담즙을 6~10배 정도 농축시키고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담즙은 음식을 먹기 시작하면 30분 내에 전부 방출되어 버리고 그 후에는 간에서 분비되는, 농축되지 않은 엷은 담즙이 직접 분비된다.
2.2. 급성 담낭염
2.2.1. 정의
담낭은 간에서 분비된 담즙을 농축하고 저장하는 기관으로, 담낭의 염증인 담낭염은 대부분 담석에 의해 발생한다. 담낭염은 담석, 수술 후 협착, 종양 등으로 인해 담낭관이 폐쇄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담낭관이 폐쇄되면 담낭의 압력이 높아지고 담낭벽이 부어오르면서 염증이 발생한다. 이 때 장내 세균이 혈관이나 담관을 통해 담즙 내에 침입하여 증식하면서 담낭염이 나타나게 된다. 담낭염은 발생 경과에 따라 급성 담낭염과 만성 담낭염으로 구분되며, 담석에 의해 발생하는 결석성 담낭염과 담석없이 발생하는 무결석성 담낭염으로 나눌 수 있다.
2.2.2. 원인
급성 담낭염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담석에 의한 담낭관의 폐쇄이다"" 담석이 담낭관의 입구를 막으면 담낭의 압력이 높아지고 담낭벽이 부어오르면서 염증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장내 세균이 혈류나 담관을 통해 담즙 내에서 증식하면서 담낭에 염증이 시작되고 담즙이 정체되며, 이차적으로 세균감염이 될 수 있다"" 주로 대장균, 포도상구균, 연쇄구균, 폐렴간균 등의 세균이 원인이 된다""
또한 급성 담낭염은 외상, 선천성 기형, 당뇨병, 기생충 등과도 관련이 있다"" 약 5-10%의 급성 담낭염 환자는 담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비담석성 급성 담낭염의 경우 장티푸스, 결핵, 기생충 감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최근에는 세계적인 비만 인구 증가로 인해 담석이 없어도 담낭에 지방이 침착되어 담즙의 콜레스테롤 분비가 증가하고 다양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분비되면서 무결석성 담낭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무결석성 담낭염은 합병증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2.2.3. 병태생리
급성 담낭염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담낭의 염증은 세 가지 주요 인자에 의해 유발된다. 첫째, 담낭 점막이나 담낭벽에 산소 공급이 감소하게 되는 허혈성 변화가 발생하면 담낭 내압이 증가하고 담낭이 확장되어 기계적인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둘째, 담즙 내 레시틴에 포스포리파제가 작용하여 합성된 물질인 리소레시틴이 분비되는데, 이러한 국소적인 조직자극 또는 담낭 지방에 의한 만성적인 염증에 의한 화학적 자극에 의해 담낭염이 동반될 수 있다. 셋째, 담낭염의 50-85%를 차지하는 세균성 염증으로, 무균 상태인 담즙에 장내 세균이 유입되어 담낭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주로 대장균, 클렙시엘라종, 연쇄상구균, 클로스트리디움종 등이 흔한 균주로 관찰된다.
급성 담낭염의 경우 90% 이상이 담석에 의해 발생하고, 담석이 담낭관을 폐쇄하여 발생한다. 담석이 담낭 내 담즙유출 경로를 폐쇄하면 일차적으로 담낭이 심하게 팽창되고 담즙은 무균상태로 유지되거나 이차적으로 감염이 될 수 있다. 급성 담낭염의 5-10%는 담석이 없이 발생하는 무결석성 담낭염이다. 이는 심한 외상, 화상, 지연 진통 후의 산후기, 수술 후, 장기간 비경구적 정맥영양 공급 등의 위험 요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혈관염, 담낭의 폐쇄성 선암, 당뇨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