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행동중독과 물질중독 비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중독의 이해
2.1. 약물중독
2.1.1. 약물중독의 개념
2.1.2. 약물중독의 특징
2.2. 행위중독
2.2.1. 행위중독의 개념
2.2.2. 행위중독의 특징
3. 인터넷을 매개로 한 중독 유형
3.1. 인터넷 게임중독
3.2. 음란물 중독
3.3. 채팅중독
3.4. 정보검색중독
4. 중독 예방 및 관리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대한민국의 도박중독자는 300만 명(성인의 9.3%)이고, 미국의 중독도박자 수는 1천만 명 이상이나 되어, 이제 도박은 알코올과 마약 다음으로 3번째의 주요 중독문제가 되어버렸으며, 이는 세계적으로 1990년대에 있었던 도박 합법화 물결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도박에는 우연성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여기에 약간의 기량을 발휘할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도박은 스릴이 있고 인간 고유의 사행심을 자극해서, 예로부터 세계 각처에서 행하여졌다. 도박은 유희성이 있기 때문에 어느 한계까지가 놀이고, 어느 한계까지가 범죄에 해당하는 도박인지의 판별은 경우에 따라 달라 어려운 문제다. 한국의 형법 제246조에는 도박에 관한 처벌규정이 있는데, 단서에 일시적 오락 정도에 불과한 때에는 예외로 한다고 하였다. 이 규정에 의한 위법성의 한계는 법원이 도박 자체의 흥미성, 도박의 장소, 도박자의 사회적 지위 ?재산 정도, 도물의 다과 등 제반 사정을 참작하여 구체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오늘날 병적 도박은 대부분의 나라에서 적어도 성인인구의 1-2% 정도하고 추정되지만 나라에 따라 상당한 편차를 보이고 있는 데 우리나라의 경우 성인 7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에서 대상자의 4.1%가 병적 도박으로 조사되었다. 이런 높은 중독자의 비율은 경마, 경륜, 경정 및 내국인을 위한 카지노 등 합법적인 도박은 물론이고 성인 오락장 및 속칭 하우스 등의 불법도박장이 성행하는 우리의 현실이 반영된 결과하고 하겠다. 도박은 이혼, 실직, 파산, 자살이나 범죄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킨다. 이로인해 발생하는 역기능적 가족관계는 중독자와 가족 모두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2. 중독의 이해
2.1. 약물중독
2.1.1. 약물중독의 개념
약물중독이란 마약, 니코틴, 알코올, 기타 약물이 뇌에 들어가서 중독 증상을 보이는 유형이다. 일반적으로 약물은 의학적인 목적으로 활용되는 약품을 뜻하는 개념으로써 사용되기도 하나 약품만이 아니라 인간의 중추신경에 변화를 일으키는 물질 전체를 총칭하는 개념으로써 사용되기도 한다. 술이나 담배는 인간의 중추신경에 변화를 일으키는 약물로 부탄가스, 본드, 신나 등의 흡입제나 코카인, 대마, 필로폰, 헤로인 등은 인간의 정신기능에 영향을 주는 마약류 역시 모두 약물이라는 개념에 속하게 된다. 국제보건기구에 따르면 약물은 한 번 사용하게 되면 계속해서 사용하고 싶은 충동이 나타나는 의존성, 사용할 때마다 양을 늘려야 하며 늘리지 않는다면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내성, 사용을 중지하게 되면 ...
참고 자료
공용, 2009, 사회문제, 도박중독의 치료방안
김교현, 2015,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중독」, 『심리학회지』, 건강, 제7권 제2호, pp159~179.
문찬호 외 3명, 2018, 『카지노게임과 경영론』, 한올출판사.
심진현, 2012,「병적 도박자 환자 배우자의 스트레스 지각과 대응전략」, 중앙대학교 대학원, pp1~10.
이해왕. 2015, 선교사, 한인 중독증회복 선교센터
이옥주, 2014, 「도박의 심리」, 한국철도 철도청, 제287, pp113~116.
이충기 외 3명, 2018, 『카지노산업의 이해』, 일신사.
질병관리청 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308060100
보건복지부 국립부곡병원, 진료 분야 > 약물중독 > 약물중독이란 | 국립부곡병원 (bgnmh.go.kr)
엄재영, 2017, 성인 스마트폰 중독 경향군의 충동성이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p.5~7
김유현, 2017, 수치심 경험과 행위중독의 관계."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敎育大學校, p.20~29
박소영, 2014, 개인, 가족, 학교요인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p.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