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응급위기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체르노빌 원전 사고
1.1. 재난의 유형 정의 및 근거
1.2. Hazard-Vulnerability-Effect 정의와 영화와의 관련
1.3. 재난이 미친 영향
1.3.1. 신체적 영향
1.3.2. 정신적 영향
1.3.3. 사회적 영향
1.4. 재난 위기 전략 및 재난관리 대응
1.4.1. 예방
1.4.2. 대비
1.4.3. 대응
1.4.4. 복구/회복
2. 재난 대응 계획
2.1. 목적
2.2. 자연재해의 종류
2.2.1. 태풍
2.2.2. 폭설
2.2.3. 혹한
2.2.4. 지진
2.3. 응급대응계획과 위기관리계획
2.3.1. 태풍
2.3.2. 폭설
2.3.3. 혹한
2.3.4. 지진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체르노빌 원전 사고
1.1. 재난의 유형 정의 및 근거
체르노빌 원전 사고는 방사능 유출 사고로 인한 원자력 재난이다. 이는 원자로의 설계적 결함과 안전 규정 위반, 운전 미숙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발생한 사회재난이었다.
사고 당시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는 '소련의 자랑'으로 불렸던 RBMK형 원자로를 가동하고 있었다. RBMK형은 제어가 어렵고 저출력에서 불안정해지는 단점이 있었지만, 핵연료 교체가 가능하고 출력이 크다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안전장치 검증이 미흡한 상태에서 무리한 실험을 진행하다 사고가 발생하였다.
당시 소련 정부는 체르노빌 원전 폭발 사실을 신속하게 발표하지 않아 주민들이 방사능의 위험성을 모른 채 피폭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로 인해 54명이 사망하고 6,000명의 갑상선암 환자가 발생하는 등 인명과 재산, 환경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였다.
체르노빌 원전 사고는 안전보다 성과를 우선시하는 옛 소련의 폐쇄적인 사회체계와 관련이 깊다. 이를 교훈삼아 원자력 발전소의 지속적이고 철저한 안전관리, 주기적인 훈련 등 체계적인 재난 대응 체계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
1.2. Hazard-Vulnerability-Effect 정의와 영화와의 관련
Hazard-Vulnerability-Effect 정의와 영화와의 관련은 다음과 같다.
Hazard는 인명 손실, 부상 또는 기타 건강상의 영향, 재산 피해, 생계 및 서비스 손실, 사회 및 경제적 혼란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한 현상, 물질, 인간 활동 또는 상태를 의미한다. 영화에서 볼 수 있는 Hazard로는 원자로의 폭발로 인한 방사성 물질 유출, 이로 인한 주민들의 방사능 피폭 등이 있다. 올가의 아들 알렉스가 친구들과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를 관람하던 중 원전 폭발을 목격하고 방사능에 피폭되는 장면, 그리고 소방관들이 방사능 피폭 장비 없이 화재를 진압하다 방사능에 노출되는 모습 등이 이에 해당한다. "
Vulnerability는 재난의 인간적 차원이며, 위험의 영향에 개인, 지역 사회, 자산 또는 시스템의 감수성을 결정하는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요인이나 과정을 말한다. 영화에서는 옛 소련 공산권의 '우월한 성과'를 위해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장치 구조 완비를 누락한 채 발전소를 완공한 점, 그리고 안전 실험 조건을 제대로 지키지 않은 채 무리하게 실험을 진행한 점 등이 Vulnerability에 해당한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체르노빌 원전 사고가 발생하고 주민들이 방사능 피폭의 위험에 노출되게 된 것이다."
Effect는 재해로 인한 인명 손실, 부상 또는 파괴 및 손상의 가능성을 의미하며, 위험의 심각성과 빈도, 위험에 노출된 사람과 자산의 수 및 손상취약점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영화에서는 역사상 최대 피해의 원전 폭발 사고에도 불구하고 소련 정부가 사건 발생 사실을 늑장 발표하고 주민들에게 방사능의 위험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않아 수많은 사람들이 방사능 피폭의 피해를 입게 된 점이 이에 해당한다. 이로 인해 주민들의 건강과 생명이 위협받고 지역 경제와 사회가 크게 혼란에 빠지게 되었다."
1.3. 재난이 미친 영향
1.3.1. 신체적 영향
체르노빌 원전 사고로 인한 신체적 영향은 다음과 같다.
급성 영향으로는 피부 반점, 탈모, 백혈구 감소, 불임 등이 발생하였다. 만성적 영향으로는 암, 백내장, 태아에의 영향, 백혈병암 등이 나타났다. 유전적 영향으로는 유전자 돌연변이, 대사 이상, 연골 이상 등이 나타났다.
특히 급성방사선 증후군(acute radiation syndrome, ARS)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짧은 시간동안에 전신 또는 신체 일부에 다량의 방사선량을 받아 복합적 임상증상과 증후가 나타나는 것이다. 이에는 분자사(molecular daeth), 조혈 증후군, 위장관 증후군, 신경혈관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림프구의 감소와 탈모현상이 있으며, 수정체 혼탁에 이어 백내장, 갑상선의 기능저하증, 일시적 또는 영구적 불임증 등이 초래되었다.
임산부에게는 정신박약아, 소두아, 정신지체아 출산 가능성이 높았으며, 사고 이후 54명의 사망자와 6000건의 갑상선암 환자가 발생하는 등 심각한 피해가 있었다.
1.3.2. 정신적 영향
정신적 영향은 주된 심리적 영향으로 방사선 피폭, 방사성 낙진에 의한 자신의 건강장해 불안, 오염지역으로부터의 강제이주에 대한 불안이 있다. 방사능사고 관련 심리반응의 특징으로는 분노, 정보불안, 건강에 대한 불안이 있다.
희생자 분류에 따른 심리반응으로, 방사능사고에 직접 포함된 사람들의 경우 공포상황에 대한 노출,...
참고 자료
● 관련서적
김진희 외, 응급간호 및 재난간호, 고문사, 2021, p.314~318
● 논문
최은경, 사료와 증언으로 재난의 의학적 영향을 파헤치기: 케이트 브라운 『체르노빌 생존 지침서』 푸른역사 2020, 창작과 비평 제49권 제1호(통권 제191호), 창작과 비평, 2021, 445-449
윤성원․류재수․김연종, 독일의 탈원전 정책결정과 영향,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1544-1545
김은순․백경미, 일본 방사능 유출사고가 수입산 농․수산물 구매행태 변화에 미친 영향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17, 77
● 기타(국가기관 참고자료 및 뉴스)
PreventionWeb, UNDERSTANDING DISASTER RISK, UNDD(Disaster Risk Reduction)R, https://www.preventionweb.net/
국제 원자력 기구, INES: 국제 핵 및 방사선 사고 등급 사용자 매뉴얼, IAEA, https://www.iaea.org/publications/10508/ines-the-international-nuclear-and-radiological-event-scale-users-manual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 사고, 두산백과,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1113
초록 방사선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초록 방사선, http://www.imagegreen.org/info3/index.html?sgubun=9
한국원자력의학원, 피폭환자 치료, 한국원자력의학원, https://www.kirams.re.kr/nremc/intro/introductionF02.do
진영우, 방사선비상진료 개론서(5판), 한국원자력의학원, https://www.kirams.re.kr/nremc/info/manualList.do?BOARD_ID=B041
이성규, 체르노빌 원전 드디어 철거되나, The Scienve Times,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C%B2%B4%EB%A5%B4%EB%85%B8%EB%B9%8C-%EC%9B%90%EC%A0%84-%EB%93%9C%EB%94%94%EC%96%B4-%EC%B2%A0%EA%B1%B0%EB%90%98%EB%8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