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관심있는 응급및재난 이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응급 및 재난 간호 이슈
1.1. 이태원 참사 생존자 관리
1.2. 폭염 관리
2. 재난간호의 정의 및 특성
2.1. 재난의 종류
2.2. 재난간호의 목적 및 대상자
3. 감염병 재난관리
3.1. 감염병의 분류와 특성
3.2. 감염병 대응 체계
4. 재난간호 과정
4.1. 재난간호의 단계
4.2. 중증도 분류 체계
5. 재난간호 실무
5.1. 감염병 예방 교육
5.2. 감염병 재난 대응 프로그램
5.3. 간호사 역량 강화 교육
6. 결론 및 제언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응급 및 재난 간호 이슈
1.1. 이태원 참사 생존자 관리
이태원 참사 생존자 관리는 이러한 비극적 사건과 관련된 생존자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이 핵심이다. 생존자들은 자신이 혼자 살아남은 것에 대한 죄책감과 극도의 불안감으로 고통받고 있었다.
간호사는 이들의 불안 양상을 사정하고 평가하여 적절한 간호 계획을 수립하였다. 불안에 대한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과 신체적, 심리적 징후를 관찰하고 불안 척도를 사용하여 불안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상자와 상호작용하며 신뢰 관계를 형성하고, 자극이 적은 환경을 유지하며, 인지행동치료를 통해 불안을 감소시켰다. 또한 불안을 일으키는 상황을 인식하고 대처방안을 교육하여 대상자가 스스로 불안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는 가족들과 함께 산책과 운동을 통해 불안을 감소시키고, 불안한 경우 클래식 음악을 듣는 등 불안 관리 방법 2가지 이상을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2주 이내 불안한 생각이 줄었음을 표현하였다. 이는 생존자의 정신건강 회복을 위한 간호사의 노력이 성과를 거두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이태원 참사 생존자 관리는 비극적 사건으로 인한 생존자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이를 완화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간호 중재가 핵심이었다. 간호사는 생존자와의 신뢰 관계 형성, 불안 완화를 위한 환경 조성, 인지행동치료 및 대처방안 교육 등을 통해 생존자의 정신건강 회복을 도왔다.
1.2. 폭염 관리
최근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인해 폭염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온열질환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폭염은 서서히 진행하는 자연재난으로 심리적 영향을 감지하기 어려우며 다른 자연재난보다 오래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폭염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지진이나 산불, 태풍으로 인한 피해보다 훨씬 많으며 열탈진, 열사병 등 신체적 문제와 섬망, 판단력 저하, 의식소실 등 직접적인 정신문제를 유발하기도 한다. 하지만 예방법에 대한 적절한 교육과 대처방법에 대한 홍보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폭염에 대한 대상자의 인식을 살펴보면, 최근 경북에서만 노인 10명이 밭일을 하다 쓰러져 사망하는 등 심각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온열질환의 위험성을 간과하여 온열질환에 취약한 요인이 되고 있다. 대상자의 90% 이상이 자신의 건강에 대한 자각수준을 보통 이상으로 여기고 있어 온열질환이 질병이라는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들은 온열질환에 대해 알고 있는 지식이 부족하여 예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간호사는 폭염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고 대상자의 지식 수준을 확인하여 눈높이에 맞는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고온환경에서 일할 때 유의해야 할 점, 폭염대비 일반 건강수칙, 주의가 필요한 대상자 및 온열질환 응급조치 방법 등에 대해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또한 대상자의 가족을 함께 교육하고 보건소, 마을회관 등의 모임을 활용하여 교육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다. 대상자의 질문에 정확한 답변을 제공하고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 대상자가 폭염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발생을 예방하고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대상자의 건강행위 변화를 이끌어 폭염 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이는 폭염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지역사회 구성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2. 재난간호의 정의 및 특성
2.1. 재난의 종류
재난의 종류에는 자연재난, 사회재난, 해외재난이 있다.
자연재난은 태풍, 호우, 홍수, 강풍, 해일, 대설, 낙뢰, 지진, 가뭄, 황사, 조류 대발생, 조수, 화산활동, 소행성·유성체 등 자연우주물체의 추락·충돌 등 자연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해를 말한다. 이러한 자연재난은 예측이 불가능하여 통제하기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신체적·정신적·경제적·사회적 피해관리를 위해 정부차원의 대책 마련과 전문가들의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사회재난은 화재, 붕괴, 폭발, 교통사고(항공 및 해상사고 포함), 화생방 사고, 환경오염사고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피해로 이는 에...
참고 자료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제9판. 수문사
김수영. (2020). 재난피해자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에 관한 연구 - 재난정보제공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중심으로 -. Crisisonomy, 16(5), 65-78.
김지선, 이소연. (2019). 자연재난 피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집단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4(3), 669-693.
백민호. (2017). 사회적지지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재난심리지원제도 개선방안
김진희, 2021, 『응급간호 및 재난간호』, 고문사, 311-312
이재영, 2023, 『폭염 재난 피해자 내적특성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공학박사학위논문
질병관리청. 건강위해정보(폭염) 홈페이지. 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205050300 (2023년 12월 9일 접속)
국민재난안전포털, 자연재난행동요령(폭염). https://www.safekorea.go.kr/idsiSFK/neo/sfk/cs/contents/prevent/prevent07.html?menuSeq=126 (2023년 12월 9일 접속)
박상휘, “폭염사망자 32명 중 14명 논밭에서 쓰러졌다...”, 2023.09.20. https://www.news1.kr/articles/5176340 (2023년 12월 8일 접속)
김정식, “이 폭염에 신문지 쓰고 밭일…"열 분 돌아가셨다" 다급한 순찰대”. 2023.08.03.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82289(2023년 12월 9일 접속)
질병관리청 건강위해대응관 미래질병대비과, 「폭염대비와 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수칙 바로알기」, 질병관리청. https://www.kdca.go.kr/gallery.es?mid=a20503020000&bid=0003&act=view&list_no=145129(2023.12.19.일 접속)
황옥남 외 (2016). 성인간호학 상권(7판). 서울: 현문사.
김경미 외 (2016). 알기 쉬운 감염관리. 서울: 학지사메디컬.
김춘미 외 (2019). 지역사회보건간호학(2판). 파주: 수문사.
양선희 외 (2020). 기본간호학Ⅰ(4판). 서울: 현문사.
문혜진, 박주영(2021). 국·공립병원 간호사의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본간호학회지, 28(1), 11-22
국제뉴스 (2020). 사상구 덕포1동 마을건강센터, 코로나19 감염증 예방관리 교육. http://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242994.
매일신문 (2020). 경운대 간호학과, 자체 개발한 ‘감염병 재난관리과정’ 대한간호협회 보수교육 프로그램 인정. https://news.imaeil.com/Society/*************769582.
충청일보 (2021). 음성군 정신건강복지센터, 마음충전 프로그램 실시. http://www.ccdail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68600.
세계일보 (2021). 몸도 마음도 지쳤는데 보상 없이 ‘무한 헌신’ 강요만[코로나 최일선의 ‘사투]. https://www.segye.com/newsView/*************2?OutUrl=na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