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양수과다증과 양수과소증
1.1. 양수과다증(Hydramnios) 정의
양수과다증(Hydramnios)이란 성분은 정상이나 양수의 추정량이 2,000ml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임부의 약 3%에서 발생하며 경산부에서 높게 발생한다. (양수량은 정상적으로 임신 말기에 800~1,200ml가 된다.)"
1.2. 양수과소증(Oligohydramnios) 정의
양수과소증(oligohydramnios)은 임신 32~36주 사이에 비정상적으로 양수의 양이 적어 500ml 미만인 상태를 말한다"" 양수란 태아를 싸고 있는 액체로, 태아의 소변과 태아 폐에서 분비된 체액으로 이루어진다. 양수는 외부의 충격에서 태아를 보호하고 태아와 탯줄이 눌리는 것을 방지하며, 폐와 근골격계 및 위장관계의 정상적인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임신 시기에 따라 적절한 양의 양수가 유지되어야 한다""
2. 병태생리
2.1. 양수과다증의 병태생리
양수과다증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양수는 양막(amniotic membrane)의 세포에서 형성되며, 태아가 양수를 삼키면 장에서 흡수되고, 양수는 태아 혈류를 거쳐 태반을 통과하여 모체의 혈장과 교환되며, 태아가 배출한 소변과 섞이기도 한다. 따라서 양수의 과다 축적은 태아가 삼키고 흡수하는 능력에 문제가 있음을 시사한다.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지만, 당뇨병 임부의 약 25~30%에서 발병되며, 자간전증, 울혈성 심부전증일 경우 잘 나타난다. 또한 무뇌아의 50%에서, 태아의 식도나 위장계통의 폐쇄 등 태아기형, 그리고 다태아의 5%에서 발생된다. 거대태반이나 태반이상시에도 발견된다.
이처럼 양수는 양막의 세포에서 형성되고, 태아가 삼켜 장에서 흡수되며, 태아 혈류를 거쳐 태반을 통해 모체로 교환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하지만 태아의 섭취와 흡수 능력에 문제가 발생하면 양수가 과다하게 축적되어 양수과다증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2.2. 양수과소증의 병태생리
양수과소증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양수 과소증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태아의 소변 형성장애로 인한 태아의 요로 폐쇄 또는 신장결손증에서 발생 빈도가 높다. 양수란 태아를 싸고 있는 액체로, 임신 중반 이후에는 주로 태아의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