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기관절개관이란?
1.1. 기관절개술의 정의와 목적
기관절개술은 성대 하부 기관에 절개를 하여 코나 입이 아니라 절개 구멍을 통해 공기를 흡입해서 숨을 쉴 수 있도록 하는 수술이다. 기관의 전면에 절개를 가한 후 관을 삽입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기도의 개방이 유지되도록 하는 시술이다. 기관절개술의 목적은 상기도 폐색 시 호흡을 돕고, 분비물을 제거하며, 장기간 기계 환기를 사용할 목적으로 시행한다. 즉, 기관절개술은 기도 폐색으로 인한 호흡 장애를 개선하고 원활한 호흡을 도와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2. 기관절개술의 적응증
기관절개술의 적응증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종양이 기도를 막거나 좁히고 있는 경우이다. 두경부 암 환자의 경우, 상기도의 공기 흐름이 차단되거나 수술 직후 수술 부위의 부종으로 인해 정상적인 호흡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기관절개술을 시행하게 된다.
둘째, 분비물(점액)이 기도를 막거나 좁히고 있는 경우이다.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이나 기관지 천식 등의 환자에서 과다한 분비물로 인해 기도가 폐쇄되는 경우에 기관절개술을 시행할 수 있다.
셋째, 기도를 막거나 좁히는 부종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수술을 받은 경우이다. 두경부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부종으로 인해 기도가 폐쇄될 위험이 있는 경우에 기관절개술을 시행하여 기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처럼 기관절개술은 상기도의 폐쇄나 협착으로 인해 정상적인 호흡이 어려운 경우에 시행되며, 이를 통해 환자의 호흡을 원활하게 유지하고 분비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2. 기관절개관의 구성과 종류
2.1. 기관절개관의 구성
기관절개관은 외부 캐뉼러, 내부 캐뉼러, 그리고 기관절개술 연결부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캐뉼러는 항상 제자리에 유지되는 부분으로, 기관절개술이 닫히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 캐뉼러의 제거는 의사나 간호사만이 할 수 있다.""
내부 캐뉼러는 안팎으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는 부분으로, 하루에 두 번씩 교체해 주어야 한다. 내부 캐뉼러는 기도에 분비물이 쌓여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내부 캐뉼러를 몇 분 이상 외부에 두어서는 안 된다.""
마지막으로 목 주위를 둘러싸고 외부 캐뉼러에 연결되는 기관절개술 연결부는 기관절개관을 제자리에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2.2. 기관절개관의 종류
2.2.1. 일반 기관절개관
일반 기관절개관은 보통 외관, 닫개, 내관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관에는 면판이 있고 면판 양쪽 끝에 고리가 있어 끈이나 리본으로 절개관을 고정한다. 관 끝에 커프가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다. 발포 커프가 달린 유형은 기관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커프가 부풀어지거나 공기가 빠지며 특히 커프는 상기도의 분비물이 하부 기도로 흡인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인공호흡기 등의 기계 환기 장치 사용 시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닫개는 기관절개관 삽입 시 기관 손상을 줄이기 위해 외관에 끼워 삽입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삽입 즉시 빼서 내관으로 바꿔 끼운다. 내관은 주기적으로 바꿔 끼워야 하며 세척할 때 제거할 수 있다. 분비물이 많지 않은 환자일 경우 내관이 없는 절개관을 사용하기도 한다.
2.2.2. 특수 기관절개관
특수 기관절개관에는 구멍이 뚫린 기관절개관과 의사소통 가능한 기관절개관이 있다.
구멍이 뚫린 기관절개관은 외관 뒤쪽 벽에 구멍이 있는 절개관으로, 내관을 제거하고 커프에 공기를 빼 덮개를 씌우면 공기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