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중해 문명 발전을 견인한 동력과 메커니즘에 대한 3가지 의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기술과 사회
1.1. 삶의 기술
1.2. 생명과 환경
1.2.1.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과 모순
1.2.2. 원전, 과연 안전한가?
1.2.3. 에너지 위기와 지구의 위기
1.2.4. 다음은 어디인가?
1.2.5. 원전, 결코 안전하거나 값싸지 않다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기술과 사회
1.1. 삶의 기술
기술은 인류의 진화와 함께 발달되어 왔다. 원시인들은 이미 도구를 만드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고, 점차 기술이 발전하면서 인류의 삶의 방식 또한 변화해왔다. 구석기 시대 인간은 수렵·채집 생활을 하다가 농업의 발전으로 정착 생활을 시작하게 되었으며, 이후 중세 시대에는 농업혁명과 산업혁명을 거치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인류 문명이 급속도로 성장했다.
특히 19세기 산업혁명 이후에는 석탄과 증기기관, 전기 등 새로운 동력원의 발견으로 인간의 노동력이 점차 기계에 의해 대체되면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20세기 2차 산업혁명 이후에는 컴퓨터와 소프트웨어의 등장으로 인간의 사고 영역까지도 기계가 대신하게 되었다. 이는 과거 인간이 수행하던 노동과 사고 과정을 기계가 대신하게 됨으로써 인간의 삶을 보다 편리하고 풍요롭게 만들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의 발달은 동시에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문제를 야기하기도 했다. 산업혁명 이래 화석연료 사용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환경오염과 지구온난화 문제가 대두되었고, 원자력 발전의 등장으로 인한 방사능 오염 및 핵폐기물 처리 문제 등이 발생했다. 이는 기술이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동시에 인간 생존을 위협하는 역설적인 상황을 초래했다.
따라서 기술의 발달이 인간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켜왔는지, 그리고 그로 인한 부작용은 무엇인지에 대해 깊이 있게 고찰할 필요가 있다. 기술은 인간의 선택과 가치관에 따라 인류 발전에 기여할 수도, 위협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과학기술인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 의식이 매우 중요하며, 새로운 기술 발전 과정에서 생태계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1.2. 생명과 환경
1.2.1.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과 모순
냉전체제 하에서 소련이 핵무기 제조에 성공하면서 군비경쟁으로 핵무기가 증가하자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은 급기야 1953년 유엔회의에서'원자력(핵)의 평화적 이용'을 제안하였다. 이는 소련을 비롯한 후발주자들이 따라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사다리 걷어차기 같은 것이었다. 이후에도 소련, 중국, 인도 등 강대국들은 핵개발을 서둘렀고 한편으로는 원전을 지으면서 지켜보는 인류의 시선을 조마조마하게 만들었다. 지구의 핵전쟁 위험성을 알리기 위해 만들어진 지구 종말시계는 미국 시카고대학에서 발행하는 핵과학회지 『불리틴(The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의 표지에 실려 있는 일러스트 시계로 핵전쟁의 위기를 상징적으로 알려주고 있다. 핵전쟁으로 인류가 사라지는 시점이 시계의 자정이며, 2010년 초의 시각은 '자정 6분 전'이다. 우리나라는 핵...
참고 자료
생명과 환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