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소년의 주위환경과 문제의 영향 관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환경의 개념과 청소년 환경
2. 청소년환경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2.1. 위험요인
2.1.1. 가족 환경의 위험요인
2.1.2. 학교 환경의 위험요인
2.1.3. 또래 환경의 위험요인
2.2. 보호요인
2.2.1. 가족 환경의 보호요인
2.2.2. 학교 환경의 보호요인
2.2.3. 또래 환경의 보호요인
3. 청소년 환경의 위험요인 감소와 보호요인을 증가시키기 위한 대안
4. 본인의 청소년기 두 가지 문제에 대한 회고
4.1. 본인의 청소년기 회고 1
4.2. 본인의 청소년기 회고 2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환경의 개념과 청소년 환경
환경이란 생물에게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자연적 조건이나 사회적 상황을 의미한다"" 즉, 생활하는 주위의 상태를 의미하는데, 청소년에게 환경이란 이 두 가지 의미 모두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청소년환경이란 청소년의 발달적 맥락에서의 환경을 말하며, 청소년을 둘러싼 환경이면서 동시에 청소년의 발달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환경을 의미한다. 청소년 환경에 포함되는 요소로는 사회적 요소, 문화적 요소, 자연적 요소 등이 있다.
2. 청소년환경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2.1. 위험요인
2.1.1. 가족 환경의 위험요인
가족 환경의 위험요인으로는 첫째, 빈곤을 들 수 있다. 빈곤은 청소년을 열등감에 빠뜨리고 무기력하게 하여 정서적 불안정을 야기시킴으로써 청소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다.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은 청소년들에게 각종 사회적 낙인을 주어 자아존중감을 낮추고 삶의 질을 악화시킬 수 있다.
둘째, 부모-자녀 관계가 부정적일수록 청소년의 행동이나 사회성, 정서, 학업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가정폭력, 부부간 잦은 갈등, 강압적인 양육방식, 가족으로부터의 애정 결핍 등 가족 간 발생하는 갈등은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셋째, 부모의 문제행동이나 부모의 부적절한 양육행동도 위험요인이 된다. 예컨대 부모의 알코올 중독, 약물중독 등의 문제행동은 청소년의 정서적 불안정을 야기하여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과도한 통제나 방임적 양육행동 등 부모의 부적절한 양육방식도 청소년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결국 가족 환경의 위험요인은 빈곤, 부모-자녀 관계의 문제, 부모의 문제행동 및 부적절한 양육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청소년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1.2. 학교 환경의 위험요인
학교 환경의 위험요인으로는 학업 스트레스와 교사와의 갈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입시 중심의 교육 환경으로 인해 청소년들이 과도한 학업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 지나친 입시 경쟁의 압박으로 청소년들은 관리될 수 없는 수준의 스트레스를 받게 되며, 이는 학교폭력 등의 위험행동을 유발할 가능성을 높인다. 또한 학생과 교사 간의 갈등도 학교 환경의 주요 위험요인이 된다. 교사의 억압적이고 과도한 규제는 학생들에게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부적응 행동을 초래할 수 있다. 이처럼 학교 환경 내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와 갈등은...
참고 자료
이은진, 「청소년기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진주산업대학교, 2006.
박현순, 「청소년의 위험행동 구조모형 구축」, 대구간호학회지, 2011.
"환경," 네이버 국어사전, n.d. 수정, 2023년 1월 4일 접속, https://ko.dict.naver.com/#/entry/koko/36109233bc594889b5f343eed91adca9.
남영옥, 윤혜미, "청소년의 환경적 위험과 자아탄력성이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4 no.2 (2007): 94-96.
이상준,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이 사회적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환경적 보호요인의 역할," 한국사회복지학회지 58 no.2 (2006): 334-336.
구혜영 저, 청소년 복지론, 신정, 2020
최세영, 최미경 저, 청소년복지론, 어가, 2020
청소년과 미래 저, 청소년복지론, 학지사,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