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의 본질과 가치
1.1. 간호의 정의
간호의 정의는 시대와 학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다. 간호는 인간의 삶과 관련된 매우 복합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 활동으로, 이러한 간호의 복합성은 간호행위가 지니는 복합성이라기보다는 간호의 대상이 되는 인간의 특성이 복합적이라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란 간호가 본격적으로 성립된 나이팅게일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진행되고 있음에도 이에 대한 통일된 견해를 가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오래전부터 간호는 삶의 질을 중심으로 하는 포괄적 건강의 개념과 총체적인 인간관을 중심으로 하는 'Caring'에 대한 개념을 간호의 중심으로 보고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을 가져오기는 하였으나 실무와의 연계 부족으로 사회가 이를 간호의 성격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다양한 다른 학문영역에서도 인간의 삶의 질에 관심을 가지고 접근하고 있으며 이것을 학문의 목표로 하고 있는 실정에서 간호의 본질 논쟁에서 심사숙고해야 할 점은 건강을 복표로 하고 있는 다른 학문분야들과의 차이가 무엇인가에 있을 것이다.
나이팅게일은 "간호란 자연의 치료력이 환자로 더불어 작용할 수 있도록 그를 가장 좋은 상태로 유지시키는 일이다"라고 하였다. 이는 근대 간호의 발달에 영향을 주었고 지금도 자주 인용되고 의존된다. 그러나 세기가 바뀌면서 대중과 간호사를 다 같이 보호한다는 의미에서 다시금 간호를 정의해야 할 필요가 생겼다.
버지니아 핸더슨은 간호의 정의를 구하는 데 있어 시대가 바뀌고 사회의 문화 본질이 변화함에 따라서 간호가 놓여지는 조건이 변화해가기 때문에 간호의 직무를 정의짓는 것은 어렵다고 했다. 그는 간호란 첫째, 환자가 일상의 행동을 함에 있어서 또 의사가 지시한 치료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지식, 의지, 또는 체력의 점에서 그에게 부족됨이 있을 때 그것을 보충해주는 일이라고 보았다. 또한 간호사는 자기 환자의 '뱃속'까지도 그 need를 파악하기 위해서 꿰뚫어 보지 않으면 안되며 환자의 몸이 되어서 이해하도록 노력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였다. 이는 환자 중심 간호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핸더슨은 간호사의 활동에 대해서도 설명하였는데, 간호사의 일차적인 역할은 환자가 건강할 때에는 극히 당연할 수 있는 행위를 하는데 있어서 지식과 체력, 의지, 힘이 부족한 경우, 또는 의사에게서 지시받은 치료를 실시해 나가는데 있어서 지식과 체력과 의지력이 부족된 경우에 환자 대신으로 힘을 쓰는 일이 그 독자적인 활동이라고 보았다.
이처럼 간호의 정의는 시대와 학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지만, 공통적으로 '인간'을 중심에 두고,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요구를 통합적으로 파악하여 돌봄을 제공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간호사와 대상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건강과 안녕을 증진시키는 것을 간호의 본질로 보고 있다.
1.2. 간호의 본질
1.2.1. 돌봄과 상호관계
간호의 본질에서 돌봄과 상호관계는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돌봄(caring)은 간호의 핵심이자 가치를 구체화하는 개념으로, 간호사와 대상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실현된다.
돌봄은 간호사가 대상자의 존엄성, 가치, 독특한 욕구와 경험을 인정하고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간호사는 대상자에 대한 공감과 배려심을 가지고 대상자의 입장에서 생각하며, 그들의 관심사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