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생명과학 이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최신 생명과학 관련 이슈
1.1. 코로나19 바이러스
1.1.1.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개요
1.1.2. 코로나19에 대한 사회적 반응
1.1.3. 코로나19 전파 이후의 우리 사회 변화
1.2. 인보사 이슈
1.2.1. 인보사란?
1.2.2. 인보사 가격구조
1.2.3. 인보사 치료 원리
1.2.4. 인보사 사태 일지
1.2.5. 동화약품 락테올 사건과의 비교
1.2.6. 인보사 사건 주요 이슈사항
1.2.7. 인보사 사태로 인한 피해
1.2.8. 인보사 대체치료제
2. 생명윤리 및 가치 논의
2.1. 양의 복제와 사람의 복제에 관한 윤리 이슈
2.2. 과학기술의 사회적 영향과 윤리적 성찰
2.3. 인간복제 기술에 대한 사회적 반응과 논쟁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최신 생명과학 관련 이슈
1.1. 코로나19 바이러스
1.1.1.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개요
코로나19 바이러스는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이다. 코로나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로 사람과 동물의 호흡기와 소화기계 감염을 유발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코로나바이러스아과에 속하며, 표면 돌기 단백질을 구성하는 골프채 모양의 왕관 형태로 인해 코로나 바이러스라는 이름이 붙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표면 돌기 단백질, 막 당단백질, 외피 단백질을 함유하는 기질 이중층이 나선형 뉴클레오캡시드를 싼 형태를 하고 있다. 주된 임상증상은 발열이며, 감염 초기에는 발열 없이 오한과 호흡기 증상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마른기침, 피로감, 호흡곤란, 설사 등의 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예방이 중요하며, 코로나19는 비말에 의한 전파와 접촉 전파로 전염되므로 마스크 착용과 손 씻기가 중요하다.
1.1.2. 코로나19에 대한 사회적 반응
전염성이 매우 강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면역력이 낮은 사람의 경우 사망할 수 있는 치명적 질환임이 밝혀지면서 질병에 대한 사회적 공포증이 널리 퍼졌다. 우리나라의 경우 3월에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감염자수가 세계 2위까지 치솟았으나, 정부의 발빠른 검사와 대응으로 현재는 안정세에 들어섰다. 마스크 착용의 생활화,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을 꾸준히 벌이는 것도 도움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안심할 수 없는 것은 현재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 감염자 수가 폭발하고 있고, 우리나라로 입국하는 해외입국자 중에서 꾸준히 감염자 수가 나오고 있기 때문에 잠깐 방심하면 다시 확진자 수가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감염병은 사회적으로 다양한 반응이 일어났다. 마스크 착용의 생활화가 시작되자 마스크 품귀 현상이 벌어졌고 정부는 원활한 마스크 수급을 위하여 5부제 공적마스크 공급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세계적으로는 사재기 현상이 일어나 마켓에 물품 품귀 현상이 벌어지기도 했다. 가장 큰 문제는 코로나 바이러스 이후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가 혐오의 감정으로 옮아갔다는 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최초 중국에서 바이러스가 시작되었다는 점 때문에 중국인 입국 거부의 의견이 높았다. 중국 우한 교민들을 국내로 데려와 격리시켰을 때도 아산진천 지역에 강한 반발이 거셌다. 신천지 교민에 의한 대구 지역 확진자 폭증했을 대는 대구를 도시 폐쇄하라는 청와대 청원까지 올라오기도 했다. 우리나라의 지역 갈등이나 혐오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위기 상황을 빌미로 지역 혐오가 다시 고개를 든 것이다. 세계적으로는 아시아인들을 향한 혐오가 일어나고 있다.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심을 넘어 아시안 포비아 현상이라 부를 정도의 극렬한 레이시즘 행동이 서슴지 않고 펼쳐지고 있다.
1.1.3. 코로나19 전파 이후의 우리 사회 변화
코로나19의 전파는 우리 사회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온라인 수업과 재택근무가 도입되면서 교육과 근무 방식이 대대적으로 바뀌었다. 이에 따라 학생과 직장인들이 실시간 화상수업, 사이버 강의, 화상회의 등을 통해 원격으로 학업과 업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또한 온라인 쇼핑이 활성화되어 오프라인 매장 대신 온라인몰에서 필요한 물품을 구매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공공도서관도 일시적으로 폐쇄되었으며 대신 도서를 신청하면 배송해주는 서비스가 도입되었다. 의료분야에서는 대면 진료 대신 원격진료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처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온라인화와 비대면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곧 사회적 진보가 서서히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시점에서 급속하게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번 코로나19 사태는 우리 사회가 향후 보건, 의료, 교육, 경제 등 다방면에서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 인보사 이슈
1.2.1. 인보사란?
인보사는 세계 최초의 골관절염 유전자 세포치료제로, 정식 명칭은 "인보사케이주"이다. 인보사는 골관절염 환자에게 염증을 억제하고 상처를 치유하는 `TGF-β1` 유전자를 연골 세포에 삽입하여 퇴행성 관절염을 치료하는 유전자 치료제이다. 유전자 치료란 유전자를 환자에게 투여함으로써 난치 및 불치질환을 치료하는 새로운 치료방법을 말한다. 인보사는 유전물질 발현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 투여하는 유전물질 또는 유전물질이 변형되거나 도입된 세포로 구성된 3세대 바이오 의약품이다. 현재까지 미국, 유럽 등 주요 선진국에서 허가된 유전자 치료제는 4개 품목에 불과하며, 이들 의약품은 면역결핍질환, 유전질환이나 항암치료에 쓰이고 있어 퇴행성 질환인 무릎 골관절염 치료를 위...
참고 자료
질병관리본부(http://www.cdc.go.kr/)
약학정보원, 「코로나 바이러스의 이해」, 고려대학병원, 2020.
저우왕 외, 전호상 역. 『코로나19 예방 통제 핸드북』, 나무옆의자, 2020.03.18
박설민, 「코로나 확산으로 ‘아시안 혐오’ 심각… 조롱부터 폭력까지」, 시사위크, 2020.0306
김지혜, 「"뭘 보냐"며 주먹 날렸다···코로나가 부른 유럽 내 동양 혐오」, 중앙일보, 2020.0304.
이슬기, 「통합당 "중국인 입국금지는 금기어"…'코로나19 대응' 맹비난」, 연합뉴스, 2020.02.22..
2년전 인지 들통난 인보사…식약처 "상황 심각"/서정원/2019.05.06
[인보사 퇴출]이웅열 은폐•조작 정말 몰랐을까?/이세정/2019.05.29
꼬이는 인보사…비싼약값•효능 논란까지/이병문/2019.04.24
가능성 0.00001%에서 일군 ‘인보사 성공 신화’/정민지/2018.04.06
코오롱 `인보사`…중증 관절염 환자의 희망으로/김혜순/2017.07.12
인보사 끝내 허가 취소•••식약처 "성분 변경 2년간 고의 은폐"/이에스더/2019.05.28
인보사 결국 시장 퇴출…국고 134억 환수 착수/이승호/2019.05.29
생산라인 가동중단…폐쇄시 167억 추가손실/조영갑/2019.05.30
국내 최초 유전자치료제 허가 ‘인보사’ 어떤 약?…출시는 언제?/송병기/2017.07.13
바이오는 과연 휴지인가, 티슈진/SMIC/2017.11.11
인보사 탓에 표류하던 '첨단바이오법'...돌고 돌아 재발방지 대안으로 부활/박홍용/2019.05.29
인보사 판매금지 장기화…대체 치료 수단 뭐있나/김병호/2019.04.17
인보사와 무관한데…첨단바이오법•DTC 확대 난망/김병호/2019.04.07
법정 가는 인보사…고의성 여부 쟁점/조현미/2019.05.30
엉뚱한 세포 들어간 관절염 치료제 ‘인보사’...암 유발 성분은 무엇?/정윤서/2019.05.28
"인보사 사태로 주가하락 피해" 투자자 단체소송…보상 가능할까/김유정/2019.05.28
인보사 사태 재발방지...단계별 품질관리기준 마련/이현주/2019.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