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제초제 저항성 발생과 방제대책을 위한 최신 잡초방제 기술을 활용해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잡초와 제초제 저항성 잡초
2.1. 잡초의 정의 및 특성
2.2.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개념
3. 국내 제초제 저항성 잡초 발생 현황
3.1. 올챙이고랭이
3.2. 미국외풀
3.3. 강피
4. 제초제 저항성 잡초 발생에 따른 피해
5. 제초제 저항성 잡초 관리 대책
5.1. 이앙 전 처리제 활용
5.2. 초·중기 제초제 사용
5.3. 경엽 처리제 활용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잡초는 인간이 필요에 의하여 재배하는 농작물의 이상적 생육에 피해를 주는 식물을 일컫는다. 경작지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며, 어디서나 잘 자라고 빠르게 성장하고 번식하기 때문에 토양의 양분을 빼앗고 줄기가 높게 뻗어가 잎이 넓게 퍼져 작물의 광합성을 방해하기도 한다. 때문에 이러한 잡초는 농작물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수량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을 발생한다. 잡초는 발아하지 않은 채로 오래 생존할 수 있고 자가수분을 하기 때문에 번식이 빠르다. 단 한 개체라도 뿌리내리면 주변이 모두 해당 개체군이 차지할 정도로 생육이 왕성하기 때문에 잡초방제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2. 잡초와 제초제 저항성 잡초
2.1. 잡초의 정의 및 특성
잡초는 인간이 필요에 의하여 재배하는 농작물의 이상적 생육에 피해를 주는 식물을 뜻한다. 경작지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며, 어디서나 잘 자라고 빠르게 성장하고 번식하기 때문에 토양의 양분을 빼앗고 줄기가 높게 뻗어가 잎이 넓게 퍼져 작물의 광합성을 방해하기도 한다. 때문에 이러한 잡초는 농작물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수량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잡초는 발아하지 않은 채로 오래 생존할 수 있고 자가수분을 하기 때문에 번식이 빠르다. 단 한 개체라도 뿌리내리면 주변이 모두 해당 개체군이 차지할 정도로 생육이 왕성하기 때문에 잡초방제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잡초로 인하여 가장 큰 피해를 보는 분야는 농업이다. 잡초는 병해충의 매개체 역할도 하기 때문에 잡초와 영양경쟁도 일어나지만 잡초를 매개로 하는 병해충 문제가 함께 발생하기 때문에 농사에 있어 잡초방제는 매우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이다.
2.2.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개념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개념이란, 작물을 재배하는데 있어서 사용된 제초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생존하며 번식할 수 있는 잡초를 뜻한다"이다. 제초제 저항성 잡초는 작물과의 경합력이 강하고 제초제에 대한 내성이 강하며 광합성효율이 높고 생장이 빠르기 때문에 발생밀도가 낮더라도 전체 논과 밭에 급속히 생장하여 피해를 입히는 특징이 있다"이다.
제초제 저항성 잡초는 ①"내성(tolerance)"과 ②"저항성(resistance)"의 두 가지 개념으로 구분된다"이다. ①"내성(tolerance)"은 농업적으로 추천된 제초제 처리농도에서 방제되지 않고 생존하거나 번식하는 잡초 및 작물의 개체군을 의미하며, 이들은 유전된다"이다. ②"저항성(resistance)"은 농업적으로 추천된 제초제 처리농도에서 효과적으로 방제되던 잡초 중에서 연용(年用)으로 인해 방제되지 않고 생존하거나 번식하는 생태형을 말하며, 이들은 유전능력을 갖고 있다"이다.
또한 제초제 저항성 잡초에는...
참고 자료
김길웅, 신동현, 『최신 잡초방제학 원론』, 경북대학교출판부, 2021
국립농업과학원, 『알아두면 좋은 잡초방제기술』,21세기사, 2021.
농경과원예편집부, 『잡초관리길잡이』, 농경과원예, 2008.
경북대학교 출판부, 「최신잡초방제학원론」, 2021
하헌영 저, ‘국내 논잡초의 발생분포 및 제초제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대전, 2017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https://ncpms.rda.go.kr/)
김길웅·신동현·이인중, 『최신잡초방제학원론 제5판』, 경북대학교출판부, 2021.
연승우,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경작시기에 따라 대처」, 한국농업신문. 2020.04.13.
박재읍, 「외래잡초발생 및 방제전략(8) : 미국외풀」, 생활과농약 2009 5월호. pp.50-01
박태선·조현숙·황재복·구본일·김학신·서명철·박홍규·이건휘, 「제초제 저항성 잡초 강피,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동시 우점한 논에서 효과적인 제초관리」,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15. pp.151-158.
박태선·성기영·조현숙·서명철·강항원·박기웅, 「한국 논에서 제초제 저항성잡초의 발생 현황, 메카니즘 및 방제」,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4. pp.85-99